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역사적 형성물로서의 제주해녀 노동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Jeju haenyeo(women divers) labor as the historical 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Jeju Haenyeo has always been a "hardworking and strong Jeju woman". Strictly speaking, all things that go through the process of birth and death exist as variables, not constants. Jeju Haenyeo is also a historical formation that has undergone various historical changes since prehistoric tim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aenyeo labor, personality and meaning have worked differently in each period.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diving existed in the form of individual or collaboration between men and women. Since then, the role of Pojak, who left and escaped from Jingsangyeok, the heavy burden of labor for an authority, was passed on to the women, and Najam Fishery became the exclusive possession of the women, leading to the current state of Haenyeo labor. However, Jingsangyeok, which was handed down as a terrible punishment from a mean job, was abolishe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due to the severe harmful effect.
It was Japanese colonial era that a qualitative change in Haenyeo labor was mad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Haenyeo, who were incorporated into the Japanese commodity economy, were engaged in labor-related working away from home that made money, but had to endure plunder and exploitation under the structure of low-wage labor. They created an unprecedented labor dispute to improve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fter liberation, changes in the physical base of Haenyeo labor took place. In other words, while the opportunities for making money in other places were decreasing, the Haenyeo who were still responsible for their livelihood experienced diving in a limited working environment. Meanwhile, since the 1960s, changes in the commodity economy due to the promotion of the orang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tourism have caused another change in the Haenyeo working environment. All these factors are causing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aenyeo and the avoidance of Haenyeo labor, making the prospect of Haenyeo labor difficult.
However, even in this situation, the image of Haenyeo, the symbol of "a strong and hardworking Jeju woman" could distort the actual situation of Haenyeo labor, thereby acting as a discourse to drive Haenyeo into overtime.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virtual Haenyeo status, which ignores the reality, and the Haenyeo in a poor working environment. In reality, Jeju Haenyeo is a subject who has achieved the labor culture of the Haenyeo community by overcoming hardships as a practical head of the family through the frustration imposed in history, carrying the bridle of "poor woman who does a mean job" for life. Such an attempt would be the right approach to their role.
이 연구는 제주해녀가 과거부터 늘 '근면하고 강인한 제주여성'으로 존재하였을까 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생멸의 과정을 거듭하는 모든 사물은 상수가 아니라 변수로서 존재한다. 제주해녀 역시 선사시대부터 수많은 역사적 우여곡절을 거치면서 다양하게 변화해 온 역사적 형성물이다.
특히 해녀노동의 경우 시대마다 성격과 의미가 다르게 작용해왔다. 조선전기까지 물질은 남녀 개별 또는 협업형태의 노동자로 존재했다. 그 이후 과중한 진상역부담을 피해 출륙한 포작(鮑作)의 역(役이) ᄌᆞᆷ녀들에게 전가됨으로써 나잠어업(裸潛漁業)은 잠녀들의 전유물이 되어 현재 해녀노동의 모습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천역(賤役)을 천형(天刑)으로 대물림하던 진상역(進上役)은 조선시대 말 역의 극심한 폐해 때문에 폐지되었다.
해녀노동의 질적 변화를 거치는 것은 일제강점기이다. 개항 이후 일제의 상품경제에 편입된 해녀들은 돈이 되는 임노동적인 바깥물질에 종사하였지만, 저임금 노동력을 이용당하는 구조 속에서 수탈과 착취를 견뎌내야 했다. 이윽고 그들은 열악한 노동환경을 개선하고자 전례 없는 노동쟁의를 일으켰다.
해방 이후 해녀노동의 물적 기반에 변화가 일어난다. 즉 바깥물질 기회가 줄어드는 가운데 여전히 생계를 책임 진 해녀들은 한정된 노동환경에서 물질을 해야 하는 한편, 1960년대 이후 감귤산업육성, 관광개발 등에 의한 상품경제의 변동이 또 다른 해녀노동환경의 변화를 초래했다. 이러한 제반 변화요인으로 해녀 수의 감소와 해녀 노동의 기피현상이 더해져 해녀노동의 전망을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강인하고 근면한 제주 여성의 상징'인 해녀상은 해녀노동의 실상을 간과할 우려가 있으며, 이는 해녀들을 초과노동으로 모는 담론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의 논의는 실상을 외면한 허상의 해녀상과 열악한 노동환경에 처해 있는 해녀와는 구별 할 것을 제안 한다. 이러한 시도는 살아있는 실제로서 제주해녀는 '천(賤)한 일을 하는 불쌍한 사람'이라는 굴레를 평생 짊어진 채 역사 속에서 부과된 질곡을 헤쳐 나와 실질적인 가장으로서 고난을 이겨내며 해녀공동체 노동문화를 이뤄낸 주체로서 그들의 역할에 대한 올바른 접근이라 할 것이다.
Author(s)
문경복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766
Alternative Author(s)
Moon, Kyeong B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자연문화유산교육학과
Advisor
김은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과 방법 1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 2
Ⅱ. 부역 담당자로서의 '녀' 5
1. 해녀의 시원으로서의 조선시대 이전 나잠어업자 5
2. 조선시대 부역 담당자로서의 녀 6
1) 조선전기 : 포작의 보조자로서의 녀 6
2) 조선후기 : 국가 진상역 담당자로서의 녀 9
Ⅲ. 일제시대 임금노동자로서의 해녀 13
1. 생계형 '바깥물질' 노동 13
2. 해녀조합 형성과 노동쟁의 전개 17
3. 일제강점기의 제주해녀에 대한 표상 20
Ⅳ. 근대 이후 지역개발과 관광제주의 표상으로서의 해녀 23
1. 개발시대 : 상품경제의 변동과 해녀공동체 붕괴 23
2. 관광중심시대 : 제주관광과 해녀 위상 변화 25
Ⅴ. 결론 2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문경복. (2020). 역사적 형성물로서의 제주해녀 노동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