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도대불의 잔존현황과 활용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resent condition of Jeju's Todaebuls and research for utilization
Abstract
Jeju Todaebuls were the lights for fishermen which led and relieved fishermen to arrive safely on the land. So Jeju Todaebuls were the lights of communication and hop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method to preserve Todaebul not to be vanished.
I tried to figure out the location from a harbor, comparing with Japanese old light houses, expiring year of the light house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of Jeju Todaebuls in order to enhance the value of them. I also research th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follow, so there a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below.
First, It is an uniqueness of shape. The Todaebuls were built by the villagers, especially the fishermen fitting to the environment of each village. Since it was a work of stacking stones, the shape and figures of the Todaebuls were not uniform.
Second, Jeju is the only place that has Todaebuls as a signal relic. It played its role only with simple and rudimentary functions, however, it has a high vale because they were built for the fishermen's necessary.
Third, It is the value for elements of humanity landscape. Todaebuls have a rough and bumpy appearance because it is built up of basalt rocks that were from volcanos. In this appearance we are able to feel the hard life of Jeju fishermen who lived against rough seas.
Fourth, It is a functionality fitting to the real life. The Jeju Todaebuls were made by fishermen to work at night in the dark sea, so unnecessary parts were removed.
So, I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Todaebuls as marine assets as well as suggesting how to utilize the Jeju Todaebuls as educational material and resources of tourism.
The value of Todaebuls is reminded to extend the approach through the method of utilization. And base on the remaining status the value and meaning were passed to preserve and utilize in order to inherit to next generations.
By recognizing the value of the Todaebuls through the utilizaion plan, the accessibility to the Todaebuls has extended. stepping stones have been prepared for the preservation and use of Todaebul and leave to the future generations by conveying the value and meaning of them.
Although other local governments are proceeding to preserve modern cultural heritages that are disappearing like Jeju Todaebuls,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hasn't yet implemented the policy. So, it is expected that future heritage policy will be adopted and implemen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o that the Todaebuls will be reflected as a cultural heritages to pass on to the next gener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작은 불빛으로 어부들을 안전하게 유도한 소통의 빛이며, 무사히 뭍에 왔다는 안도감을 주는 희망의 빛으로 역할을 했던 도대불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포구에서의 위치, 일본의 옛 등대와의 비교, 등대의 역할 종료 시점을 파악하고 도대불의 잔존 형태와 상태에 관해서 연구함으로써 도대불의 가치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그에 따른 활용방안도 연구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으로 얻은 제주 도대불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제주 도대불의 형태적인 고유성이다. 도대불은 마을마다 각각의 환경에 맞게 마을 주민 중 특히 어부들이 중심이 되어 축조하였다. 돌을 쌓는 일에 있어서 어부들은 비전문가였기에 만들어진 모습과 형태에 있어 모든 도대불이 일정하지 않고 각기 다른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는 제주만의 신호유적이라는 유일성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등대 사에 있어 단순하면서 초보적인 기능만으로 등대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어부들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등대인 만큼 등대 사에서 중요하게 다뤄야 할만한 가치가 있다.
세 번째는 인문 경관 요소로서의 가치이다. 도대불은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현무암을 그대로 쌓아 올려서 만들었기 때문에 거칠고 울퉁불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혹독한 바다를 대상으로 살아왔던 제주 어부들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네 번째는 실생활에 맞게 만들어진 기능성이다. 어두운 바다에서 어부들이 야간에 어로 활동을 하며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한 기능을 중심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해양유산인 도대불의 잔존 현황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방안으로 교육 자원으로서의 활용방안과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활용방안을 통해 도대불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시켜 도대불의 접근성을 확장하고 도대불의 잔존 현황을 바탕으로 본연의 가치와 의미를 전달함으로 도대불이 보존되고 활용을 되어 후세에 남겨주기 위한 디딤돌을 마련하였다.
도대불처럼 사라져가는 근·현대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해 미래유산 정책이 다른 지자체에서는 추진되고 있지만, 제주특별자치도는 아직 이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도 이 미래유산 정책이 채택되고 시행되어 도대불이 미래유산 정책에 반영되어 후대로 이어지는 문화유산으로 선정되길 기대한다.
Author(s)
임형환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152
Alternative Author(s)
Lim. Hyung Hw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자연문화유산교육학과
Advisor
정광중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3
Ⅱ. 제주 도대불의 소개와 특징 7
1. 제주 도대불의 명칭과 구조 7
2. 제주 도대불의 외형적 특징과 사용 기간 12
Ⅲ. 제주 도대불의 지역적 현황 19
1. 제주 도대불과 일본 옛 등대와의 비교 19
2. 제주 도대불의 잔존 현황 27
Ⅳ. 제주 도대불의 활용 방안 57
1. 교육 자원으로서의 활용 방안 57
2. 관광 자원으로서의 활용 방안 62
Ⅴ. 결론 68
참 고 문 헌 71
Abstract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임형환. (2021). 제주 도대불의 잔존현황과 활용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