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사료 내 황토의 첨가가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흰다리새우 사료 내 황토의 첨가가 흰다리새우의 성장, 면역력,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 1에서는 흰다리새우를 대상으로 사료 내 황토의 효과를 확인하기위해 사육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사료는 총 4종으로 되도록 설계하였으며 황토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ON)를 제외한 3개의 실험사료에는 황토를 단계별(0.5, 1.0, 2.0%)로 첨가하였다. 사양실험은 총 16개(4반복)의 acrly-96L 수조에서 진행되었으며, 실험새우의 초기 평균무게는 0.34±0.00 g으로 수조 당 15씩 무작위로 배치하여 42일간 진행되었다. 사료공급은 1일 5회(08:30, 11:00, 13:30, 16:00, 18:30 h)로 나누어 새우 체중의 7-12%로 제한공급하였다. 성장 결과, 실험새우의 최종 평균무게는 5.64 g이었으며, 최종무게와 일간성장률은 모든 실험구가 CON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성장을 보였다. 단백질전환효율은 L1.0구가 CON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사료계수는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농도로 첨가하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존율(91.1-95.6%)은 CON구와 실험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면역력 분석 결과, PO 활성은 L1.0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Lysozyme 활성은 실험구가 CON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췌장 내 proPO의 발현량은 L2.0구가 CON구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Crustin의 발현량은 L1.0구와 L2.0구가 CON 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 2의 실험사료는 총 6종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6종의 실험사료 중 황토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CON)를 제외한 실험사료에는 황토를 단계별(0.3, 0.6, 1.2, 2.1, 4.8 %)로 첨가하였다. 사양실험은 총 24개(4반복)의 acryl 110-L 수조에 각 20마리씩 무작위로 선출하여 57일간 사육하였으며, 실험새우의 초기 평균무게는 0.48±0.00 g으로 수조 당 20씩 무작위로 배치하여 57일간 진행되었다. 사료공급은 1일 5회(08:30, 11:00, 13:30, 16:00, 18:30 h)로 나누어 새우 체중의 7-12%로 제한공급하였다. 실험 2의 성장 결과, L0.3구가 CON 구, L2.4 구, L4.8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단백질전환효율과 생존율은CON 구와 실험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면역력 분석 결과, PO 활성은 L0.3구가 L2.4구를 제외한 황토 첨가구와 CON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ysozyme 활성은 L0.6구와 L1.2구가 CON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roPO 발현량은 L0.3구가 L0.6구를 제외한 실험구와 CON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L0.3구와 L0.6구는 CON구, L2.4구와 L4.8구에 비해 crustin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V. parahaemolyticus를 이용한 공격실험 결과, 실험새우의 생존율은 L0.3구와 L1.2구가 CON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간췌장 내EMS 독소 유전자의 DNA 발현량은 대조구와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하체의 일반성분분석은 모든 실험구와 대조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 1에서는 흰다리새우 사료 내 황토 첨가가 성장, 사료효율, 면역력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L0.3구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L2.4구에서 CON에 비해 낮은 성장을 보였다. 하지만 흰다리새우 사료 내 황토의 첨가는 비특이적면역력과 질병저항성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했으며 흰다리새우의 크기, 양식환경, 황토의 mineral 조성차이와 대사과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다양한 연구가 부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upplemental effects of loess on growth performance,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Two feeding trials (EXP-1 and EXP-2) were conducted. In EXP-1,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0.0, 0.5, 1.0 and 2.0% loess (desig-nated as CON, L0.5, L1.0 and L2.0, respectively) and were fed to the shrimp groups in four replicates. After a feeding trial,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and innate immun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shrimp fed diets containing loess than those of shrimp fed CON (no supplementation). In EXP-2, six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0.0. 0.3, 0.6, 1.2, 2.4 and 4.8% loess (designated as CON, L0.3, L0.6, L1.2, L2.4 and L4.8, respectively). Quadruplicate groups of shrimp were hand-fed one of the diets four times daily for 57 days. After the second feeding trial,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phenoloxidase and lysozyme activities of shrim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dietary loess supplementations compared to those fed CON. After a challenge test with 1.0 × 109 CFU ml-1 Vibrio parahaemolyticus solution for 288h, cu-mulative survival of shrimp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shrimp fed L0.3 and L1.2 diets compared to fed CON diets. This study indicates that loess can improve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of Litopenaeus vannamei and the optimum supplemental level is suggested as 0.3% in diets for Li-topenaeus vannamei.
Author(s)
조세희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472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명과학과
Advisor
이경준
Table Of Contents
서론 1
Ⅱ. 흰다리새우 사료 내 황토의 이용성 평가 4
1. 재료 및 방법
1) 실험사료 4
2) 실험새우와 사육관리 7
3) 성장조사와 sampling 8
4) 일반성분 분석 10
5) 면역 분석 10
6) 통계학적 분석 12
2. 결과 13
Ⅲ. 흰다리새우 사료 내 황토의 적정 첨가함량에 관한 연구 20
1. 재료 및 방법
1) 실험사료 20
2) 실험새우와 사육관리 22
3) 성장조사와 sampling 23
4) 일반성분 분석 23
5) 면역 분석 23
6)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질병저항성 평가: 공격실험 23
7) qPCR에 의한 유전자 발현분석 23
8) 통계학적 분석 25
2. 결과 26
Ⅳ. 고찰 36
Ⅴ. 요약문 40
Ⅵ. 참고문헌 43
Ⅷ. 감사의 글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arine Life Scienc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