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on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Anxiety Symptoms for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Abstract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mpact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nd verify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act as a protection factor for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To this end, raw data on the survey of youth mental health conduct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Mental Health Center in 2018 were provided and analyzed. The youth mental health survey was conducted on 1,416 students attending four universities in Jeju Island, but 1,317 data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ccording to the study, 33.3% of those surveyed suffered from depression, 47.1% suffered from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were detected high in female students.

Based on 10 ACE categories, 32.7% of college students reported one or mor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nd 14.4% reported two or more different form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Both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showed a high percentage of trauma experiences in the order of separation/divorce from parents, emotional abuse, and physical abuse.

48.4% of the students with depression experienced more than on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nd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scores were low. 59.9% of th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experienced more than one type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nd the more severe the social anxiety symptoms, the low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Hierarchical regress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showed that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experiences have a static effect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and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have verified their influence on controlling th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ffect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a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have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m. Based on this result, early detection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nd active mental health service support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adverse childhood are needed, and various positive psychological programs ha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depressed and social anxiety symptoms.


Key Words: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경험이 우울 증상,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우울과 사회불안 증상에 긍정심리 자원이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제주특별자치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실시한 청년정신건강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청년정신건강실태조사는 제주도내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1,4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1,317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 일원 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의 33.3%가 우울증상, 47.1%가 사회불안 증상을 겪고 있었으며 여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ACE 10개 항목을 기준으로 할 때 1가지 이상의 아동기 외상 경험을 보고한 대학생은 전체 대상자 군의 32.7%, 2가지 이상의 다른 형태의 아동기 외상을 경험을 보고한 경우는 14.4%였다. 우울 증상과 사회불안 증상 모두 부모와의 별거/이혼 경험,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순으로 외상 경험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 증상이 있는 군 48.4%가 1가지 이상의 아동기 외상을 경험했으며, 긍정심리 자원 점수도 낮게 나타났다. 사회불안 증상이 있는 군 59.9%가 1가지 이상의 아동기 외상을 경험했으며, 사회불안 증상이 심할수록 긍정심리 자원이 낮게 나타났다.
세 변수 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외상 경험이 우울 증상과 사회불안 증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긍정심리 자원이 이를 조절하는 영향력이 검정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외상 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증상과 사회불안 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긍정심리 자원이 이를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외상에 대한 조기발견과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아동에 대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며, 우울 증상과 사회불안 증상 대상자들에게 다양한 긍정심리 프로그램 적용 및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Author(s)
오수경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60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김문두
Table Of Contents
Ⅰ .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목적 5
3. 연구가설 6
4. 연구의 윤리적 고려 7
Ⅱ . 이론적 배경 8
1.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 8
2. 우울증상 11
3. 사회불안 증상 12
Ⅲ . 연구방법 및 절차
1. 자료수집 방법 13
2. 연구대상 14
3. 연구모형 15
4. 측정도구 16
5. 자료 분석 방법 18
Ⅳ . 연구결과 19
1. 대상자의 특성 19
2. 우울증상과 사회불안증상 특성 26
3. 우울증상과 아동기 외상경험과의 관계 29
4. 사회불안증상과 아동기 외상경험과의 관계 33
5. 우울증상과 긍정심리 자원 관계 37
6. 사회불안 증상과 긍정심리 자원 관계 38
7.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0
8. 주요변수 간 위계적 회귀분석 42
Ⅴ . 결론 및 제언 48
1. 결론 48
2. 제언 52
Ⅵ. 참고문헌 53
Appendix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오수경. (2021).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Public Health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