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불교상담 사성제 이론의 존재론적 해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ory of Buddhist Counseling by Four Noble Truths
Abstract
Human beings can never be free from dukkha (suffering) from the time they are born to the moment they die. One of the sufferings that we face while living in modern times lies in not being able to love ourselves. The reason why people cannot love their existence is that they do not realize their true existence. This thesis aim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I", for those who have to live a life with dukkha, in terms of existence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of Buddhist counseling.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used both estrangement and the concept of explanation, understanding, and appropriation of Ricoeur's theory of interpretation as tools and chose Buddha's Philosophy as a text.
Everything that is recognized as an existence in Buddhism is a phenomenon of interactions that are born and die constantly on a fleeting temporal continuum. The non-constant, continuous, and permanent empirical real self that is created with one's heart by taking the phenomenon of repeated birth and death as one's own is my own existence. The life in which a non-constant, continuous, and permanent empirical real self is mistaken for one's own existence cannot escape dukkha. However, humans in reality tend not to acknowledge the impermanence, called anicca (Pāli) or anitya (Sanskrit), of existence. In the course of life, people consider the ideas generated by experience and greed to be theirs, and they create their own world corresponding to their own ideas. In such an illusory world, people try to find their true selves from the imaginary image shown to others, not in the original image of oneself.
The more humans indulge in the desire to gain satisfaction by projecting themselves into a perfect image, the further they move from their true existence.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four noble turths allows people to realize that modern people lose sight of their true selves by projecting themselves into an illusion that has no real shape. In addition, it provides a time for refection which enables people to realize their true existence and live their own lives, escaping from the obsession with their delusional existence.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괴로움 중의 하나는 자신의 존재를 사랑할 수 없음에 있다. 자신의 존재를 사랑할 수 없다는 것은 진실한 나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불교상담 사성제를 통하여 고통과 함께 삶을 영위할 수 밖에 없는 '나'는 존재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해석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리쾨르 해석학의 소격화와 설명과 이해, 전유의 개념을 도구로 삼고 그 텍스트로 󰡔붓다의 철학󰡕을 택하였다.
불교에서 존재라고 인식되는 모든 것들은 찰나의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끊임없이 생멸하는 상호작용의 현상이다. 생멸을 거듭하는 현상을 나의 것으로 취하고 마음으로 만들어 낸 무상한 경험적 실체가 나의 존재이다. 무상한 경험적 실체를 나의 존재로 착각하는 인생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현실의 인간은 존재의 무상함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삶의 과정에서 경험과 욕탐이 만들어 낸 관념을 나의 것이라 여기고 나의 관념에 부합하여 나만의 세계를 만든다. 이러한 가상의 세계 속에서 인간은 나라는 존재의 본연의 모습이 아니라 타인에게 보여지는 가상의 모습에서 자신의 실체를 찾고자 한다.
인간은 완전한 이미지에 자신을 투영하여 만족감을 얻고자 하는 욕구에 빠질수록 진정한 자신의 존재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사성제의 존재론적 해석은 현대인들이 실체가 없는 허상에 자신을 투영하여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망각하고 있음을 깨닫도록 한다. 그리고 자신의 진실한 존재를 깨닫고 가상적 존재의 집착에서 벗어나 자기 본연의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숙고의 시간을 제공한다.
Author(s)
송명옥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29
Alternative Author(s)
Song, Myoung 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연구방법 3
Ⅱ. 불교상담과 존재론 5
1. 불교의 존재론 5
2. 불교상담 7
3. 고집멸도 9
Ⅲ. 불교상담 사성제의 존재론적 해석 12
1. 무상한 경험적 실체 12
2. 가상적 존재 15
3. 존재의 본질 17
Ⅳ. 결론 19
참고문헌 21
ABSTRACT 2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송명옥. (2021). 불교상담 사성제 이론의 존재론적 해석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