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소셜미디어를 통한 대통령의 자기표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resident's self-presentation through social media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을 비교한 후 그 특징과 차이점을 발견함으로써 향후 발전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양국 소셜미디어 활용을 설명하기 위해 고프만의 인상관리를 기본적 이론으로 활용하였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1년차부터 3년차에 대한 구성주표본 추출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고프만의 인상관리를 기반으로 소셜미디어 유형, 소구방식, 커뮤니케이션 전략 등을 측정 도구로 설정했다. 고프만의 인상관리에 따른 한국과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활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자 했다. 또한, 각 대통령들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하여 각기 다른 문화적 배경도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대통령들이 어떻게 소셜미디어 유저들과 의사소통하고자 하였는지도 알아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future development strategy by analyszing the social media usage status of Korean and US presidents and identifying their simiarities and differences.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was utilized to explain social emdia usage in both countir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construed week sampling method for the first to third years of inauguration of President Moon Jae-in and President Trump. Social media types, appeal method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were chosen as measuring instruments based on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ccording to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this study sought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contrasts between the president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age of social media. In addi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termine how varied cultural backgrounds affect each president's use of social media. Finally, this research looked into how presidents used social media to engage with social media users.
Author(s)
조하진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347
Alternative Author(s)
Jo, Ha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언론홍보학과
Advisor
김경호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절 논문의 구성 5
제2장 이론적 논의 7
제1절 고프만의 연극적 이론 7
1) 고프만의 인상관리 7
2) 고프만의 인상관리와 소셜미디어 12
제2절 소셜미디어에 대한 논의 17
1) 소셜미디어의 이용현황 및 속성 17
2) 소셜미디어 기반의 문화적 문법 차이 23
3)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활용 26
제3절 한미 대통령 이미지에 대한 고찰 37
1) 문재인 대통령의 이미지 특성 37
2) 트럼프 대통령의 이미지 특성 42
제3장 연구문제 46
제4장 연구방법 49
제1절 자료의 수집 49
1) 내용분석 49
2) 분석대상 49
3) 분석기간 50
4) 표집방법 51
제2절 예비조사의 시행 53
1) 예비조사 연구결과 53
2) 예비조사 연구결과 반영 54
제3절 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56
1) 소셜미디어 메시지 주제 56
2) 소셜미디어 콘텐츠 메시지 전략 58
3) 소셜미디어 연극적 분석법 60
4) 소셜미디어 주는 표현과 메시지 정보 제공 방식 63
5) 소셜미디어 메시지 형식 66
6) 소셜미디어 메시지 소구 방식 67
7)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략 68
제4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70
제5절 코딩 자료의 분석 70
제5장 연구결과 73
제1절 연구문제 1의 결과 73
1) 소셜미디어 메시지 주제 73
2) 소셜미디어 정책/정치적 주제 78
3) 소셜미디어 메시지 전략 87
제2절 연구문제 2의 결과 95
1) 무대 전면 95
2) 무대 전면 98
3) 기술 표현 101
4) 불일치 되는 역할 105
5) 정보 유형 110
제3절 연구문제 3의 결과 115
1) 주는 표현 115
2) 콘텐츠 제공 방식 121
제4절 연구문제 4의 결과 124
1) 소셜미디어 유형 124
2) 소셜미디어 소구 방식 126
제5절 연구문제 5의 결과 131
제6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136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36
제2절 결론 및 함의 142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46
참고 문헌 - 국문 149
참고 문헌 - 영문 157
부록 내용분석 유목 165
요약 168
Abstract 16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하진. (2021). 소셜미디어를 통한 대통령의 자기표현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