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의 전고 수용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Precedents of
Abstract
The current status of has been investigated as a total of 175 manuscripts, including 150 manuscripts, 7 hard editions, 2 Anseong editions, 3 unconfirmed Banggak manuscripts, 10 old printed, 3 Chinese manuscript manuscript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iest and most explicitly revealed version among them was the 36 Jangseogak vers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earliest and most explicit period of formation of this version was in 1857, it could be reasonably estimated that the creation of this work was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36 chapters of Jangseogak, and through these copies, the Chinese historical records accepted in were 25 cases in total, including 9 cases related to the wise mother, 3 cases related to brotherly friendship, 4 cases related to husband and wife, and 9 cases related to filial piety. am.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of the total number of accepted historical histories for , 36 hard plates, 28 hard plates, 16 Anseong editions, and old printed published by Shingu Seorim,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hese copies of , were compared. Compared to the other versions, the 36 chapters of the major emphasize the discipline of the mother's admonition the most, and in the case of Jindaebang's admonition, the frequency is the lowest compared to the other versions that were investigat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36 chapters of Jangseogak, it could be seen that a great weight was placed on self-discipline among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ceptance pattern of and its meaning, the case of Confucius and King Lu revealed the importance of discipline and education rather than legal punishment for infidelity. and clear purpose. Next, the acceptance of nine cases related to the wise mother revealed that the cause and responsibility for the conflicts between families and the infidelity of children were entirely in the woman who failed to properly fulfill the role of the mother through a patriarchal perspective. And the acceptance pattern of the test related to brotherly love showed that the problem of family discord was not of great importance. In particular, through the acceptance of 9 cases of filial piety and 4 cases of great wife, it was clarified that the root cause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discord lies in the absence of the role of a great wife and infidelity. It was clearly shown that the solution also lies in the restoration of the role of wise mothers and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의 이본 현황은 필사본 150종, 경판본 7종, 안성판본 2종, 확인되지 않은 방각본 3종, 구활자본 10종, 한문 필사본 3종 등 총 175종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이 중에 이본 형성 시기가 가장 빠르면서도 명시적으로 드러난 이본이 장서각 36장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이본의 형성 시기가 1857년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이 작품의 창작 열대를 19세기 전반을 전후한 시기임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서각 36장본을 대상으로 정하였으며, 이 이본을 통해 에 수용된 중국 고사는 현모 관련 9건, 형제간 우애 관련 3건, 양처 관련 4건, 효 관련 9건 등 총 25건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의 이본군을 대표할 수 있는 경판 36장본, 경판 28장본, 안성판 16장본, 신구서림에서 출판한 구활자본을 대상으로 수용된 고사를 전수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장서각 소장 36장본은 다른 이본들에 비해 모친의 훈계를 가장 강조하고 있으며 진대방의 훈계인 경우 조사 대상이었던 다른 이본들에 비해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장서각 36장본인 경우 서사의 내용 중에 모친 훈계에 자강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 전고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 결과 공자와 노왕의 사례를 통해 불효에 대한 법률적 처벌보다는 훈계와 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냈고, 이 고사의 수용 양상을 통해 작품 전체의 서사 진행 방향과 목적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어 9건의 현모 관련 고사의 수용은 가부장적 시선을 통해 가족간의 갈등과 자식의 불효에 대한 원인과 책임이 전적으로 현모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여성에 있음을 드러냈다. 그리고 형제애(兄弟愛) 관련 고사의 수용 양상은 가정불화의 문제에 큰 비중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9건의 효 관련 고사와 4건의 양처(良妻) 관련 고사의 수용을 통해 가정불화의 근본적인 원인과 책임이 현모 역할의 부재와 더불어 불효에 있음을 명확히 하였고, 이는 가정불화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 방법 역시 현모의 역할 회복과 효의 실천에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Author(s)
장해정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431
Alternative Author(s)
Jiang, Hai Qi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강문종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의 서지적 고찰과 전고의 수용 6
1. 이본 현황과 장서각 36장본의 형태적 특징 6
2. 에 수용된 전고 정리 15
Ⅲ. 전고 수용 양상 23
1. 재판, 서사 진행의 방향 제시 24
2. 현모(賢母), 부덕(婦德)의 전범을 통한 자질 향상 27
3. 형제애(兄弟愛)․양처(良妻), 극단적 조건을 통한 효행 강조 41
4. 효자(孝子), 맹목적 성격을 통한 교육적 효과 제시 48
Ⅳ. 전고 수용 양상의 의미 61
Ⅴ. 결론 66
참고 문헌 68
부록
장서각 소장 36장본 원문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