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국의 인공지능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인공지능 기술을 핵심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했다. 이전의 산업 혁명에 비해, 이 산업 혁명은 더 포괄적이고 범위가 넓으며 영향력이 더 크다. 그것은 세계모든 나라에 의해 안내될 것이다. 깊은 체계적 변화. 인공지능 기술의 심도 있는 개발과 광범위한 사용은 취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취업 기술 구조에 완전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탐사 단계에서 성숙 단계에 이르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이 기술이 더 나은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우리에게 계속해서 생각하고 탐구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문제 제기, 즉 문제 분석의 아이디어를 따르고 인공지능 기술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수행한다.
첫째, 관련 문서를 많이 읽는 것에 기초하여, 인공지능과 취업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요약하고, 취업에 대한 기술적 진보의 영향 전송 메커니즘을 분석하라: 기술적 진보는 취업에 "대체 효과"와 "보상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인공지능 기술의 광범위한 사용은 원래 취업 인구와 취업 시장에 영향을 미쳐 기술 실업과 구조적인 실업으로 이어질 것이고, 반면에, 인공지능 기술의 대규모 사용은 새로운 산업과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그에 상응하는 새로운 산업의 수를 증가시킬 것이다. 일자리와 새로운 요구 숙련된 노동자들의 요구는 결국 취업을 증가시킨다.
둘째, 중국의 인공지능 기술개발과 취업 시장의 현상 및 현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다른 각도에서 출발해야 한다.
셋째, 노동시장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능동적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자신의 존재와 전문성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일련의 정책 권고안을 제시한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arrived. Compared to the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 this industrial revolution is more comprehensive, broad, and influential. It will be guided by all countries in the world. Deep systematic change. In-depth development and extensiv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not only bring about a major change in employment but also bring about a complete change in the structure of employment technology.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rom the exploration stage to the maturity stage, it requires us to continue to think and explore whether it can play a better ro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follows the idea of problem-raising, that is, problem analysis, and conducts systematic research on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n employment. First, summarize the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mployment based on reading a lot of related documents, and analyze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impact of technological progress on employment: technological progress has "alternative effects" and "compensation effects" on employment. Meanwhile, widesprea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affect the original working population and the job market, leading to technological unemployment and structural unemployment, while large-scal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create new industries and increase the number of corresponding new industries. Jobs and new needs The needs of skilled workers eventually increase employ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start from a different angle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China and the phenomena and problems of the job market. Third, a series of policy recommendations focusing on how to play an active role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labor market and how to recognize one's existence and expertise are presented.
Author(s)
서명주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436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강영훈
Table Of Contents
제Ⅰ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 목적 4
제Ⅱ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인공지능 관련 이론 6
1. 인공지능 이론 6
2. 인공지능의 발전 단계 11
3. 인공지능 주요 응용 분야 13
제2절 취업 관련 이론 15
1. 취업 16
2. 취업 구조 17
제Ⅲ장 중국의 인공지능과 취업 현황 18
제1절 중국 AI의 현황 및 문제 18
1. 중국 인공지능 기업 수 18
2. 중국 AI 인재 투입 및 분표 19
3. 인공지능의 특허 인증 21
4. 지능화 로봇의 발전 및 분포 23
제2절 중국의 취업 현황 및 문제 24
1. 취업자 수량 변화 24
2. 취업 구조 분포 26
제Ⅳ장 중국 인공지능과 취업 관계 분석 30
제1절 인공지능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30
1. 인공지능이 취업 구조와 범위 31
2. 인공지능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32
3. 인공지능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33
제2절 취업률 성장 34
1. 업종별 34
2. 인공지능 기업 수 39
3. 대학교 전공 수 및 인공지능 인재 수요 수 41
4. 고기능 학력 42
제2절 취업률 하락 43
1. 업종별 43
2. 물류업 47
3. 제조업 49
4. 금융업 50
5. 학력별 51
제Ⅴ장 결론 55
1. 전통적인 교육훈련 방식의 혁신 55
2. 산업 구조 변화 및 고도화 강화, 노동시장 고용 구조 최적화 56
3. 인공지능 산업의 확대와 재생산을 가속화하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 57
4. 노동자 보호 제도를 구축 및 개선하여 생존 위험을 감소 58
참고문헌 59
ABSTRACT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