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job stress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esources
Abstract
대학생 시기는 사회적 보호를 받는 청소년기를 벗어나 독립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 시기이며, 이를 위한 첫 단추가 경제활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청년실업은 이전부터 사회문제로 대두되어왔고, 그로 인해 취업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하고 우울이라는 정신건강문제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긍정자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 취업스트레스 척도 22문항, 우울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CES-D 20문항과 긍정자원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POREST 23문항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2021년 4월부터 5월까지 약 1개월간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재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제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완료되지 않았거나 불성실한 응답 9부를 제외한 223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프로그램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test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 평균은 평균 1.87점, 우울은 0.57점으로 중간보다 낮았으며, 긍정자원은 평균 3.63점으로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긍정자원은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이 높을수록 우울은 높았으며,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긍정자원과 긍정자원의 하위변인은 낮아졌다. 그리고 긍정자원과 긍정자원의 하위변인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았다. 셋째,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자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자원의 하위변인으로는 긍정성과 사회적 자원이 매개효과가 있었고, 목적 및 희망과 자기통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우울을 낮추기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과 긍정성과 사회적 자원을 바탕으로 한 긍정자원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선, 취업지원 인프라 확충, 신입생 학교적응 지원, 성격 및 자아상태 검사 등과 더불어 긍정성 강화지원, 유의미한 지지체계 형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The time of university is a time when you grow out of your socially protected adolescence and into an independent member of society, and the first step to this is economic activity. However, youth unemployment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before, which is adding the stress of employment to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can lead 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an also be a major factor in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employment stress on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positive resources. We used 22 questions on the employment stress scale to find out th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20 questions on CES-D to find out the level of depression, and 23 questions on POREST to find out the level of positive resources as measuring tools. For about a month from April to May 2021,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and collected from 232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223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nine incomplete or unfaithful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o perform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tes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mployment stress of the subjects was 1.87 points on average, 0.57 points for depression, lower than the average, and the positive resources were 3.63 points, higher than the average. Employment stress and depression were statically correlated, and positive resources were inappropriate for job stress and depression. Second, the higher the employment stress and the employment stress's sub-variable,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employment stress, the lower the positive resources and positive resources's sub-variable. And the higher the sub-variants of positive and positive resources,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Third, positive resources were shown to have a mediated effect on depression In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s a sub-variant of positive resources, positivity and social resources were shown to have a mediated effect, and purpose, hope, and self-control had no mediated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it is necessary to reduce employment stress and increase the level of positive resources based on positivity and social resource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expand employment support infrastructure, apply for new students' school adaptation, check personality and self-esteem, and support for the formation of a meaningful support system.
Author(s)
김광진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76
Alternative Author(s)
Kim, Kwang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상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1. 취업스트레스 5
2. 우울 8
3. 긍정자원 12
4. 선행연구 고찰 16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모형 20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0
3. 측정도구 21
4. 연구가설 23
5. 자료분석방법 24
Ⅳ. 연구결과 25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5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 차이 분석 29
3. 주요 변수들 간 상관관계분석 42
4.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44
5. 취업스트레스가 긍정자원에 미치는 영향 50
6. 긍정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55
7.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자원의 매개효과 검증 60
8.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76
Ⅴ. 결론 및 제언 77
1. 연구결과 요약 77
2. 제언 및 함의 80
3. 연구의 한계점 82
참고문헌 83
abstract 93
부록 9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광진. (2021).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