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멘탈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Stress on Stress Coping Style and Mental Tough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멘탈력에 미치는 영향 과 함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멘탈력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내 대학생 40명의 대학생을 대상 으로 2020년 3월 21일부터 23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를 수정·보완하 여 본 조사를 2020년 3월 30일부터 4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은 온라인으로 무작위 조사하였는데, 총 응답자는 457명으로 그 중, 적절하지 않은 대상자나 응답자 19명을 제외하고, 총 438부의 응답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멘탈력의 일반적 실태를 살펴본 결 과, 대학생은 다양한 요인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고, 스트레스 요인은 장래 요인(13.7%), 대인관계 요인(11.9%), 학업 요인(10.6%), 경제적 요인(10.5%) 등의 순 으로 높게 나타났다. 객관적 수준과 주관적 수준으로 나누어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 준을 파악한 결과, 객관적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던 반면, 주관적 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극적 대처방식과 소극적 대처방식 모두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적극적 대처방식이 소극적 대처 방식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대학생의 멘탈력은 전체적으로 중간 수준이 었으며, 각 하위 요소 모두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았던 멘탈력의 하위 요 소는 전념 요소였으며, 자신감 요소가 가장 낮았다. 둘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차이를 가져오는 독립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적극적 대처방식은 성적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 났던 반면, 소극적 대처방식은 가정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 록, 스트레스의 주관적 수준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편 대학생의 멘탈력에 차 이를 가져오는 독립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멘탈력 전체는 남학생일 때, 성적이 높을 수록, 가정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 수록 높게 나타났다. 멘탈력의 하위 요소별로 살펴보면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가 각 각 다르게 나타났지만, 멘탈력의 통제 요소는 스트레스 수준이, 멘탈력의 전념 요소 는 성적이 보다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멘탈력의 도전 요소는 가정 경제 수 준이, 멘탈력의 자신감 요소는 성별이 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였다. 셋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적 극적 대처방식은 성적, 소극적 대처방식에는 삶의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생의 전체 멘탈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성별, 성적, 삶 의 만족도, 스트레스의 객관적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멘탈력의 하위 요소별로 영향 을 미치는 변수는 각 각 다르게 나타났다. 멘탈력의 하위 요소 모두에 영향을 미치 는 주요 변수는 성적과 삶의 만족도, 스트레스의 객관적 수준으로 나타나, 이러한 변수들이 멘탈력과 중요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멘탈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멘탈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특히 소극적 대처방식보다 적극 적 대처방식이 더 높은 상관성을 보였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그에 대한 반응적이 고 심리적인 특성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앞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와 멘탈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tress level on university students' stress coping style and mental toughnes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yle and mental tough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to 23, 2020 for 40 university students in Jeju Island, and the questionnaire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30 to April 20, 2020.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s a random survey, a total of 457 surveys were answered, and a total of 438 surveys were used as final analytical data, excluding 19 inappropriate topics or respondents. As an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conditions of stress, stress coping style, and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were experiencing stress from various factors. Stress factors appeared in the order of future factor(13.7%), interpersonal factor(11.9%), academic factor(10.6%), and economic factor(10.5%). Divided into the objective level and the subjective level, the stress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as identified, and the objective level was higher overall, while the subjective level was moderate. Also, looking at the stress coping style, both the active coping style and the passive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are moderate level, and the active coping style is slightly higher than the passive coping style.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was moderate, and each sub-factor was moderate. The highest sub-factor of the mental toughness was the commitment and the lowest sub-factor was confid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independent variables that make a difference in the stress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active coping was higher as their grad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were higher. Also, the passive coping style increases as the family's economic level and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but the subjective stress level was lower. Additio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make a difference in the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overall mental toughness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for higher grades, for higher levels of family's economics, for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for lower stress levels. Looking at each of the sub-factor of mental toughness, the variables that cause differences appeared differently, but the stress level was the more significant variable of the control factor of mental toughness, and grade was the more significant variable of the commitment factor of mental toughness. Also, family's economic level was the more significant variable of the challenge factor of mental toughness and gender was the more significant variable of the confidence factor of mental toughne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stress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positive coping style was affected by grade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overall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in objective levels of gender, grade,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The variables affecting each sub-factor of mental toughness were different. However,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all of the sub-factors of mental toughness were the objective level of grade and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se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ental toughnes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yle and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mental toughness and stress coping style had a positive correlation. In particular, the active coping style was higher than the passive coping style, but the difference wasn't bi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research to improve stress management and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stress level and reac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uthor(s)
이윤영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733
Alternative Author(s)
Lee, Yun 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활환경복지학과
Advisor
김혜연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연구의 개념적 모형 4
1) 연구문제 4
2) 연구의 개념적 모형 5
Ⅱ. 이론적 배경 6
1. 대학생과 스트레스 6
1) 스트레스의 개념 6
2) 대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및 수준 8
2 스트레스 대처방식 10
1)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념 10
2)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유형 11
3. 멘탈력 12
1) 멘탈력의 개념 12
2) 멘탈력의 연구동향 13
3) 멘탈력의 구성요소 15
4. 선행연구의 고찰 18
1)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18
2) 멘탈력 20
3)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멘탈력의 관계 22
Ⅲ.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4
2. 측정도구 24
3. 분석방법 2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8
1.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28
2.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대처방식, 멘탈력의 일반적 실태 30
1)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의 일반적 실태 30
2)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일반적 실태 33
3) 대학생의 멘탈력의 일반적 실태 34
3.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35
4.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멘탈력의 차이 37
5.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영향력 41
6. 멘탈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영향력 43
7.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멘탈력의 상관관계 46
Ⅴ. 요약 및 결론 48
참고문헌 53
Abstract 62
부록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윤영. (2020).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멘탈력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