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재난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Media Dependency on the Disaster Information : Based on Interview with Sri Lankan foreign workers residing in Jeju
Abstract
코로나19와 같은 전파력이 강한 감염병은 예기치 않게 발생하며, 질병 확산에 대한 두려움은 사회적 위기를 야기한다. 대중이 위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만큼 질병에 대한 정보 욕구는 증가하며, 예방대책을 필요로 하게 된다. 재난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지만 한국어 이해능력에 따른 정보수집, 상황판단이 어려운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재난의 위험에 더욱 쉽게 노출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외국인 근로자 7명을 대상으로 평상시 미디어 이용 현황과 비교하여 코로나19 재난상황에서 재난정보를 어떻게 습득하는지 알아보고, 재난 위협인식에 따른 미디어 의존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자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심층인터뷰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선택했다. 연구대상자는 제주지역 양식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스리랑카 외국인 근로자들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근로자들이 평상시 이용하는 미디어는 한국에 오기 전에는 텔레비전을, 한국에 온 이후에는 인터넷 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 전에는 주로 가정에서 자유롭게 텔레비전을 시청하였으며,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했다고 응답하였다. 인터넷 미디어의 경우 값비싼 요금과 열악한 인터넷 통신 시설로 인해 이용하는데 상당한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에 온 이후에는 텔레비전의 경우 숙소에 구비되지 않아 이용할 수 없었고, 인터넷 미디어의 경우 요금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인터넷 미디어는 자국에 있는 가족 및 친구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자국 미디어 콘텐츠 이용, 근로 및 여행 등과 같은 한국생활에 대한 정보 검색, 게임 등을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난정보는 대인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미디어, 자국 가족, 긴급재난문자 등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는 주로 고용주와 한국인 근로자로부터 제공되는 대인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습득하고 있었으며, 정보 습득 후 동료들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통미디어는 배제된 인터넷 미디어 의존 현상을 보여주었는데, 소셜미디어를 통해 주로 재난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이 자유로운 외국인 근로자들은 매일 자국의 가족들과 통화를 하며 가족들로부터 한국의 재난상황을 전달받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재난상황에서 전달받는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접하고는 있으나 언어적 제약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은 문자 메시지를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번역한 후에서야 세부내용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근로자들은 재난에 대한 위협인식을 느끼고 있었으며, 위협인식을 느낄 때마다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세상이 날로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우리가 겪게 되는 재난의 종류와 규모도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재난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재난상황에서 인터넷 미디어 의존이 높게 나타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경우 인터넷 미디어와 대인커뮤니케이션을 모두 사용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 highly contagious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VID-19 occurs unexpectedly, and the fear of spreading the disease causes a social crisis. As the public feels anxious about the risk of infection, the desire for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increases, and preventive measures are required. These disasters can happen to anyone. However, foreign workers who have difficulties in collecting information and judging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are exposed to the risk of disaster. Accordingly,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how to acquire disaster information in a COVID-19 disaster situation along with the usual media usage status for 7 foreign workers residing in Jeju, and examined how media dependence appear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disaster threat. The research method was investig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edia that foreign workers usually use was TV before moving to Jeju Island and internet media after moving to Jeju Island. Before moving to Jeju Island, they mostly watched TV freely at home. And they responded that radio, newspapers, magazines, etc. wer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e case of Internet media, it was found that there are considerable restrictions on its use due to high rates and poor Internet communication facilities. After moving to Jeju Island, TV was not available in the dormitory, so it was impossible to use it. However, in the case of Internet media, they answered that they were freely using it without restrictions on fees and locations. It was found that Internet media is being used for purposes such as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friends in Sri Lanka, using Sri Lankan media content,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life in Korea such as work and travel, and playing games. Second, disaster information was found to be acquired fro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ternet media, Sri Lankan families, and emergency text messages. The first information obtained appeared a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Korean worker, and after acquiring th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was shared with colleagues. In addition, traditional media showed a phenomenon of dependence on Internet media excluded, and it was found that disaster information was mainly acquired through social media. Also, it was found that foreign workers, who are free to use smartphones, communicate with their Sri Lankan families on the phone every day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Korea's disaster situation from their famil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although emergency text messages received in disaster situations deliver disaster information quickly, foreign workers understand the contents after translating text messages through a translation application due to language restrictions. Third, foreign workers showed a threat perception about disasters, and whenever they felt a threat perception, they showed an attitude of acqu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media. As the world today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e, the types and scale of disasters we face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various communication roles to deliver disaster information are of paramount importance. For foreign workers who are highly dependent on Internet media in disaster situations, an integrated communication strategy using both Internet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hould be prepared.
Author(s)
원지애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393
Alternative Author(s)
Won, Ji A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언론홍보학과
Advisor
최낙진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자 이야기 1
2.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Ⅱ. 이론적 배경 6
1. 제주지역 외국인 근로자 등록 현황 6
2. 외국인 근로자의 미디어 이용 실태 10
3. 재난과 미디어 14
1) 재난의 정의와 코로나19 감염병 14
2) 선행연구 검토 18
(1) 재난과 미디어에 관한 연구 18
(2) 외국인과 재난에 관한 연구 20
4. 미디어 의존 이론 23
1) 미디어 의존의 개념 23
2) 미디어 의존 모형 25
3) 미디어 의존과 위협인식 26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9
1. 연구문제 29
2. 연구방법 30
1) 심층인터뷰 30
2) 포커스그룹 인터뷰 31
3. 연구대상 32
1) 목적표집 32
2) 근로환경 및 생활환경 35
Ⅳ. 연구결과 37
1. 평상시 미디어 이용 행태 37
1) 이주 전 미디어 이용 행태 37
2) 이주 후 미디어 이용 행태 39
2. 재난상황에서 재난정보 습득 경로 45
1) 자연재난에서 재난정보 습득 경로 45
2) 사회재난에서 재난정보 습득 경로 46
(1) 대인커뮤니케이션 46
(2) 인터넷 미디어 49
(3) 자국의 가족들 52
(4) 긴급재난문자 53
3. 위협인식과 미디어 의존 54
1) 재난상황에서의 위협인식 54
2) 위협인식과 미디어 의존 57

Ⅴ. 결론 및 논의 59
1. 연구결과 요약 59
2. 제언 및 한계 62

65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원지애. (2021). 재난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