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세대 간 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Generational Welfare Attitudes o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Focus on College Students and Middle-Aged Adul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부양의무세대인 중장년과 미래의 부양의무세대인 대학생의 복지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은 복지태도의 하위 요인인 복지책임의 주체, 복지기능의 정당성, 복지비용부담의 수용성, 정부의 복지재정 확충과 노인부양의식의 하위 요인인 경제적 부양의식, 정서적 부양의식, 신체적 부양의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도내 대학생 153명, 중장년 151명, 총 304명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세대와 중장년 세대 모두 복지태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복지에 민감한 중장년 세대가 대학생 세대에 비해 복지태도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 세대는 부모와 동거할 때, 복지에 대한 선호 및 정부의 재정 확충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중장년 세대에서 40대가 50대에 비하여 복지 친화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세대와 중장년 세대의 노인부양의식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세대 간 비교에서는 현재 부양의무를 지고 있는 중장년 세대가 대학생 세대에 비해 경제적·정서적·신체적 부양의식 모두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 세대는 주관적 가정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중장년 세대는 부
부모와 동거일 때 노인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봉사활동경험이 있을 때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았고, 성별에서는 남자의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 세대와 중장년 세대의 복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경제적 부양의식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세대가 정부의 복지재정 확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때 정서적 부양의식과 신체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종합할 때 세대 간의 복지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의 차이가 있으며,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하여 미비한 점을 보완한다면 제주지역에 적합한 공적부양체계를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between the middle-aged generation with the
current duty to support the elderly and college students with the future duty
to support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ir welfare attitudes on
their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comprised the subfactors of welfare attitudes and the subfactors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e subfactors of welfare attitudes included the
main agent responsible for welfare, legitimacy of welfare functions,
acceptability of bearing welfare costs, and the government's expansion of
welfare budgets. The subfactors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cluded the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awareness of emotional support,
and awareness of physical support. The study involved 304 subjects
comprised of 153 college students and 151 middle-aged adults and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oth college students and middle-aged adults showed relatively
high-level welfare attitudes, but the middle-aged adults, who were typically
sensitive to social welfare, exhibited higher-level welfare attitudes than
college students in all subfactors. The college students who lived together
with their parents exhibited preferences for welfare an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government's budget expansion. In the middle-aged generation,
those in their 40s showed more welfare-friendly attitudes than those in their
50s.
Second, college students and middle-aged adults had relatively high levels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 generational comparison showed
that middle-aged people with the current duty to support the elderly exhibited
an overall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an college
students in all subfactors of economic,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for the
elderly. The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subjective household incomes
showed corresponding higher levels of awareness of emotional support for the
elderly. For the middle-aged adults, those who lived together with their
parents showed an overall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ose with a volunteer experience exhibited an overall
high level of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In terms of
gender, men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welfare attitudes o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The positiv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middle-aged adults on welfare influenced
their formation of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When college students had positive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expansion
of welfare budgets, it affected their awareness of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for the elderly.
The incorporation of these findings indicates the presence of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elfare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s well as the influence of welfare attitudes o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is study will become valuable data to establish an appropriate
public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Jeju region when combined with
the follow-up research that will compensate for the current inadequate areas.
Author(s)
김경범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676
Alternative Author(s)
Kim,Kyeong Beo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고관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5
1. 세대의 개념. 5
2. 노인부양의식. 6
1) 노인과 노인부양의식 6
2) 노인부양의식 선행연구. 15
3. 복지태도 19
1) 복지태도와 구성요소 19
2) 복지태도 선행연구 22
Ⅲ. 연구방법 28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8
2.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9
1) 연구모형. 29
2) 연구가설. 30
3. 측정도구 31
1) 종속변수. 31
2) 독립변수. 32
3) 통제변수. 33
4. 분석방법 34
Ⅳ. 연구결과 35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5
2. 주요 변인의 집단 간 차이 검증. 38
1) 세대 간 주요 변인의 차이 검증. 38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 검증 39
3.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48
4. 주요 변인 간 영향 요인 분석. 50
1) 경제적 부양의식의 회귀분석 50
2) 정서적 부양의식의 회귀분석 52
3) 신체적 부영의식의 회귀분석 54
Ⅴ. 결론 및 제언 56
1. 요약. 56
2.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0
ABSTRACT. 66
설문지. 6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김경범. (2020). 세대 간 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