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조선시대 산수시가의 전개양상과 시세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Pattern and Poetic Manifestation of the Sansu-Poetry in Chosun Dynasty
Abstract
한국문학사에서 산수시가(山水詩歌)는 시조와 가사를 비롯한 많은 작품을 산출 했으며 높은 시가예술적 경계를 개척하였다. 한국의 산수시가가 중국에서 유입된 이후 한국문학화 되었다는 점은 동양문학의 보편적 예술형식 속에서 자체적으로 극대화되어 독창적인 문예사조로서 확립되었다는 것이다. 산수시가는 자연에 대한 한국인의 미감과 미에 대한 인식의 영역을 하나의 의 상(意象, image)으로 형상화한 문학이다. 산수시가에서의 '산수(山水)'는 '산(山)' 과 '물(水)'로 대유되는 '자연(自然)'과 자연경물을 지칭하는 것이기도 하면서, 자 연경물의 아름다움(美)을 노래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문학세계에서 자연 물을 대상으로 작가의 미감을 형상화한 것으로, 이때 자연경물의 현상적 아름다 움(美)이 산수시가에서 형식미(形式美)이며, 작가 개인의 미감은 작품에서 서정의 영역으로 형상화된다. 또한 산수는 대자연이라고 하는 우주적 존재로 산수경물이 조화롭게 결합된 세계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산수관(山水觀)은 곧 세 계관이기도 하고, 미의 원리가 함축되어 있는 독립적 존재이며 미적 이념을 내포 한다고 할 수 있다. 산수문학의 하위 양식은 산수시(山水詩), 산수유기(山水遊記), 산수기(山水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산수시는 운문으로 구성된 산수문학이다. 산수유기는 산수 유람 기록으로 창작된 것으로 기행문학적 성격을 가진다. 산수유기와 달리 산수 기는 실제의 기행이 아닌 산수에 대한 사실적인 보고와 설명의 성격이 강한 장 르이다. 이 연구에서는 산수문학의 산수시(山水詩), 산수시 중에서도 순수 국문학 장르인 시조와 가사, 경기체가 작품을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삼아 이를 '산수시 가'라고 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한시(漢詩)와 산수유기(山水遊 記)도 보조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의 근거로 삼았다. 이 연구는 '산수문학'의 하위 양식인 '산수시가'의 전개 양상을 포착해내는 과정 이다. 산수시가의 중요한 전제 조건은 유학(儒學)이 배경사상이라는 점이다. 조선 시대 산수시가는 성리학적 미감이 배경으로 작용하고 그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선시대 산수시가 연구는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의 성리학적 배경과 그 안의 미학적 인식의 개념을 발굴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연구는 유학자의 문학으로 조선시대 산수시가를 획일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 작가 개인의 개 성을 발굴함으로써 산수문학의 큰 흐름 속에서 산수시가의 다양성을 찾고자 하 였다. 한국문학에서 유학은 초기 유학자의 경세학(經世學)에서 중기 이론 중심의 수 양론적(修養論的) 성리학, 임병양란(壬丙兩亂) 이후의 실학(實學)으로 이어졌으며, 이론과 실천의 문제에 있어서 경세학파(經世學派)와 사림파(士林派), 도학파(道學 派)의 흐름으로 연결된다. 또한 사화기 이후 절사림파(士林派)의 등장은 유학적 이념에 따라 많은 유파들 이 존재하였다. 이 속에서 보편성 위에 다양한 미감과 개성적 세계를 펼친 조선 시대 산수시가의 개성적 문제를 발견하고자 산수시가 전개라는 통시적 연구방법 뿐만 아니라 공시적 연구방법으로서 작품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려 말에서부터 조선조에 이르는 한국 사상사의 흐름과 특징, 조선시대 대표적인 작가의 문학세 계를 살펴봄으로써 산수시가의 일반적 특징과 전형성, 각 시기의 문학사적인 연 속성과 흐름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학자들의 학문적 관점이나 삶의 시대적 공통점 등의 이유에 대하여 문학세계의 유사성과 보편성의 공유를 전형화하여 각각의 특징으로 분류 해 보았으니,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산수시가는 성리학의 발달과 더불어 높은 예술적 경계를 개척 하였다. 우리나라는 고려 말 안향에 의하여 주자학이 도입된 이래 이식기를 거쳐 고려 말에 이르러 착근기를 맞이하고 조선 건국으로 통치이념으로 새로운 국가 적 질서와 가치관을 수립, 역사적으로 유교적 이념은 더욱 강화되었다. 따라서 성리학은 유교의 새로운 학문적 경향을 제시한 조선조 사회의 기반을 형성한 사 상적 배경이요, 문화환경으로 산수시가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둘째, 치사 후의 귀거래는 사화기를 거치면서 굉장히 관료화된 사회에서 이상 향적인 삶으로 인식되었다. 맹사성, 정극인, 이현보는 조선시대 사림중심 성리학 적 문학사상에 의해 부화(富華)한 수사적 기교에서 벗어나, 이념적 표상을 형상 화하는 기풍을 형성하고 진작·발전시켰다. 맹사성과 이현보는 산수에 은거하였으 나, 그 시가 작품은 자기위안적 현실초탈적 이상세계를 지향하였다. 정극인은 현 실주의적 세계관에 입각한 사실적 산수미(山水美)와 서정으로서의 산수락(山水 樂)을 형상화하였다. 셋째, 사림파는 산수은거를 통한 학문연구와 도의 실천을 통해 대자연의 이법 과 조화로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퇴계가 도산은거를 통해 그 이상을 실현하고 「도산십이곡」를 지어 산수문학을 빛냈으며, 회재의 「임거십오영」을 차 운하여 동일한 제목의 시를 창작하는 데까지 이른다. 넷째, 김광욱의 「율리유곡(栗里遺曲)」에 형상화된 산수은거와 산수유상을 통한 산수락은 탈속적이지만 인간의 세상과 단절되지 않는다. 시적 자아는 세속적 욕 망과 명예로부터 멀어졌으나, 인간이 가진 적절한 욕망이 오히려 산수은거의 삶 을 평화롭고 아름다우며 만족스럽게 만든다. 권호문의 시세계와 비교해 볼 때 동 일한 처사문학 범위이나, 「율리유곡」이 훨씬 더 반문명적이며 자연친화적이고 탈 속적인 시세계를 형상화하였다. 다섯째, 노계의 전원락(田園樂)은 현실초탈적인 산수락과 비교하여 볼 때 삶의 공간으로 표현된다. 노계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산수에서 선비의 은거를 이상으로 삼고 학문수양을 지향점으로 설정하였다. 이것은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현실과 이 상이 결합된 산수락의 변용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산수관의 근대적 큰 전환점을 여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여섯째, 윤선도의 시가는 현실지향의 의식과 이상이 공존하며 상충하는 갈등과 번민적 요소를 보인다. 그러나 의도적 원림조성으로 갈등을 초월하여 의식적 만 족과 개인적 이상달성의 목표를 성취하였다. 이는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에서 표현되며, 이상지향의 유미적 산수미를 형상화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논의한 조선시대 산수시가의 가장 큰 특징은 이념으로서의 미적 지 향이다. 이념의 미는 최고 가치로서의 미이며, 정신적 이상 추구의 미이다. 그래 서 시대별 작가의 특징을 밝혀 조선시대 산수시가의 전개 양상과 시세계의 미적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ansu literature produced many poems and lyrics, and pioneered high poetry and artistic boundaries. The fact that Korean literature became Korean literature after its introduction from China was that it was established as a unique literary trend by maximizing itself in the universal art form of Oriental literature. Sansu Literature is a literature that embodies the Korean sense of nature and the perception of beauty as an image. 'Sansu' in Sansu literature refers to 'nature' and natural scenery, which are roughly represented by 'mountain' and 'water', but also encompasses singing about the beauty of natural scenery. In the literary world, the artist's aesthetics are imaged for natural objects. At this time, the phenomenal beauty of natural landscapes is the formal beauty in landscape literature, and the individual aesthetics of the artist are embodied in the area of lyricism in the work. In addition, landscape painting is a cosmic existence called Mother Nature, and it also means the world itself, in which landscape landscapes are harmoniously combined. It is said that the landscape view is also a world view, an independent being implied by the principles of beauty, and implies aesthetic ideology.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capturing the 'development' and 'the aspect' of the literary movement called 'Sansu Literature'.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Sansu literature is that studying abroad is a background thought. The Joseon Dynasty Sansu Literature forms the basis of the background of the aesthetic sense. 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discover the concept of the astrological background and the aesthetic percep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diversity of Sansu literature in the great flow of Sansu literature by discovering the individuality of each writer, rather than uniformly interpreting Joseon Dynasty literature as Confucian literature. Confucianism in Korean literature continued from the early scholar's economics to the mid-term conscientious theology, and the real science after Lim Byung-yang, and connected to the flows of the economics, the president, and the Taoist in theory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Jeonuipa and Sarimpa after the period of Sahwahwa existed according to Confucian ideology. In order to discover the unique problems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and Literature, which spread a variety of aesthetics and a unique world on top of universality, we examined the aspects of the work as a synchronic research method as well as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 of the development of Sansu literature. By examining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hought history from the end of Goryeo to Joseon Dynasty, and the literary world of the representative authors of Joseon Dynasty,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ypicality of landscape literature and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continuity and flow of each period. The Sansu literature is divided into arithmetic time, arithmetic period, and arithmetic period in the lower genre. At this time, Sanshui City is an Sansu literature composed of verses. The arithmetic period was created as a record of arithmetic excursions and has a travel literary character. Unlike the period of arithmetic, the period of arithmetic is not a real journey, but a genre with a strong personality of reporting and explanation. In this study,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jo and Lyric works, which are genres of pure Korean literature, among Sansu-si and Sansu-si. In addition, cChinese poetry of Sansu were also used as supporting data to serve as the basis for the study. In this study, the similarities of the literary world and the sharing of universality were typicalized for the reasons such as the academic viewpoint of scholars and the commonalities of life, so tha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seon Dynasty Sansu Literature pioneered a high artistic boundary with the development of theology. Since the introduction of runnership by the incense of the Goryeo Dynasty, Korea has reache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rough transplantation, established a new national order and values as a ruling philosophy as the founding of Joseon, and historically Confucian ideology has been strengthened. Therefore, Confucianism was the ideological background that formed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society, which suggested a new academic trend of Confucianism,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Sansu literature as a cultural environment. Second, Chisaguieun was recognized as a very glorious and idealistic person in a very bureaucratic society through the period of narration. Maeng Sa-sung, Jeong Guk-in, and Lee Hyun-bo formed a spirit of ideological representation and promoted, developed and promoted by pursuing Joseon Dynasty through Salim-centered literary and ideological ideology. The desperation and Lee Hyun-Bo retired from the landscape, but if the poem aimed for a self-comforting real world beyond ideals, the positive man embodied a realistic landscape and a landscape as a lyricism based on a realistic worldview in the form of a self-contained forest. Did. Third, Hoe-jae's "Im Geo-sip-Oh-Young" embodies the natural law and harmony of nature through academic research and practice of Taoism. This is the object of honor and standardization by Toe-gye, leading to the creation of a poem with the same title by the Toe-gye's reign of the 'Im Geo-sip-Oh-Young' of Hoe-jae. Fifth, the mountainous mercury through the gwangwook Kim's "Yul-ri-Yu-gok" and the mountainous luxuriation through the mountainous landscape are secular, but are not disconnected from the human world. The poetic ego is far from worldly desires and honors, but the proper desires of humans make life in peace, beautiful, and satisfying. Compared to Kwon Ho-moon's poetic world, the same range of jurisdiction literature, or 'Yul-ri-Yu-gok', embodied a much more counter-civilized, nature-friendly, and secular poetic world. Sixth, No-gye's Jeon-won-locks are expressed as a space of life compared to the realistic surreal of Jang Hyun-gwang. In the mountain landscape as a living space, Roh Gye took the refusal of scholarship as an ideal and set academic discipline as a goal. This is very realistic, but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transformation of a mountain landscape that combines reality and ideal. You can find a big modern turning point in the landscape. Seventh, Yun Seon-do shows conflicting and annoying factors that conflict with reality-oriented consciousness and ideal-oriented ideals. However, the goal of achieving conscious satisfaction and personal ideal was achieved by transcending conflict with intentional gardening. It will be said to be "Eo-bu-sa-si-sa", and it will be said to shape the aesthetic landscape of the ideal.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Joseon Dynasty's Sansu literature discussed above is the aesthetic orientation as an ideology. The beauty of ideology is the beauty of supreme value and the pursuit of mental ide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ansu literature by arranging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s of each period as aspects of Joseon dynasty Sansu literature. The beauty of Joseon Dynasty Sansu literature is a beauty as a mental value, and we can find its value in the flow of Sansu literature.
Author(s)
고승관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645
Alternative Author(s)
Ko, Seung Gw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교육과
Advisor
손오규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4
Ⅱ. 조선시대 성리학의 흐름과 산수시가 13
Ⅲ. 경국제민의 이상과 귀거래효방 17
1. 맹사성의 致仕燕居와 역군은 18
2. 이현보의 귀거래와 山水遊賞 29
Ⅳ. 獨善山林의 이념과 천석고황 45
1. 이황의 천석고황과 왕래풍류 46
2. 권호문의 閑居와 隱居求志 62
Ⅴ. 도학실천의 자성과 전원회귀 81
1. 김광욱의 율리은거와 한적 81
2. 박인로의 생활공간과 田園躬耕 88
Ⅵ. 예학명분의 논쟁과 원림조성 107
1. 윤선도의 보길도 원림과 독립공간 107
Ⅶ. 조선시대 산수시가의 흐름과 의의 129
Ⅷ. 결 론 140
참고 논저 145
Abstract 154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승관. (2020). 조선시대 산수시가의 전개양상과 시세계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Language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