제주대학교 Repository

미취학 어린이 대상 제주어 동요학습애니메이션 콘텐츠 개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for the Animations for Learning Children's Songs in Jeju Language for Preschooler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어린이가 제주어를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심각한 소멸위기에 처한 제주어 보전에 기여하는 것 이다. 각 세대 간의 제주어 전달 부족으로 미취학 어린이는 제주어를 듣거나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 제주어 보전을 위해 각 세대 간의 제주어 전달이 어 렵다면, 그것을 대신할 수 있는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어린이가 쉽고 재미있게 제주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동요학습애니메이션은 입으로 부르던 동요를 애니메이션과 함께 시청하는 콘텐츠 이다. 본 연구를 위해 다섯 개의 동요학습애니메이션을 분석틀에 맞춰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요의 유형, 노랫말과 학습 낱말, 캐릭터 분류, 공간적 배경에 따른 개발 방 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동요의 유형을 전래 동요, 창작 동요, 클래식 동요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서양음악 선율에 노랫말을 넣은 클래식 동요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노랫말과 학습 낱말은 사례에 등장하는 낱말과 음절이 몇 회 반복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클래식 동요인 "작은 별"의 노랫말을 제주어로 개사하여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캐릭터 분류는 표현 소재별로 나눠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의 민 간신앙과 전설 속에 등장하는 "뱀"을 선정하였다. 넷째. 공간적 배경을 과거, 현재, 과거+현재, 상상 공간으로 나뉘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랫말과 어울리는 영주십경의 경관을 선정하여 공간적 배경으로 제작 하였다. 개발 방향에서 모색한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을 개 발하였다. 동요 선정은 모차르트 "작은 별"이며 제주어 학습 노랫말은 제주의 4계절 인 봄(봄), 여름( 름), 가을( 을), 겨울(저을)을 제주어로 개사하여 학습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작은 별' 선율에 제주어 노랫말을 넣은 24마디의 동요 악보는 아래와 같 다. 캐릭터는 섶섬 전설 속 뱀을 동물캐릭터 제작하였다. 2등신과 단순한 색감을 활용 하여 귀여운 캐릭터로 디자인하였다. 공간적 배경은 현실 공간과 상상 공간으로 나 뉘었다. 현실 공간 배경은 노랫말인 봄(봄), 여름( 름), 가을( 을), 겨울(저을)에 맞 는 제주의 영주십경을 선정하였다. 봄(봄)은 영구춘화, 여름( 름)은 정방하폭, 가을 ( 을)은 귤림추색, 겨울(저을)은 녹담만설을 공간적 이미지로 제작하였다. 또 상상 공간은 현실 공간에 사용된 색상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스토리보드 제작은 24마디의 악보를 25개의 씬(#)으로 구성하였다. 각 씬(#)에 어 울리는 공간적 배경과 캐릭터, 학습 낱말을 위치하였다. 큐설명을 통해 각자의 위치 를 함께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콘텐츠 개발이 지속적으로 제작 된다면 미취학 어린이의 제주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는 심각한 소멸위기에 처한 제주어의 보전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Jeju language, which is on the verge of disappearance, by developing the content for the with which preschoolers can learn Jeju language. As there has been a lack of transmitting Jeju language between generations, preschoolers have fewer and fewer opportunities to hear or speak Jeju language. If the transmission of Jeju language between generation is not viable, the content that can replace it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eserve Jeju languag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ontent for the to help preschoolers learn Jeju language easily while having a lot of fun. The animations for learning children's songs are content that allows kids to watch animations to learn children's songs which they used to sing along with. For the study, five animations for learning children's song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In addition, the development direction is explo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hildren's song, lyrics and learning words, character classification, and spatial background. First, the type of children's song is analyzed as a traditional, creative, and classical children's song. Furthermore, this study selects and uses classical children's song in which Korean lyrics are added to Western melodies. Second, for the lyrics and learning words, an analysis is conducted to find out how many times the words and syllables that appear in the case are repeated. In this study, the lyrics of "Little Star", a classical children's song, have been translated into Jeju language so that children can repeat it over and over again to learn the language. Third, characters are divided and classified by expressive material. This study chooses "a snake" that appears in Jeju's folk beliefs and legends. Fourth, the spatial background is divided into past, present, a combination of past and present, and imaginary spaces for an analysis. This study selects the landscapes of the Yeongju Sipgyeong (ten scenic spots of Jeju) that go well with the lyrics to create spatial background. Using the components sought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an has been developed. The song chosen for the study is "Little Star" by Mozart, and the lyrics for learning Jeju language have been translated into Jeju language for the four seasons of Jeju consisting of spring (봄 in Jeju language), summer ( 름 in Jeju language), fall ( 을 in Jeju language), and winter (저을 in Jeju language) for kids to learn. The lyrics of the 24-verse children's song with Jeju language added to the melody of "Little Star" is as follows. The animal character of a snake appearing in the legend of Seopseom Island is created. Using simple colors, the cute character with 2 body parts is designed. The spatial background is divided into real and imaginary spaces. For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real space, the Yeongju Sipgyeong of Jeju is selected since it suits the lyrics of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patial images are created using "Yeongguchunhwa" (a hill with spring flowers that hermits visit) for spring, "Jeongbanghapok" (the cliffs and surrounding old pine trees creating a picturesque landscape) for summer, "Gyullimchusaek" (the autumnal landscape of the mandarin orange fields) for fall, and "Nokdammanseol" (Baeklokdam covered with snow) for winter. In addition, the imaginary space is created by making use of the colors used in the real space. The storyboard is made by comprising the 24-verse score of 25 scenes (#). The spatial background, characters, and learning words that would go well with each scene are placed. The location of each item is recorded through the cue description, If the content for the is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would help preschoolers learn Jeju language. It would als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Jeju language, which is facing an extinction crisis.
Author(s)
김소희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586
Alternative Author(s)
Kim, So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Advisor
황경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 방법 4
Ⅱ. 제주어 동요학습애니메이션 필요성 6
1. 소멸위기의 제주어 보존 역할 6
2. 제주어 학습과 교육적 의미 10
1) 언어 습득 10
2) 학습 방법 제공 12
3) 학습 효과의 제고 14
3. 제주어 콘텐츠의 활용 가치 17
Ⅲ. 제주어 동요학습애니메이션 개발 방향 19
1. 언어 학습을 위한 분석틀 도출 19
1) 동요의 유형 19
2) 노랫말과 학습 낱말 21
3) 캐릭터 분류 23
4) 공간적 배경 25
2. 언어 학습 콘텐츠 사례분석 26
1) 들엄시민 제주어 애니메이션 27
2) 뽀로로와 노래해요 30
3) 핑크퐁! 가나다 한글 33
4) 모두모두 쇼 36
5) 치로의 클래식 동요 39
6) 동요학습애니메이션 함의와 성찰 43
3. 제주어 동요학습애니메이션 개발 방향 46
Ⅳ. 제주어 동요학습애니메이션 개발 49
1. 동요 선정 49
2. 제주어 학습 노랫말 선정 51
3. 캐릭터 설정 54
4. 공간적 배경 설정 60
5. 스토리보드 제작 65
Ⅴ. 결론 71
참고문헌 73
Abstract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소희. (2020). 미취학 어린이 대상 제주어 동요학습애니메이션 콘텐츠 개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