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Social Workers on Job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슈퍼비전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 내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1년 3월 25일부터 2021년 4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29개 기관에 296명의 사회복지사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 중 27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Statistics 25를 활용하여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는 평균 2.04로 중앙값보다 다소 낮고, 직무만족은 평균 3.65, 자기효능감은 평균 3.34, 슈퍼비전은 평균 3.59로 중앙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하위변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는 모두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슈퍼비전의 하위변인 교육적 슈퍼비전과 지지적 슈퍼비전은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낮아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수준이 다소 낮더라도 만성화로 인한 소진, 직무불만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기관 차원의 예방과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 교육적·지지적 슈퍼비전의 조절 역할을 확인하였기에 사회복지사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적 슈퍼비전 제공을 위한 슈퍼바이저의 전문성 확보 방안과 지지적 슈퍼비전 제공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는 실증적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vel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in social workers working in Jeju area and seek a practical means for reducing negative effect exerted on job satisfaction by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social workers by valid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on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goal, survey had been conducted on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within Jeju Island. The survey lasted between March 25th 2021 to April 15th 2021 and surveys were distributed among 296 social workers from 29 institutions. The data collected from 274 participant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Methods of the analysis included SPSS Statistics 25 to perform technical statistics on important factor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econdary traumatic stress is slightly lower than the median with the average value of 2.04, while job satisfaction with the average value of 3.65, self-efficacy with the average value of 3.34, and supervision with the average value of 3.59 wer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Second, higher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social workers are, lower their job satisfaction was. Third,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all of which are lower factors of self-efficacy, are shown to have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urth, education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both of which are lower factors of supervision, are shown to have moderating effect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y reducing the negative exerted by former to the latter.
Such result suggests that prevention and management on the level of institution is necessary to reduce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social workers since low level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social workers may cause burn out and job dissatisfaction by becoming chronic problem. Also, the study offers practical means for the provision of supportive supervision and acquisition of professionalism from supervisors for educational supervision which is required for social workers to handle their tasks as the moderating effect of educational·supportive supervision on negative effect of secondary traumatic effect on job satisfaction had been confirmed. Additionally, as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for investigating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on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holds practical significance.
Author(s)
양길영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91
Alternative Author(s)
Yang, Gil 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상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5
1)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의 개념 5
2)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의 증상 7
3)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8
2. 직무만족 9
1) 직무만족의 개념 9
2) 직무만족의 중요성 10
3)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11
3. 자기효능감 12
1) 자기효능감의 개념 12
2) 자기효능감의 형성 13
3)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 14
4)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14
4. 슈퍼비전 15
1) 슈퍼비전의 개념 15
2) 슈퍼비전의 기능 16
5. 선행연구 고찰 18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7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9
3. 측정도구 29
1) 독립변수 :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29
2) 종속변수 : 직무만족 30
3) 조절변수 : 자기효능감, 슈퍼비전 31
4) 통제변수 32
4. 자료분석방법 32
Ⅳ. 연구결과 34
Ⅴ. 결론 및 제언 82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82
2. 연구의 함의 및 제언 87
3. 연구의 한계 89
참고문헌 90
Abstract 103
설문지 10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양길영. (2021).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