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중장년층 1인가구의 생활만족에 대한 유형화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Typology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 Person Household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1인 가구 중에서도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생활만족도에 대한 유형화를 통해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복지적 차원에서의 지원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 인식을 유형화하는 연구와는 차별되며 직무 스트레스, 자기조절 능력, 사회적지지,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만족 정도 4개의 하위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유형화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개의의 의견, 태도, 가치관 등 주관적 현상을 객관화하기 유용한 Q방법론을 이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IBM SPSS Statistics 25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제주지역의 중장년층 만 40세 ~ 만 64세 중 통계청에서 정의하고 있는 혼자 살림하는 1인 가구 39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지역 중장년층 1인가구의 생활만족도를 유형화 한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1은 '자기 만족형'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의 자기조절능력이 뛰어나다. 이는 스스로 자신에 대한 인지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고, 타인과의 관계도 원만한 유형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유형2는 '타인 의존형'이다.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많은 의식을 하고 의존을 하는 유형이다. 반면 사회적인 관계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자신 스스로에 대한 생활만족은 낮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유형3은 '자기 불만형'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고 계획 또한 잘 짤 수 있고 주변사람들과의 인정 또한 받고 있으나, 자기 스스로에게는 만족보다는 불만이 가득한 유형이다. 유형 4는 '타인 방임형'으로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굉장히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주변사람들과의 소통, 관계 등에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1인 가구를 위한 문화, 여가 생활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참여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계에서의 중장년층 1인 가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 한계점은 조사 대상이 제주지역 중장년층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1인 가구에 대하여 혼자가 아닌 공동체 안에서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수립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y categoriz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n Jeju among various objects of single households increasing rapidly, and seek the direction of support at the welfare level.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tudies that categorize the life satisfaction perception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mainly analyzed and categorized four sub-variables such as job stress, self-regulation ability,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overall life.
As a research method, we used Q methodology which is useful for objectifying subjective phenomena such as individual opinions, attitudes, and values, and analyz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 statistical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9 single-person households defin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mong those middle-aged 40 ∼ 64 in Jeju.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categoriz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 person households in Jeju showed four types. Type 1 is a 'self-satisfaction type' who has self-control capability in any situation. This type has high cognitive ability in themselves and being aware of positive supporting by the others. Type 2 is 'others dependence type'. It is a type of being aware of and depend on relationships a lot with people around them. This type recognize social relationship positively but they have low life satisfaction Type 3 is 'self complaint type'. People in this type can judge right and wrong, make a good plan, and are also recognized by the people around them, but they are more dissatisfied than satisfied with themselves. Type 4 is a 'others neglect type,' which recognizes that satisfaction with overall life is very high, while it is a type that negatively recognize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o easily access culture and leisure lif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for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to participate in social networks.
Third, studies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n academia will have to be actively conducted.
The limit of this study is restricting subjects in middle-aged single-person only in Jeju. A follow-up study is considered necessary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stablish policies to increa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ithin the community, not alone, for rapidly changing single-person households.
Author(s)
문정순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717
Alternative Author(s)
Moon, Jeong S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상미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Ⅱ. 이론적배경 및 선행연구고찰 5

1. 중장년층에 대한 정의 5
2. 1인가구의 대한 정의 6
3. 생활만족도의 개념 및 영향 요인 13
4. 선행연구고찰 15

Ⅲ. 연구방법 17

1. 연구설계 17
2. 연구절차 17
3. Q표본 구성 18
4. P표본의 구성 20
5. Q분류 과정 23
6. 자료분석 24

Ⅳ. 연구결과 25

1. 유형의 형성 25
1) 유형의 구성 25
2) Q표본에 응답한 유형별 표준점수 26
3) 유형별 상관관계 28
4) 유형별 인자가중치 28

2. 유형 분석 30
1) 유형 1 30
2) 유형 2 36
3) 유형 3 42
4) 유형 47

3. 유형분석 결과 54
1) 유형 1 : 자기 만족형 54
2) 유형 2 : 타인 의존형 56
3) 유형 3 : 자기 불만형 58
4) 유형 4 : 타인 방임형 60

4. 각 유형의 공통점과 차이점 63

Ⅴ. 결론 및 제언 68

참고문헌 76

영문초록 8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문정순. (2020). 제주지역 중장년층 1인가구의 생활만족에 대한 유형화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