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ng Effect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Career Self-efficacy Perceived by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 능감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 내 5, 6학년 학생 415명이며, 측정도구는 가족 내 사회 적 자본 척도, 진로자기효능감 척도, 자기성찰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 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유 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 기성찰지능과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기성찰지능도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의 관 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자기성찰지능은 가족 내 사회적 자 본이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기 성찰지능, 그리고 진로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자기성찰지능을 높여줌으로써 진로자기효능감도 함께 높여준 다는 점과 자기성찰지능이 이 두 변인의 부분적인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관련 교육기관에서는 자기성찰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이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한 충분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은 초등 고학년 학생으로 하여금 진로자기효능감 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가정에서는 효과적이고 다양한 사회적 자 본이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For High grader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career self-efficacy,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o examine whether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career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415 six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ju-do, The measurement tools were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scale, career self-efficacy scale,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al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SPSS 18.0,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areer self-efficacy perceived by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children's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areer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self-efficacy,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self-efficacy. In additio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rapersonal intellige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career self-efficacy perceived by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career self-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relationship and path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areer self-efficacy perceived by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shows that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nhanced by increasing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s an important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nd career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unseling and experiential programs capable of improving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o apply them to the field of school. Furthermore, because sufficiant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is an important resource capable of improving the level of career self-effic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effective and various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t home.
Author(s)
박순희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637
Alternative Author(s)
Park, Soon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ⅰ
목 차 ⅲ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6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1. 진로자기효능감 9
가. 진로자기효능감의 개념 9
나.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 10
2. 가족 내 사회적 자본 13
가. 사회적 자본의 개념 13
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의 개념 및 하위요소 15
3. 자기성찰지능 17
가. 자기성찰지능의 개념 17
나. 자기성찰지능의 하위요소 19
4. 선행연구 고찰 21
가.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과의 관계 21
나. 자기성찰지능과 진로자기효능감과의 관계 25
다.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기성찰지능과의 관계 27
라.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28
Ⅲ. 연구 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측정 도구 31
3. 연구 절차 35
4. 분석 방법 36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7
1. 기술통계 37
2. 가족 내 사회적 자본, 진로자기효능감, 자기성찰지능의 상관관계 40
3.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42
Ⅴ. 논의 및 제언 45
1. 논의 45
2. 제언 48
참고문헌 49
Abstract 59
부 록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순희. (2020).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