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나카가미 겐지(中上健次) 작품론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ory of Work on Nakagama Genji : Considering the Sight mediating Female
Abstract
본 논문은 나카가미 겐지의 초기 작품에 그려진 '타자로서의 여성'의 삶에 주목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를 도출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적 방법과 상징 비평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했다.
피차별 부락 출신인 나카가미 겐지는 부락민 내부의 문화와 삶을 생생히 그린 최초의 작가였다. 그는 외부세계로부터 단절・배제된 채 살아온 부락에 그들만의 독특한 시간과 문화가 있음을 세상에 알렸다. 나카가미는 피차별 부락을 '로지(路地)'로 명명한 후, 부락의 이야기를 신화형식(saga)의 연작물로 구축해 나가며 자신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완성해 나간 것이다. 그는 왕성한 집필 활동을 통해 로지라는 공간에 자살・살인・방화 등 극단적 사건이 유독 잦았던 이유를 탐색해 나간다. 그리고 그 원인은 사회 가장 밑바닥의 타자들에게 가해진 차별・억압 등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한다. 다양한 힘들이 억압으로 작동하는 로지에서 가장 열악한 타자는 여성이었다. 나카가미는 '로지의 타자로서의 여성'으로 여성들의 삶을 그리며 그들의 굴곡진 생의 풍경을 작품에 실었다.
기존 체제에 대항하며 격변의 1960년대를 보낸 청년 나카가미는 절대적 가치와 신념의 붕괴를 경험한다. 이후 그는 절대적 가치를 부정하고 가치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작품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데 이는 데뷔작 『맨 처음 사건』에서 처음 시도된다. 그것은 주체의 내적변화에 의해 기존 풍경과는 또 다른 의미의 새로운 풍경이 발견되는 형태로 표현된다. 그것은 중심이 아닌, 주변 배경으로 밀려나 있던 존재들에 대한 자각이라 할 수 있다. 타원형의 중심은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이다. 주변부는 다양한 중심을 지닌 타원형이라 할 수 있다. 주변부의 다양한 중심의 상징으로 나카가미가 내세운 것이 바로 '로지'이다.
로지는 시간과 공간의 범주에 갇히지 않는 확장성을 지닌 개념으로 주변으로 밀려나 있는 모든 것들을 포괄한다. 특히 나카가미는 주변의 주변으로 밀려나 더 이상 밀려날 곳이 없는 사회 지배구조 가장 밑바닥에 위치하는 타자가 여성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그래서 나카가미의 작품에서는 유독 여성의 삶이 집중적으로 조명되고 있다. 나카가미가 '로지의 타자로서의 여성'에 주목하는 이유는 어머니의 삶과 긴밀하다. 이는 아버지를 가부장으로 하는 것이 보편화된 사회 속에서 어머니를 가모장으로 하는 모계가족에서 태어나고 자랐다는 특수한 성장 배경을 지녔기 때문이다.
전후세대 작가로는 처음 아쿠타가와 상(芥川賞) 수상이라는 영예를 안겨준 『곶』에서는 부락민 차별에 더해 가부장제 사회구조 안에서 또다시 차별 받는 모계가족 여성들의 수난을 그려내고 있다. 『곶』은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생명을 지키는 강인한 모성뿐만 아니라, 자식의 생을 위협하는 괴물적 모성 또한 그려내며 다양한 모성의 형태를 보여준다. 『곶』에 그려지는 모성은 생명 자체를 소중히 여기는 민중적 모성이다. 이는 메이지시대 일본이 수립한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지향하는 획일적 모성에 대한 비판이다. 『곶』에 그려진 민중적 모성은 어머니의 희생과 헌신에 위대함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 스스로가 선택한 삶에 주체적이고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주는 모성을 강조한다.
『가레키나다』의 세계는 남아 선호사상이 강하게 작동하는 공간으로 여기에는 여성혐오・소외・차별・억압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나카가미는 일상에서 소외되거나 배제되는 여성들의 삶을 그리며 인위적 제도에 의해 인간이 소외되는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한다. 특히 근대에 정립된 이에제도(家制度)는 여성들을 독립성이 없는 존재로 고착시켰는데 나카가미는 가부장제 사회의 타자인 여성들의 풍경을 『가레키나다』에 그렸다. 이와 같은 사회제도의 모순을 『가레키나다』에 그리며 인간이 제도에 의해 소외되고 배제되는 현실을 고발한다. 또 인간의 성(性)에도 주목하여 성을 둘러싼 자본・제도・권력의 문제를 파헤친다. 특히 사회 가장 밑바닥의 매춘 여성의 성과 관련한 모순에 집중하여 그들의 성에 담긴 제도와 권력을 해부한다.
1930년대 초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봉선화』는 수난의 시대를 산 어머니의 인생을 그리는 동시에 서민의 역사도 함께 그린 작품이다. 격동의 쇼와(昭和)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 작품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민초들의 수난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작품 제목인 '봉선화'는 우리 주변에 흔한 식물로 나카가미는 '고향'과 함께 '어머니'를 환기시키는 상징물로서 '봉선화'를 내세우고 있다. 나카가미는 '봉선화'를 모계 혈통의 은유임과 동시에 아시아를 상징하는 꽃으로 보고 이를 작품 제목으로 택했다. 여기서 '봉선화'가 표상하는 아시아의 상징 모권적 문화는 아버지 중심의 부권적 세계로 설명되는 서구 문화와는 이질적인 것이다. 나카가미는 서구의 부권적 문화에 대한 대응으로써 모권적 문화의 상징 또는 아시아의 표상으로 '봉선화'를 제시하며 아시아의 정신과 색채를 일깨우고 있다. 이는 아시아가 맹목적인 서구 추종에서 벗어나 주체적이고 독자적인 정체성을 수립하기를 바라는 작가의 희구로 볼 수 있다. 또 나카가미는 척박한 상황에도 뿌리를 내리고 씨를 퍼트리며 생명을 이어가는 봉선화의 특성에서 역경의 시간을 넘어 살아가는 어머니의 강인한 생명력을 결부한다. 이때의 강인함은 억압의 힘에 대항하는 것이 아닌, 그 억압마저 흡수하고 수용해버림으로써 이를 무력화하는 강인함이다. 나카가미는 이러한 봉선화의 심상을 통해 어머니와 아시아의 강인한 생명력을 『봉선화』에 그려내고 있다.
This study considered paying attention on female life as the other shown in the initial works of Nakagama Genji. Study method such as psychoanalytical method and symbolic criticism, etc. was used to draw above.
Nakagama Genji a man of discrimination village(Buraku) was the first writer described the culture and life of internal people in the village vividly. He proclaimed to the world that there have been unique time and culture of their own in the village severed and excluded from outside world. Nakagami constructed the story of village as the series of saga completed his own unique literature world by naming the discrimination village as 'Roji(backstreet)'. He searched the reason that extreme accidents such as suicide, murder, arson, etc. have been particularly frequent in the space of Roji through active writing activities. And he found that th reason of it was related the suppression inflicted to others at the lowest bottom of society. Most poor others at the Roji operating various powers was felame. Nakagami put curved sight of life in Roji famale in his work drawing his mother as a 'female as the other in Roji'.
Young man, Nakagami, spent turbulent 1960s resisting existing system experienced the collapse of absolute value and belief. Since then, he constructed the world of art works denying absolute value and strengthening diversity of value, and it was tried in his debut work, 『The very Beginning Accident』 for the first time. It was expressed as the type that new sight excluding existing sight is established or found by the internal change of the subject. It was 'Roji' which Nakagami imposed as the symbol of various center. Roji is the concept has the expandability without the limit of time and space and including all things surrounding us. Especially, Nakagami paid attention on the famale lacated at the lowest bottom of social governance structure and there is no place to push out have been pushed out to the surrounding of surrounding. So, particularly, the life of female is shown largely in the work of Nakagami.
He drawn the ordeal of female in a maternal family discriminated again in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to discrimination of village people in 『Cape』 which gave a glory awarding Akutagawa Prize as the first time among the writer after war. 『Cape』 shows various maternal forms drawing monstrous maternal instinct threaten the life of child also as well as strong maternal instinct keeping the life under any adversity. The maternal instinct drawn in 『Cape』 is a popular maternal instinct cherishing the life itself. It is a criticism to uniform maternity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Greatness of popular maternal instinct is not in the sacrifice and devotion. It is in the maternal instinct of strong life force living own life as subjectively.
The world of 『Karekinada』 is a space strongly operating the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So, it includes misogyny, alienation, discrimination, suppression, etc. inn here. Nakagami reports absurd reality alienated the human by artificial system drawing the life of alienated or excluded women in daily life. Nakagami draws the sight of women pushed out as others in patriarchal society in 『Karekinada』. He reports the reality that a human is alienated and excluded by social system drawing this contradiction of system in 『Karekinada』. Also, he digs the problem of capital, system and power surrounding the sex paying attention on the gender of human. Especially, he dissects the system and power in the sex of prostitute concentrating the contradiction related with the sex of prostitute at the lowest bottom of the society.
『Garden Balsam』 is a work shown the history of ordinary people showing the life of mother lived the times of hardship at the same time. This work set turbulent Showa period as a background shows the life of hardship on the grass roots not recorded in the history vividly. The title of work, 'Garden Balsam', is a common plant on the periphery, and Nakagami suggested this garden balsam as a symbol reminding mother together with hometown. Also, he think 'Garden Balsam' as a flower symbolizing Asia by responding martial authority culture of the West. Nakagami also finds out strong life force of mother living beyond the time of hardship in the characteristic of garden balsam continuing the life rooting and sowing in barren situation. Nakagami draws strong life force of mother through the image of garden balsam.
Author(s)
박진향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67
Alternative Author(s)
Park, Jin Hya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김난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1
2. 연구목적 및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11
Ⅱ. 맨 처음 사건(一番はじめの出事)론: 나카가미 문학의 맹아(萌芽) 15
1. 소년기 기억의 재구성 15
2. 모계제 씨족공동체의 환상 23
3. 자각된 풍경의 출현 29
Ⅲ. 곶(岬)론: 로지(路地)의 여성 신화 풍경 39
1. 근대적 모성으로부터의 탈피 39
2. 모계가족의 풍경 43
2.1 모계가족의 수난 43
2.2 모성신화와의 격투 48
2.3 민중적 모성의 원형 55
3. 탈(脫)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61
Ⅳ. 가레키나다(枯木灘)론: 로지(路地)의 여성 풍경 71
1. 부권적 공간으로서의 이에(家) 71
2. 이에(家)의 타자로서의 여성 78
2.1 이에(家) 안 여성 78
2.2 이에(家) 밖 여성 87
3. 주체성을 회복하는 여성들 97
Ⅴ. 봉선화(鳳仙花)론: 자본주의 속 여성 풍경 104
1. 농촌에 침투한 약탈적 자본주의 104
2. 근대화 속의 여성 112
2.1 최초의 공장 노동자 여성 112
2.2 아시아의 상징 봉선화 118
3. 생명력의 상징 봉선화 122
Ⅵ. 결론 128
참고 문헌 132
Abstract 140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진향. (2021). 나카가미 겐지(中上健次) 작품론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