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退溪·松巖 詩歌의 山水美와 문학교육적 의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Natural Beauty and Literary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oegye·Songam's Poetry
Abstract
본 연구는 退溪·松巖 詩歌의 山水美가 담고 있는 自己實現的 가치 지향과 문학교육적 의의를 발굴하고, 이것이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철학적 탐구공동체 모형을 적용하여 지도안으로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우선 퇴계·송암 시가의 학문적 배경인 性理學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두 학문이 보편적 理와 명증한 앎이라는 진리를 궁구하고, 그 과정에서 주체의 자기 수양과 자기 비판적 노력을 요구한다는 공통점 때문이었다. 이처럼 간학문적 탐구의 결과로 확인된 두 학문의 상보적 관계는 현상학의 의식의 지향성이 현상학적 환원을 통해 성리학의 理一分殊의 세계관을 포착하고, 이때 포착된 理一分殊는 다시 주체의 倫理的·道德的 실천 당위가 돼 자아와 세계의 조화를 이끌어내는 데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찰의 결과를 본 연구는 퇴계·송암 시가의 美意識이 함의하고 있는 가치 지향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적용하였다.
Ⅱ장 退溪‧松巖 漢詩의 山水美와 現象學的 이해에서 시적 화자의 美的 감흥은 山水의 形式美와 內容美가 의식의 지향성에 포착·구성되어, 理一分殊의 진리가 이성적·감성적으로 충족되었을 때 표면화됨을 확인하였다. 즉, 理一分殊를 깨달은 시적 화자의 미적 감흥의 표현은 本然之性 추구 양상을 띠게 되며, 구체적으로 이는 퇴계의 작품에서 '感發融通'으로, 송암의 작품에서 '感發興嘆'을 지향함으로써 주제와 미의식, 시상 전개의 차이를 유발한다.
다음으로 Ⅲ장 退溪‧松巖 時調의 山水美와 現象學的 이해에서, 「陶山十二曲」과
「閑居十八曲」의 독특한 詩境은 理一分殊를 체현하고자 하는 시적 화자의 의식구조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확인되었다. 그 시경은 구체적으로 「도산십이곡」에서는 유기체적 山水觀, 「한거십팔곡」에서는 자아 인식의 확립을 통해 완성되는데, 이를 위한 시적 화자의 실현 의지는 두 작품에서 산수은거를 통한 道의 실천으로 구체화된다. 따라서 두 작품의 시상 전개와 가치 지향적 미의식은 보편적 理를 이해하고 그 안에서 자기를 최대로 실현하며 완성하는 상태를 지향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Ⅳ장 退溪‧松巖 詩歌의 自己實現的 가치 지향과 문학교육에서는 문학 제재인 삶과 인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활용한 수업 모형과 지도안을 총 3차시로 구안하여 「도산십이곡」과 「한거십팔곡」 학습의 실제를 다루었다. 문학이 삶과 인간을 제재로 삼고 있다는 점은 학습자의 이에 관한 철학적 사유를 요구하게 되고, 그 사유의 결과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모형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 이는 곧 개인과 공동체의 공존을 시도하는 현재의 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핵심역량을 기르는 데 주목하는 현 국어과 교육과정의 취지에도 부합한다.
본 연구는 고전의 역사적 산물로서의 당위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유의미하고 생명력 가득한 지혜로서의 문학교육적 의의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연구의 결과로서 퇴계·송암 시가의 문학교육적 의의란 성리학과 현상학이 지향하는 자기 경계와 자기 수양을 통한 자기실현적 가치의 학습에 있고, 그들의 작품에는 이러한 가치가 독특한 미의식과 시경으로 반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uthor(s)
엄준역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656
Alternative Author(s)
Eom, Jun Ye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손오규
Table Of Contents
Ⅰ. 序論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및 내용 13
Ⅱ. 退溪松巖 漢詩의 山水美와 現象學的 이해 19
1. 理一分殊와 산수경물의 形式美 19
2. 理一의 理와 가치 지향의 內容美 22
3. 美的 감흥의 표현과 本然之性의 추구 26
Ⅲ. 退溪松巖 時調의 山水美와 現象學的 이해 32
1. 陶山十二曲에 나타난 山水觀 32
2. 閑居十八曲에 나타난 자아 인식 42
3. 산수은거와 道의 실천 54
Ⅳ. 退溪松巖 詩歌의 自己實現的 가치 지향과 문학교육 56
1. 문학 제재로서의 삶과 인간에 대한 성찰 56
2.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 59
3.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수학습 지도안 구안 66
Ⅴ. 結論 79
82
Abstract 8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엄준역. (2020). 退溪·松巖 詩歌의 山水美와 문학교육적 의의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