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20대 성인의 배달음식 어플리케이션 이용 실태 및 영양표시 필요성 조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Usage Status of Food Delivery Apps and Necessity of Nutrition Labeling of 20s Adul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20대 성인의 배달음식 및 음식 배달앱 이용실태, 영양표시 인지 및 활용,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성별 및 연령 등 일반사항에 따른 음식 배달앱 이용실태, 영양표시 인지 및 활용,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식 배달앱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에 대한 20대 성인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20대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9일부터 4월 9일 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27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Win Program(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χ2-test, t-test, ANOVA(Duncan),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남성 30.9%, 여성 69.1%로 나타났고, 연령은 22-24세 35.7%, 직업은 대학(원)생 76.5%, 월 평균 소득은 50만원 미만 41.5%, 주거형태는 자택 59.6%, 배달음식 동반자는 가족(44.9%)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음식 배달앱 이용 경험은 96.7%로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 배달앱을 이용하는 이유는 '검색, 주문, 결제의 편리성(70.3%)'이 가장 높았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음식 배달앱 선택속성의 IPA 분석 결과,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낮은 항목은 영양표시로 나타났으며, 영양표시 항목의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결과 중요도(3.10점)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만족도(2.89점)는 보통 이하로 나타나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넷째, 조사대상자의 89.7%가 식품의 영양표시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확인여부는 가끔 이상으로 확인하는 비율이 75.0%로 나타났고,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체중 관리를 위해서(38.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 필요성은 조사대상자의 82.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필요 이유는 '소비자 알 권리 보장(50.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비율은 77.6%로 나타났으며, 영양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표시가 눈에 띄지 않아서(44.5%)'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실시 정보에 대한 인지여부는 '아니요(88.2%)'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 인식 활성화 방안은 '배달앱 내 홍보(57.4%)'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지역 20대 성인의 경우 음식 배달앱의 이용 경험, 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인지 및 확인,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 필요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 인지 및 확인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더 많은 음식 종류 업장에서의 영양표시 의무화 확대가 요구되며, 소비자들의 영양표시 인식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음식 배달앱사와 정부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과 동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usage of food delivery apps and the need for nutrition labeling of 300 adults in their 20s in Jeju surveyed from March 29 to April 9, 2021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adults in their 20s on the nutrition labeling of food delivery apps. A total of 272 questionnaires out of 300 were used as base data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χ 2-test, t-test, ANOVA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alysis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included 30.9% for male and 69.1% for female, and age 22-24 years old 35.7%, occupation 76.5% university(graduate) student, average monthly income of less than 500,000 won 41.5%, residential type 59.6% % and delivery food companion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families. Second, 96.7% of subjects indicated the experience of using the food delivery apps, and regarding the reason for using the food delivery apps, 'convenience of searching, ordering and payment(70.3%)' showed the highest rate.
Third, regarding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of the subjects food delivery apps selection attributes, the items with low bo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nutrition labeling, and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of nutrition labeling, the importance (3.10)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satisfaction (2.89) was below average, indicating that satisfaction was low compared to importance(p<0.05). Fourth, 89.7% of the subjects were aware of the nutrition labeling of food, and 75.0% of the subjects checked the nutrition labeling occasionally when selecting food. Regarding the reason for checking the nutrition labeling, 'for weight management (38.2%)' was the highest. Fifth, 82.7%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 need for nutrition labeling of food delivery apps was necessary, and regarding the necessary reason, 'guaranteeing consumers right to know (50.2%)' was the highest. The rate of not checking the nutrition labeling on the food delivery apps was 77.6%, and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checking the nutrition labeling was 'not seeing the label (44.5%)'. Sixth, regarding awareness of the nutrition labeling information of food delivery apps, 88.2% of subjects were not aware of it and as for the ways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of food delivery apps, 'promotion in delivery app (57.4%)'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bjects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food delivery apps and the rate of recognition and checking of nutrition labeling in selecting food and the need for nutrition labeling in food delivery apps were high.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showed that the rate of recognition and checking of nutrition labeling in food delivery apps wa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in more food-type businesses. Moreover, a systematic and active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food delivery app companies need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consumers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of food delivery apps.
Author(s)
김주영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44
Alternative Author(s)
Kim, Ju Y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외식 및 배달음식 3
1) 외식 및 배달음식 현황 3
2) 국내 외식 및 음식배달 서비스 관련 소비자 연구 실태 5
2. 음식 배달앱 6
1) 국내 음식 배달앱 현황 6
2) 국내 음식 배달앱 관련 소비자 연구 실태 7
3. 국내 외식 및 음식 배달앱의 영양표시 8
1) 국내 외식 및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현황 8
2) 국내 외식 영양표시 관련 소비자 연구 실태 10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2
1. 조사대상 및 기간 12
2. 조사내용 및 방법 12
3. 자료의 분석 및 통계처리 15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6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16
2. 배달음식 이용 실태 18
1) 배달음식 이용 특성 18
2) 배달음식 종류별 섭취 빈도 20
3. 음식 배달앱 이용 실태 21
1) 음식 배달앱 이용 특성 21
2) 음식 배달앱 선택속성 중요도 및 만족도 23
(1) 일반사항에 따른 음식 배달앱 선택속성 중요도 25
(2) 일반사항에 따른 음식 배달앱 선택속성 만족도 29
(3) 음식 배달앱 선택속성 IPA분석 33
4. 영양표시 인지 및 활용 34
1) 영양표시 인지여부 34
2) 영양표시 활용여부 37
5.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필요성 40
1)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확인여부 40
2)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필요여부 42
3)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의견 44
4) 음식 배달앱 영양표시 실시 정보 46

Ⅴ. 결론 및 제언 48

Ⅵ. 참고문헌 52
Abstract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주영. (2021). 제주지역 20대 성인의 배달음식 어플리케이션 이용 실태 및 영양표시 필요성 조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