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老子≫의 虛詞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the Function Words used in ≪Laozi(老子)≫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戰國 시기 문헌인 ≪老子≫의 虛詞를 정량 조사하여 그 용법을 일일이 분석하고, 도출한 데이터를 통해 ≪老子≫에 쓰인 虛詞의 특징을 밝힌 논문이다.
≪老子≫는 ≪道德經≫이라고도 불리며 총 81章, 5千字로 이루어졌다. ≪老子≫는 중국 戰國 시기의 언어체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또한 고대 중국어는 허사의 용법을 알아야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老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철학ㆍ문헌학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었고, 어법 등 언어학적 연구는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의 범위는 ≪老子≫에 사용된 부사, 전치사, 접속사, 조사이다. 또한 판본의 차이에 따른 분석 결과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陳鼓應의 ≪老子注譯及評介≫에 실린 을 분석 텍스트로 삼았다.
본 연구 결과 얻어진 ≪老子≫의 허사 용법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老子≫의 부사 용법을 고찰하였다.
≪老子≫의 부사는 '不', '弗', '非', '未', '無', '勿', '將', '旣', '終', '常', '復', '又', '亦', '彌', '愈', '滋', '固', '誠', '豈', '自', '故', '獨', '唯', '惟', '猶', '各', '皆', '同', '相', '其', '恐', '或', '必', '乃' 등 34개가 있다. 이들은 부정ㆍ시간ㆍ정도ㆍ상태ㆍ범위ㆍ추측ㆍ관계 표시 등으로 쓰였다. 이 중에 부정 표시 용법이 60%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출현한다.
둘째, ≪老子≫의 전치사 용법을 고찰하였다. 각 전치사의 용법과 전치사구의 통사 구조를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老子≫의 전치사는 '於', '以', '爲', '與', '當', '自' 등 6개가 있다. 전치사는 목적어와 결합하여 전치사구를 이루어 문장의 부사어나 보어로 쓰인다. 부사어는 68회(58%) 쓰이고, 보어는 44회(38%) 쓰인다. 이들은 동작 행위의 시간ㆍ대상ㆍ장소ㆍ도구ㆍ방식ㆍ근거ㆍ원인ㆍ피동을 표시한다. 전치사별 출현 빈도는 '以'가 63회(53%)로 가장 높고, 다음은 '於'가 43회(37%) 쓰였다. 이어서 '爲'ㆍ'與'ㆍ'當'은 각 3회, '自'는 1회이다.
전치사구의 통사 구조는 전치사와 목적어의 결합 형태, 전치사 목적어의 의미 분류, 전치사구와 술어의 결합 형태 등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전치사와 그 목적어의 결합 형태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전치사의 목적어는 전치사의 뒤에 놓여 '전치사+목적어'의 구조로 쓰인다. 하지만, 전치사 '以'의 경우에 그 목적어는 전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以+목적어', '목적어+以', '以+(목적어 생략)'의 출현 빈도는 29 : 6 : 28의 비율이다. 이는 '以'의 목적어가 전치되거나 생략되는 용례가 매우 빈번함을 의미한다.
≪老子≫에 쓰인 전치사의 목적어는 의미에 따라 유정물, 무정물, 동작 행위, 추상적 개념으로 분류된다. 추상적 개념 목적어는 40회(34%), 무정물 목적어는 20회(18%), 동작 행위 목적어는 16회(14%), 유정물 목적어는 12회(10%) 출현한다.
전치사구가 사용된 문장의 술어는 타동사 78회(67%), 자동사 16회(14%), 형용사 18회(16%)가 사용되었다. 또한 전치사 '以'의 경우에 술어가 생략된 용례도 4회(3%) 출현하였다.
셋째, ≪老子≫의 접속사 용법을 고찰하였다.
≪老子≫의 접속사는 且, 與, 而, 以, 斯, 則, 安, 然後, 而後, 而況於, 雖, 爲, 故, 是以, 是故, 其, 使, 若, 若使, '之' 등 20개가 있다. 이들은 의미에 따라 앞뒤 두 항의 병렬ㆍ연접ㆍ전환ㆍ점층ㆍ양보ㆍ인과ㆍ가정 관계를 표시한다. 또한 '주어+之+술어'의 구조도 다수 출현하였다. 접속사 중 '而'는 108회(32%)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연접ㆍ전환ㆍ병렬ㆍ점층 관계를 표시한다. 이어서 '故'는 57회(17%) 사용되며, 인과 관계를 표시한다. '以'는 39회(11%) 사용되며, 연접ㆍ인과ㆍ가정 관계를 표시한다. '是以'는 35회(10%) 사용되며 인과 관계를 표시한다. '之'는 32회(9%) 사용되며, 주어와 술어의 사이에 쓰여 '주어+之+술어' 구조를 이룬다. '주어+之+술어'는 독립적인 문장이 되지 못하고, 문장성분 중의 하나로 쓰이거나 복문 중의 단문으로 사용된다.
넷째, ≪老子≫의 조사 용법을 고찰하였다.
≪老子≫의 조사는 '之', '者', '所', '是', '蓋', '夫', '載', '故', '乎', '其', '也', '矣', '焉', '兮', '邪', '與', '已', '哉', '也哉', '也夫', '然', '焉' 등 22개가 있다. 이들은 구조조사, 어기조사, 접미사로 분류된다.
구조조사는 '之', '者', '所', '是'가 있다. 명사구를 만드는 구조조사는 '之', '者', '所'가 있으며, 사서에 변화를 주는 구조조사는 '之'와 '是'가 있다.
어기조사는 '蓋', '夫', '載', '故', '之', '乎', '其', '也', '矣', '者', '焉', '兮', '邪', '與', '已', '哉', '也哉', '也夫' 등이 있다. 이들은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문두 어기조사, 문중 어기조사, 문말 어기조사로 세분하였다. 문두 어기조사는 '蓋', '夫', '載', '故'가 있다. 문중 어기조사는 '之', '其', '也', '者', '兮', '矣', '乎'가 있다. 문말 어기조사는 '乎', '焉', '兮', '也', '邪', '與', '矣', '已', '哉', '者', '也哉', '也夫'가 있다.
접미사는 '然', '焉'이 있다. 이들과 결합한 단어는 문장에서 술어나 부사어로 쓰인다.
본 연구는 ≪老子≫에 쓰인 허사를 정량 조사하여 허사 용법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先秦 시기 허사의 용법을 밝히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허사 용법의 傳承 관계를 살피는 통시적 연구의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features of the function words used in ≪Laozi(老子)≫, the literature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China, through the data of which were investigated quantitatively and analyzed one by one. The categories of the investigation are adverbs, prepositions, conjunctions, and auxiliary words used in ≪Laozi(老子)≫. The following is the usages and features of the function words used in ≪Laozi(老子)≫ from this study.

1. The usages of the adverbs used in ≪Laozi(老子)≫ were researched.
There are 34 adverbs such as '不', '弗', '非', '未', '無', '勿', '將', '旣', '終', '常', '復', '又', '亦', '彌', '愈', '滋', '固', '誠', '豈', '自', '故', '獨', '唯', '惟', '猶', '各', '皆', '同', '相', '其', '恐', '或', '必', '乃' in ≪Laozi(老子)≫. These represent denial, time, degree, state, range, guess, relationship, and so on.

2. The usages of the prepositions used in ≪Laozi(老子)≫ were researched.
There are 6 prepositions such as '於', '以', '爲', '與', '當', '自' in ≪Laozi(老子)≫. Prepositions are combined with objects, which indicates action's time, object, place, tool, way, reason, cause, and passivity.
Combination types of prepositions and objects were researched. In general, the object of a preposition comes after the preposition, which forms the combination of 'preposition + obje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position '以', the object very often comes after it or is omitted.
The predicates of the sentences using prepositional phrases are used with transitive verbs 78 times (67%), intransitive verbs 16 times (14%), and adjective 18 times(16%). Also, In the case of the preposition '以', the examples of ellipsis of predicates are found 4 times (3%).

3. The usages of the conjunctions used in ≪Laozi(老子)≫ were researched.
There are 20 conjunctions such as '且', '與', '而', '以', '斯', '則', '安', '然後', '而後', '而況於', '雖', '爲', '故', '是以', '是故', '其', '使', '若', '若使', '之' in ≪Laozi(老子)≫. These indicate parallel, consequence, contrast, gradation, concession, causality and con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rms before and after, according to their meanings.
Also, the structure of 'subject + 之 + predicate' is very often found. Among many conjunctions, '而' is most used 108 times (32%), which means consequence, contrast, parallel, or gradation relationship. Next, '故' meaning causal relationship is used 39 times (17%). '以' is used 39 times(11%), meaning consequent, causal, or conditional relationship. '是以' meaning causal relationship is used 35 times(10%). '之' is used 32 times (9%), which is placed between subject and predicate, forming the combination of 'subject + 之 + predicate'. This structure can not be a independent clause, functioning as an element of a sentence or as a simple sentence in a complex sentence.

4. The usages of the auxiliary words used in ≪Laozi(老子)≫ were researched.
There are 22 auxiliary words such as '之', '者', '所', '是', '蓋', '夫', '載', '故', '乎', '其', '也', '矣', '焉', '兮', '邪', '與', '已', '哉', '也哉', '也夫', '然', '焉' in ≪Laozi(老子)≫. These are classified into auxiliary words for structure auxiliary words, mood auxiliary words, and suffixes.
There are '之', '者', '所', '是' in structure auxiliary words. The ones making noun phrases are '之', '者', '所', and the ones changing the order of words are '之' and '是'.
There are mood auxiliary words as '蓋', '夫', '載', '故', '之', '乎', '其', '也', '矣', '者', '焉', '兮', '邪', '與', '已', '哉', '也哉', '也夫'. These are classified into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end of mood auxiliary words, according to their position of the sentence. There are '蓋', '夫', '載', '故' in mood auxiliary words used in the beginning of sentence. There are '之', '其', '也', '者', '兮', '矣', '乎' in mood auxiliary words used in the middle of sentence. There are '乎', '焉', '兮', '也', '邪', '與', '矣', '已', '哉', '者', '也哉', '也夫' in mood auxiliary words used in the end of sentence.
There are '然', '焉' in suffixes. The words with these suffixes are used as predicates or adverbs.

This study shows the features of the usages of the function words, which resulted from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the function words used in ≪Laozi(老子)≫.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find out the usages of the function words of the pre-Qin(先秦) period, and opportunities to examine the developments of the usages of the function words.
Author(s)
김애실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46
Alternative Author(s)
Kim, Ae Si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Advisor
이영호
Table Of Contents
Ⅰ. 緖論 1
1. 硏究 槪況 및 目的 1
1) 硏究 槪況 1
2) 硏究 目的 4
2. 硏究 範圍 및 方法 6
1) 硏究 範圍 6
2) 硏究 方法 9
Ⅱ. 老子 副詞 用法 11
1. 副詞 用法 分析 11
1) 否定 表示 11
2) 時間ㆍ頻度 表示 27
3) 程度 表示 34
4) 狀態 表示 36
5) 範圍 表示 40
6) 推測 表示 47
7) 關係 表示 51
2. 副詞 用法 特徵 52
Ⅲ. 老子 前置詞 用法 57
1. 前置詞 用法 分析 57
1) 時間 表示 58
2) 對象 表示 59
3) 場所 表示 65
4) 道具 表示 69
5) 方式 表示 70
6) 根據 表示 71
7) 原因 表示 74
8) 被動 表示 75
2. 前置詞句의 統辭 構造 76
1) 前置詞와 目的語의 結合 形態 76
2) 前置詞 目的語의 意味 分類 85
3) 前置詞句와 述語의 結合 形態 91
3. 前置詞 用法 特徵 96
Ⅳ. 老子 接續詞 用法 102
1. 接續詞 用法 分析 103
1) 竝列關係 表示 103
2) 連接關係 表示 107
3) 轉換關係 表示 119
4) 漸層關係 表示 122
5) 因果關係 表示 124
6) 假定關係 表示 134
7) 讓步關係 表示 138
8) '之'의 特殊用法 139
2. 接續詞 用法 特徵 146
Ⅴ. 老子 助詞 用法 150
1. 助詞 用法 分析 152
1) 構造助詞 152
2) 語氣助詞 174
3) 接尾辭 205
2. 助詞 用法 特徵 208
Ⅵ. 結論 213
參考文獻 221
Abstract 22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애실. (2021). ≪老子≫의 虛詞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