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노자의 일손(日損)과 장자의 좌망(坐忘) 및 심재(心齋)를 중심으로 한 노장의 수양치료적 의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ignificance of Self-Cultivation Therapy of Lao-tzu and Chuang-tzu focused on Rìsǔn of Lao-tzu and Zuowang and Xīnzhāi of Chuang-tzu
Abstract
노자와 장자는 중국의 역사상 가장 난세였던 춘추전국시대 인물로 당시 정치 적 논쟁들 속에서 등한시했던 인간 본연의 문제에 대해 철학적 질문을 던지고 고뇌했다. 노자와 장자는 인간이 혼란과 고통의 상황에 빠진 것은 많은 욕망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현대인들 역시 고도의 발전을 이룬 현대문명 속에서 편안함을 누리며 살고 있으나 끊임없이 결핍을 느끼고 욕망한다. 노자와 장자는 진정 의미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뇌했다. 그 결과 인간의 마음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自然) 그대로의 상태로 회귀하고 도(道)와 덕(德)을 함양하는 수양을 이야기했다. 노장이 말했던 수양의 방법으로는 노자의 『도덕경󰡕 제48장의 일손(日損)과 『장자󰡕 「내편」 의 좌망(坐忘) 및 『장자󰡕 「내편」 의 심재(心齋)가 있다. 연구 자는 노장이 말했던 '수양'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것이 지니는 수양치료적 의의를 찾아보았다. 노자와 장자는 비움을 통해 도(道)와 가까워지고 만물과 조화롭게 무위(無爲) 하는 삶을 바람직한 이치라고 보았다. 인간은 이러한 자연(自然)의 순조로운 구 조를 파괴하려 하므로 황폐해진 몸과 마음 상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황폐한 마음을 회복하는 방법은 심신을 갈고닦아 마음속에 내재한 본성을 회복 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의 이치에 따라 자신을 변화시켜 참된 인간[眞人]이 되는 과정이다. 결국 수양치료는 인간이 인위적 작태를 벗고 도(道)와 가까워지는 데 치료 (cure) 목적이 있다. 또한 이것은 덕(德)을 함양하기 위한 자기 자신의 돌봄(care) 이며, 무위(無爲)한 삶을 통해 자연성을 되찾는 주도적 봉사(service)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행위(act)와 프로그램(program)이 바로 일손(日損)과 좌 망(坐忘) 및 심재(心齋)이다. 오직 개인의 노력만이 자신이 지닌 내면의 근본적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다. 즉 그 근본적 해결이 바로 치료(Therapy)가 된 다. 21세기에서 잊혀져 가는 동양의 전통인 수양을 재조명하는 것은 기술과 지식 으로 풀리지 않는 현실의 힘든 문제를 능히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것 이다. 또한 인간의 본래적 모습과 그것의 가치를 깨닫게 해줄 것이다.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turbulent time in the history of China, asked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the issues related to the human nature that were neglected in political debates of the time and agonized over them. Both philosophers believed that human beings were in a state of chaos and suffering because they were obsessed with numerous desires. Modern people also constantly feel deficiency and desire more, even though they lead a comfortable life in a modern civilization which has achieved advanced development. Lao-tzu and Chuang-tzu pondered over what it means to live a truly meaningful life. As a result, they talked about the self-cultivation of returning to a state of nature, which is not artificial, and fostering the "Way" (Tao 道) and the "Virtue" (Té 德) using a way that restores the human mind. The ways to cultivate oneself that the two philosophers mentioned include rìsǔn 日損 "daily lessening" in chapter 48 of the Tao Te Ching written by Lao-tzu, and zuowang 坐忘 "sitting in oblivion" in and xīnzhāi 心齋 "fasting the mind" in of the Inner Chapters of the Zhuangzi. By studying the literature concerning "self-cultivation", as mentioned by Lao-tzu and Chuang-tzu, this thesis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their ideas in terms of self-cultivation. Lao-tzu and Chuang-tzu believed that a life of being close to the "Way" (Tao 道) and living in harmony with all things by not doing anything (wúwéi 無為) was desirable and was possible to attain by "emptying out". Humans try to destroy this harmonious structure of nature, which in turn devastates the body and mind of humans. Therefore, the way to restore the devastated body and mind of man is to cultivate the mind and body and restore the human nature inherent in the mind. This is the process of becoming a true human being by changing oneself according to the rules of nature. After all, the purpose of Self-Cultivation Therapy lies in curing people so that they can get rid of their artificial conducts and get close to the "Way" (Tao 道). In addition, this is also the service led by oneself to regain naturality through a life of inaction (wúwéi 無為) as well as one's own care to foster the "Virtue" (Té 德). The acts and programs that carry out a series of such a process are rìsǔn (日損), zuowang (坐忘), and xīnzhāi (心齋). It is only individual endeavors that can recognize and solve underlying problems within oneself. In other words, the problems people have can be resolved through therapy. Shedding new light on self-cultivation, a tradition of the East that has been forgotten in the 21st century, will provide a solution to the difficult problems of reality that cannot be settled by technology and knowledge. It will also help people realize the human nature and its value.
Author(s)
박서연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759
Alternative Author(s)
Park,Seo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ⅲ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방법 2
Ⅱ. 노장의 일손(日損)과 좌망(坐忘) 및 심재(心齋) 4
1. 노장이 바라본 도(道) 4
2. 노장이 바라본 덕(德) 6
3. 노자의 일손(日損)의 이해 9
4. 장자의 좌망(坐忘) 및 심재(心齋)의 이해 12
Ⅲ. 노장사상의 수양치료적 의의 17
1. 치료의 의미망 17
2. 치료의 의의 18
3. 수양의 의의 20
Ⅳ. 결론 23
참고문헌 25
ABSTRACT 2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박서연. (2020). 노자의 일손(日損)과 장자의 좌망(坐忘) 및 심재(心齋)를 중심으로 한 노장의 수양치료적 의의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