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思考分野の和製漢語の研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사고(思考) 분야의 일본제 한어(和製漢語)의 연구 : 중일한어(中日漢語)의 의미 변천을 중심으로
Abstract
일본제 한어는 단어의 출처에 따라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만든 순수 일본제 한어, 한자어에서 유래한 것, 불전에서 유래한 것 등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일본제 한어의 의미 변화는 이들 중에 어느 것과 연관되어 있는 지가 중요한 연구과제였지만, 이들의 논고는 주로 일본제 한어의 체계적인 연구를 중심으로 한 것으로, 어사(語史) 연구의 입장에서 보면, 개개의 의미 변화에 초점을 맞춘 고찰은 적다.
이 논문은 에도막부 말기 이후의 일본제 한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단어의 의미 변천'의 관점에서 '사고' 분야의 대표적인 신어인 「의식(意識)」, 「사상(思想)」, 「관념(観念)」, 「인지(認知)」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일본제 한어의 성격이 동일하지 않으며, 순수한 일본제 한어 외에 한적이나 불전에서 전해진 것도 있음을 증명하였다. 아울러 다중 성격과 단일 성격을 가진 일본제 한어가 형성된 역사적 과정과 그 원인을 논술하여 시대별 이문화 교류가 어의 형성, 변화, 전파에 미친 영향 및 언어자체에 내재된 요인이 가져온 의미 변화 등을 밝혀냈다. 즉 어의 변화 분석에 그치지 않고 그 배경에 있는 문명·과학·제도 등의 변화를 고찰했다.
일본제 한어 「의식」이 한적(漢籍)·불전(佛典)·화적(和籍)이라는 삼중 성격을 갖게 된 것은, 일본이 중국, 인도, 서양의 문명을 수용했기 때문이다. 유교철학에서 무신론의 발전과 함께 '뛰어난 견해'를 의미하는 「의식」 이 형성되었다. 언어적 원인으로는 語의 의미 분야가 확대되거나 전환되어 원래의 의미에서 파생된 '생각하는 것'과 '깨닫는 것'이 19세기 문명개화에 따라 일본어에 도입된 한적계의 의미였다. 또한 인도의 불교철학의 선전에서, '육식·팔식의 하나'를 가리키는 「의식」이 생겨났고, 견당사·견수사 도입으로 불전계의 것이 일본어에 수용된 후 외적 원인, 서양문명의 융성으로 어의(語義)변화를 초래했다. 이는 서양으로부터 의학, 심리학, 철학이 일본에 들어왔을 때, 일본어에 없는 신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만든 의미 범위이다. 그 배경에 일본제 어의(和製語義)의 '내감각', '어떤 대상을 눈치채고 있는 마음 상태', '심리작용이 일어난 상태'의 탄생과 함께 「의식」이 일본제 한어가 되어 사용되기 시작했음을 밝혔다. 그리고 어의가 전이되어 '어떤 사회적 태도'가 '어떤 대상을 알아차린 마음 상태'로부터 분화되었고 신 개념으로서 급속히 자리를 잡았다.
「사상」이 일본제 한어가 되기 전, 기원전부터 '생각하다'는 의미를 뜻하는 것으로서 중의학(中醫學)이나 양생학(養生學)분야에서 사용했으며, 근세에서부터 품사 파생어의 변화로, '생각'를 의미하는 명사가 되었다. 19세기 서양자유주의 사조가 일본에 유입되면서 이 두 가지 의미를 가진 한적계의「사상」이 일본어에 채용되고, 그와 동시에 서양철학사상을 보급하기 위해 '의식적 내용'이라는 개념이 「사상」에 부여되어 화적계의 원래의 의미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의식적 내용'으로 부터 파생한 일본제 어의의 언어적 원인으로는 어의의 확대나 중첩으로 '체계화된 의식'이나 '경향적인 의식', '사고의 줄거리'가 탄생했다. 그리고 심리적 원인으로는 인간의 주관적인 판단·평가가 「사상」에 부여된 후, '도덕·품질에 관한 의식'이라는 어의가 형성되었음을 설명했다.
「관념」은 불교계・화적계의 이중적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서, 불교문화의 수용이 일본 사회 및 일본어의 언어 체계에 미친 영향이 분명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관념」은 최초로 '부처의 진리를 관찰하고 사념(思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불전의 전래와 함께 일본어에 수용되었다. 그 후 불교문화의 융성에 따라 원래 상류지식인이 사용했던 「관념」이 점차 일반대중에게 들어가, 무로마치(室町時代) 말기부터 '각오할 것'을 의미하는 일본제 한어로서 일본의 교겐(狂言)과 같은 전통 예능에서 받아들이기 시작하여 사회에 널리 보급된 것이다. 19세기 서양 관념학의 전래와 함께 「관념」이 다시 '의식적인 내용'을 부여받은 일본제 한어가 되었고, 그 후 보다 넓은 의미의 기능인 '생각'을 가리키게 되었다.
순수 일본제 한어인 「인지」는 일본의 근・현대화와 함께 여러 차례 서양에서 도입된 신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일본제 어의가 부여되었음을 알았다. 메이지 초기,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본초학(本草学)이 서양 박물관학으로의 변천에 따라 「인지」가 '확실히 인정하는 것'을 가리키는 신조어로 탄생했다. 그 후, 서양 근대법의 도입으로 '사생아(私生子)는 자신의 자식임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로 일본의 법률문헌에 등장하였고, 1980년대 서양의 인지심리학의 발전과 함께 '지식을 얻는 작용'이라는 개념이 부여되어 다시 신어가 되었다. 즉, 이 세 가지 의미는 모두 역사적 원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밝혀내었다.
중일 언어 교류의 시점에서 보면, 한적이나 불전의 유입이 일본어의 조어에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는 한편, 일본제 한어가 된 「의식」, 「사상」, 「관념」, 「인지」가 중국어의 신어에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서양의 신 개념인 「의식」, 「사상」, 「관념」은 다의적 신어로서 19세기 말 20세기 초기에 걸쳐 중국에서 실행된 무술(戊戌)의 변법(變法)이 배경이 되어 중국어에 수용되었다. 또, 동사인 「인지」는 1880년대,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한 양무운동(洋務運動)을 계기로 중국어에 도입되었고, 1980년대의 개혁 해방 실시로, 철학 용어인 「인지」가 다시 중국어로서 인정되었다. 시대의 변천에 따른 언어의 신구 교체로 인해 이들 일본제 한어는 현재 중일 양 언어에 있어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일본제 한어의 의미의 변천에서 나타난 구어(舊語)의 형성·발전이나 쇠퇴·소멸 및 신어의 형성과 발달은 주로 아시아권의 이문화 교류와 동서의 이문화 교류에 의한 것이 분명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言葉の出自によって、和製漢語を、日本で独自に造った純粋の和製漢語、漢籍より由来したもの、仏典より由来したものと3分類にできることが指摘されてきた。和製漢語の意味変化はその出自に連なっていることで重要な課題として提起されてきたが、それらの論考は主に和製漢語における体系的な研究を中心としたものであり、語史研究の立場で個語の意味変化に焦点を当てた考察は少ない。本論文は、幕末以降の和製漢語を研究対象にし、語の意味分野の変遷という視点から「思考」分野の代表的な新語、「意識」、「思想」、「観念」、「認知」を取り出し、和製漢語の性格は一様ではなく、純粋の和製漢語の他に、漢籍や仏典から伝わったものもあると証明した。さらに、多重性格や一重性格を持つ和製漢語が形成された歴史的過程とその原因を論述し、時代ごとにおける異文化交流が語義の形成・変化・伝播に与えた影響や、言語自体に内在する要因がもたらした意味変化などを明らかにした。これらは語義変化の分析にとどまらず、その背景にある文明・科学・制度などの変化を再検討した上で考察したものである。和製漢語の「意識」は漢籍・仏典・和籍という三重の性格を持つことになったのは、日本が中国、インド、西洋の文明を受容したことによるのであると確認された。まず儒教哲学における無神論の発展とともに、「すぐれた見解」を意味する"意識"が形成され、そして言語的要因で語の意味分野が拡大したり、転換したりし、原義から派生した「考えること」と「気づくこと」が19世紀の文明開化に伴って、日本語に導入された漢籍系の意味分類とされた。また、インドにおける仏教哲学の宣伝で、「六識・八識の一つ」を指す"意識"が生じ、遣唐使・遣隋使の導入で仏典系のものとして日本語に受容された後、言語における外的要因、西洋文明の隆盛で語義変化をもたらした。それは西洋における医学・心理学・哲学が日本に入ってきた時、日本語にない新概念を表すために造った意味範囲である。その背景に、和製語義の「内感覚」、「ある対象に気づいている心の状態」、「心理作用が起きた状態」の誕生とともに、「意識」が和製漢語になって用いられるようになったことを明らかにした。そこで、意味分野の上で語義が転移し、「ある社会的態度」が「ある対象に気づいている心の状態」から分化され、新概念として急速に認められた。 「思想」が和製漢語になる以前、紀元前から「考えること」を指すものとして中医学や養生学の分野で用いられ、近世から品詞派生に伴う語義変化で、「考え」を意味する名詞になった。19世紀西洋の自由主義の思潮が日本に流入し、この二つの意味分類を持つ「思想」が漢籍系のものとして日本語に受け入れられ、それと同時に、西洋哲学思想を普及するために、「意識的内容」という概念が「思想」に与えられ、和籍系の原義として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たことを指摘した。「意識的内容」から派生した和製語義について、まず言語的要因による語義の拡大や重なり合いで、「体系化された意識」や「傾向的な意識」、「思考の筋道」が誕生し、そして心理的要因で、人間の主観的な判断・評価が「思想」に付与された後、「道徳品質に関する意識」という語義が形成されてきたことを解説した。 「観念」は仏教系・和製系の二重性格を持つものとして、仏教文化の受容が日本社会及び日本語の言語体系に及ぼした影響が顕著に表れていたことを確認した。「観念」は最初に「仏の真理を観察し思念すること」を意味するものとして、仏典の伝来とともに日本語に受容され、その後仏教文化の隆盛に伴って、元来上流知識人に用いられていた「観念」が次第に一般大衆に浸透していった。16世紀からは「覚悟すること」を意味する和製漢語として日本の芸能圏に受け入れられ始め、社会に広範囲に普及されてから、19世紀西洋観念学の伝来とともに、また「意識的内容」を付与された和製漢語になっていき、そして言語的要因でより広い意味分野を機能するもの、「考え」を指す語とされた。純粋な和製漢語である「認知」は、日本社会における近・現代化とともに、何度も西洋から導入された新概念を表現するために和製語義を付与されてきたことを見極めた。明治初期、旧来の本草学が西洋博物学への変遷に伴って、「認知」が「はっきり認めること」を指す新造語として生まれた。その後、西洋近代法の導入で、「私生子は自分の子であると認めること」を意味する語として、日本における法律文献に用いられ、そして1980年代、西洋の認知心理学の発展とともに、「認知」は「知識を得る働き」という概念を与えられることによって、再び新語になった。つまり、この三つの意味分野は全て歴史的要因で形成されたということを明らかにした。中日言語交流の視点から考えると、漢籍や仏典の流入が日本語の造語にもたらした影響は見えたが、和製漢語となった「意識」、「思想」、「観念」、「認知」が中国語の新語にとっても多大な影響を及ぼしたと言える。西洋新概念を機能する"意识"、"思想"、"观念"は多義的な新語として、19世紀末20世紀初期にかけて、中国で実行された戊戌の変法を背景にして中国語に受容されてきた。また、動詞の"认知"は1880年代、明治維新をモデルとして行われた洋務運動をきっかけに中国語に導入され、そして1980年代の改革解放の実施によって、哲学用語である"认知"がまた中国語として認められた。時代の変遷に伴う言語の新旧交替によって、これらの和製漢語は現在、中日両言語にとっても中心的な位置を占め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このように、和製漢語の意味の変遷から見えた旧語の形成・発展や衰退・消滅及び新語の形成と発達は、主にアジア圏の異文化交流と東西の異文化交流によるものであることがはっきり見られた。
Author(s)
李悦揚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185
Alternative Author(s)
이열양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이창익
Table Of Contents
序章 1
1.問題の所在と究の目的. 1
2.先行究と本論文の位置づけ. 3
3.究象. 9
4.究方法 11
5.本論文の構成 12
第一章意識の意味の遷 14
1.意識の出現と展開. 14
2.書における意識と"意". 14
3.漢籍系意識について. 17
1)"意識"の成立 17
2)"意識"の意味化 18
3)日本における漢籍系"意識"の受容 23
4.典系意識について. 28
1)中における典語"意識"の成立 28
2)日本における典語"意識"の受容 31
5.和籍系意識について. 35
1)日本における和籍語意識の成立と達 35
2)和製漢語である意識の意味化 38
3) 中における和製漢語意識の逆輸入 44
6. まとめ 49
第二章思想の意味の遷 53
1.思想の出現と展開. 53
2.書における思想と"思想". 53
3.漢籍系思想について. 55
1) "思想"の成立. 55
2) "思想"の意味化. 58
3)日本における漢籍系"思想"の受容 60
4.和籍系思想について. 66
1)日本における和籍語思想の成立と達 66
2)和製漢語である思想の意味化 67
3)中における和製漢語思想の逆輸入 72
5. まとめ. 78
第三章念の意味の遷 81
1.念の出現と展開. 81
2.書における念と"念". 81
3.典系念について. 83
1)"觀念"の成立 83
2)日本における典系"觀念"の受容 85
4.和籍系念について. 89
1)日本における和籍語念の成立と達
室町時代の意味②Aを中心に. 89
2)日本における和籍語念の成立と達
明治時代の意味②Bを中心に 91
3) 和製漢語である念の意味化 93
4)中における和籍漢語念の逆輸入 95
5. まとめ. 98
第四章 認知の意味の遷. 101
1.認知の出現と展開 101
2.書における認知と"知" 101
3.和籍系認知の成立と展開 102
1)日本における和籍語認知の成立. 103
2)日本における和籍語認知の意味化. 104
4.中における和籍漢語認知の受容 108
5. まとめ 110
終章. 113
考文. 118
要旨. 12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李悦揚. (2021). 思考分野の和製漢語の研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