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s of Internalized Shame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s of magnetic merc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소재 남녀 대학생 400 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5일부터 5월 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총 388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 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측정도구는 이인숙과 최해림(2005)이 타당화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2008)이 타당화한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Mattick과 Clarke(1998)가 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를 김향숙(2001)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자기자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 수록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 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 록 자기자비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자기자비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 안은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는데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낮 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자비를 매개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본 결과, 매개변인인 자기자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기자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자비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상담장면에서 상담자 는 대학생 내담자를 대함에 있어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일으키는 주 된 요인이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내담자를 대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상 담 및 치료장면에서 자기자비적인 태도를 증진시키는 구체적인 상담방법 및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마련할 필요성을 보여줬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자기자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
수록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
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
록 자기자비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자기자비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
안은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는데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낮
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자비를 매개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본 결과, 매개변인인 자기자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기자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자비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상담장면에서 상담자
는 대학생 내담자를 대함에 있어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일으키는 주
된 요인이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내담자를 대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상
담 및 치료장면에서 자기자비적인 태도를 증진시키는 구체적인 상담방법 및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마련할 필요성을 보여줬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social interaction anxiety, mediating effects of magnetic mercy.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n online survey, Ambassador of 40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Jeju area., From April 15 to May 8, 2020. Of the 400 copies, 388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e SPSS 22.0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measuring instrument is Lee In-sook and Choi Hae-rim(2005) have just made sense, internalized shame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defense scale, which was justified by Kim Kyung-eui, Lee Geum-dan, Cho Yong-rae, Chae Sook-hee and Lee Woo-kyung (2008),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developed by Mattick and Clarke (1998) was translated and justified by Kim Hyang-sook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elf-sufficienc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o each other. internalized shame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higher the - 52 - internalized shame, the higher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ternalized shame, on the other hand, showed a significant misconception of self-sufficiency. This can be seen as the higher the internalized shame, the lower the self-esteem. In addition, self-estee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were found to be ineligible,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self-sufficiency, the lower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we looked at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self-sufficiency, We could confirm that magnetic mercy had a partial effec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nternalized shame affects social interaction anxiety directly, but indirectly through the parameter, self-sufficiency. The above findings show that internalized shame in college students affects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self-sufficiency. In response, the counselor understood that internalized shame was the main factor caus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and realized the need to deal with them.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tudy showed the need to develop and develop specific counseling methods and programs to promote self-serving attitudes in counseling and treatment to reduce anxiety about social inter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Author(s)
이혜영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662
Alternative Author(s)
Lee, Hye 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7
3. 연구모형 8
4.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내면화된 수치심의개념 및 특징 10
2.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개념 및 특징 12
3. 자기자비의 개념 및 특징 14
4. 선행연구 고찰 16
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 16
나. 자기자비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 19
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 간의 관계 20
라.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자기자비 간의 관계 21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측정도구 25
3. 자료분석 2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29
2.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상관관계 30
3.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34
Ⅴ 논의 및 제언 37
참고문헌 41
Abstract 51
부록 설문지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혜영. (202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