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대학생의 체형인식에 따른 식행동, 체중조절 행태 및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ietary Behavior,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by Recognition of Body Image for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 식행동 및 식습관, 체중조절 행태, 영양교육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일반사항과 체형인식에 따른 식행동 및 식습관, 체중조절 행태 및 영양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제주지역 대학생이 자신의 체형을 올바르게 인식하여 바람직한 식생활과 자신에게 알맞은 체중조절 방법에 대한 영양교육을 확립하는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20일부터 5월 26일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집계된 조사대상자 363명(90.8%)의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Win Program (ver.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t-test, χ²-test, ANOVA(Dunca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남자 39.4%, 여자 60.6%로 여자가 많았고, BMI 분포에서 남자는 과체중이 53.5%이고, 여자는 정상체중이 68.2%를 차지해 남자 대학생의 과체중군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BMI군에 따른 체형인식은 전체적으로 BMI가 높을수록 자신의 체형을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는 과체중군에 속하지만 자신의 체형을 '보통'이라 인식하고, 정상체중군에 속하지만 자신의 체형을 '말랐음'으로 인식하였다. 여자는 정상체중군에 해당되지만 자신의 체형을 '뚱뚱함'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체형만족도는 자신의 체형을 '뚱뚱함'으로 인식할수록 불만족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남자에 비해 여자가 체형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체형의 결과, 자신의 체형이 '보통'이라 생각하면서도 이상적인 체형으로 '마
른체형'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식행동 및 생활습관은 여자는 식사를 천천히 하는 경향을 보였고,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다. 남자는 여자에 비해 운동을 하는 횟수가 많았으며 외식, 음주, 흡연빈도가 높아 성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은 30점 만점 중 평균 17.52점으로 대학생 전반적으로 식습관이 불량으로 평가되었다. 성별, BMI에 따른 식습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항목들은 남자에 비해 여자가 과일섭취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정상체중군'이 '적당한 식사량'에서 과체중군에 비해 적당하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 행태는 자신의 체형을 '뚱뚱함'과 '보통'으로 인식하는 군이 체중감량에 관심이 높았고 실제로 체중조절을 시도하였으며, 식단을 조절하거나 고강도의 운동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남자는 운동을 통해 체중조절을 하는 경향이 높고, 여자는 운동보다는 식단조절과 기능성 식품섭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영양교육 요구도는 영양정보 관심도에서는 체형을 '보통'과 '뚱뚱함'으로 인식하는 군이 '말랐음'라고 인식하는 군에 비해 관심 높았고, 영양교육 주제 필요도에서는 체형을 '뚱뚱함'으로 인식하는 군이 '체중조절 방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신의 실제 체질량지수에 비해 남자는 자신의 체형을 과소로 인식하고 여자는 과대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체형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양상이 나타나, 여자는 표준체중을 유지하는 중요성이 인지되어야 할 것이고, 남자는 체중과 건강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 체중조절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바람직한 체중조절 방법은 운동과 병행한 식이조절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시켜주기 위한 실질적인 영양교육과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of body image, dietary behaviors,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for the questionnaires from 400 university students in Jeju surveyed from May 20 to May 26, 2020 with the aim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desirable dietary behaviors and weight control methods by accurate recognition of their body image. A total of 363(90.8%) questionnaires out of 400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analysis, χ2-test, t-test and ANOVA through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21.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der of subjects, female was 60.6% and male was 39.4%,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female was more than that of male. In terms of the body mass index(BMI) distribution, the overweight group in male indicated for 53.5% and the normal weight group in female indicated for 68.2%, showing that the overweight ratio in 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econd, as a result of recognition of body image, male typically recognized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of body image, dietary behaviors,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for the questionnaires from 400 university students in Jeju surveyed from May 20 to May 26, 2020 with the aim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desirable dietary behaviors and weight control methods by accurate recognition of their body image. A total of 363(90.8%) questionnaires out of 400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analysis, χ2-test, t-test and ANOVA through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21.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der of subjects, female was 60.6% and male was 39.4%,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female was more than that of male. In terms of the body mass index(BMI) distribution, the overweight group in male indicated for 53.5% and the normal weight group in female indicated for 68.2%, showing that the overweight ratio in 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econd, as a result of recognition of body image, male typically recognized
recognized body image as a 'normal' and an 'obesity' showed a higher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than the group that recognized 'skinny', and in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topic, the group that perceived body image as an 'obesity'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in 'weight control method'.

In summary of the discussion above, it was found that male tend to underestimate their body image and female tend to overestimate them compared to the actual BMI. In other words, the subjects showed an aspect of not being able to recognize their own body image accurately. In this context, the educations are required for female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standard weight, and for male to recognize a need for weight control by having an awakening on weight and health.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are necessary in order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at a desirable weight control method is a dietary control in parallel with exercise.
Author(s)
양지숙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603
Alternative Author(s)
Yang, Ji S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ⅲ
국문요약 ⅴ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체형인식 4
2. 대학생의 식행동 및 식습관 5
3. 대학생의 체중조절 실태 6
4. 영양교육 필요성 8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0
1. 조사대상 및 기간 10
2. 조사내용 및 방법 10
3. 자료의 분석 및 통계처리 12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3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3
1) 일반사항 13
2) 조사대상자의 체격 특성 14
2. 조사대상자의 체형인식 및 체형만족도 15
1) 일반사항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형만족도 16
2) 체형인식에 따른 체형만족도 및 이상적인 체형 19
3. 조사대상자의 식행동 및 식습관 20
1) 식행동 20
(1) 일반사항에 따른 식행동 및 생활습관 21
(2) 체형인식에 따른 식행동 및 생활습관 24
2) 식습관 25
(1) 일반사항에 따른 식습관 25
(2) 체형인식에 따른 식습관 28
4.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 행태 29
1) 체중조절 관심도 및 체중조절 유형 29
(1) 일반사항에 따른 체중조절 관심도 및 체중조절 유형 30
(2) 체형인식에 따른 체중조절 관심도 및 체중조절 유형 31
2) 체중조절 시도 방법 33
(1) 일반사항에 따른 체중조절 시도방법 34
(2) 체형인식에 따른 체중조절 시도방법 35
3) 체중조절 경험 36
(1) 일반사항에 따른 체중조절 경험 37
(2) 체형인식에 따른 체중조절 경험 39
5. 조사대상자의 영양교육 요구도 40
1) 영양교육 필요성 및 참여 의향 41
(1) 일반사항에 따른 영양교육 필요성 및 참여 의향 41
(2)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교육 필요성 및 참여 의향 42
2) 영양정보 관심도 및 영양교육 주제 43
(1) 일반사항에 따른 영양정보 관심도 및 영양교육 주제 44
(2)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정보 관심도 및 영양교육 주제 46

Ⅴ. 결론 및 제언 47

Ⅵ. 참고문헌 52
부록 (설문지) 58
ABSTRACT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지숙. (2020). 제주지역 대학생의 체형인식에 따른 식행동, 체중조절 행태 및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