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풍경화의 공간표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Space in Landscape Painting : Focusing on my painting
Abstract
회화는 시대에 따라 그 역할을 달리하며 무구한 역사를 이어오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풍경화는 르네상스 이 후 지나간 시대를 그리워하는 향수의 공간으로, 또는 이상향적 염원이 담겨있는 상상의 공간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현대미술에 있어서 풍경화는 작가의 생각과 경험, 그리고 의지가 담긴 관념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시지각적 세계를 구축하였으며 풍경화를 본다는 것은 작가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그 속에 담겨있는 서사를 공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에게 자연은 미지의 상태에서 오는 호기심의 대상이자 동시에 안식을 주는 쉼의 공간이다. 자연과 풍경에 대한 이러한 감정을 다양한 회화적 표현방법과 조형성의 확장을 통해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역사 속 풍경화를 통해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고 이상을 투영시켜 온 과정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연구를 통해 풍경화 속 공간을 창출하는 것에 대한 분석과 원리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선행연구로서 서양의 미술사에서 풍경화의 전개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풍경화에 대한 근원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윌리엄 터너, 클로드 모네, 그리고 데이비드 호크니의 풍경화 창작이론과 회화적 방법론을 분석하여 그들의 풍경화 속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연구하였고, 본 연구자의 작품을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었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풍경화를 그리게 된 동기와 지향점을 기술하였고, 색채, 추상성, 그리고 공간으로 구분한 세 가지 작품적 특성을 형식적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위의 연구를 토대로 세 가지의 명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첫째, 색채가 가진 상징성으로 초록이라는 색채가 주는 자연모사능력과 생명성은 계절이나 시간과 관계없이 유효하다는 것이다. 이는 불변하는 개념이며 일반적으로도 널리 이해되고 있는 색채가 가진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붓터치와 색채는 가시적인 대상을 묘사하는 것이 아닌 경우, 그 자체로 모호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정의되지 않는 것에 대한 상상력을 유발하고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는 점이다. 이는 추상화가 전제하고 있는 개념이기도 하며 이를 통해 사고가 확장되는 이점을 깨달았다.
셋째, 재현과 비재현이 혼합된 공간은 관찰자의 경험과 감정을 전달한다는 것이다. 특정 장소의 풍경을 묘사한 그림은 그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그 장소성에 내포되어 있는 공유된 기억을 환기하는데 그치지만, 혼용된 언어로 표현된 공간에서는 객관적 진실과 주관적 감정이 공존하며 관찰자의 경험에 한층 더 가까운 공간의 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풍경화의 이론적 연구와 창작을 지속적으로 진행한다면 화면에서의 공간 창출의 가능성이 확장될 것이다.
Painting has continued its history by changing its rol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among those various eras, landscape painting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pace of nostalgia, or an imaginary space with a utopia of aspirations since the Renaissance. In contemporary art, landscape painting has built a visual and perceptual world that represents the artist's thoughts, experiences, and mind. Thus, landscape painting shares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 and a story in it.
For me, nature is an interesting subject from the unknown and a space that offers one a rest at the same time. I have been working in landscape painting using both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to convey these emotions about nature and landscape.
This thesis is on the purpose to research the process that landscape painting has evolved in history and to study the theoretical basis for creating a space in landscape painting through analysing artists’ works. Therefore, I could illuminate my works in comparison with other artists.
First, the development process of landscape painting,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genre in art history since the Renaissance, is reviewed in general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meaning of landscape painting. Then, I analyzed the theoretical methodology in creating a space of the artists, William Turner, Claude Monet and David Hockney. Next, I divided my work in two; content and formal aspects.
In terms of content, I wrote the motivation and my goal of painting, and in terms of formality, I divided my artistic characteristics into color, abstraction and space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above study, three understa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vitality of the color green is always valid regardless of the season or time. This is an unchanging concept and widely understood in general with a symbolic meaning in it.
Second, the brush strokes and colors that do not depict a visible object contain ambiguity in themselves, provoking the imagination of the undefined and leaving a space for interpretation. This is also a basic concept that abstraction presupposes, and I realized the advantage of expanding the boundary of my thinking through this.
Third, a space where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are mixed conveys the experience and emotions of the observer. A painting depicting the landscape of a specific place conveys information about the place and evokes the shared memories contained in that place. On the other hand, in a space painted in various expressions, personal experience and emotions can coexist in an observer’s mind. Thus,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in painting that is closer to the experience of the observer.
As such, if I continue painting and doing theoretical research on this topic, I could expand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a space in landscape painting.
Author(s)
임영실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512
Alternative Author(s)
Lim, Young Si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박성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풍경화의 의미와 공간표현 3
1. 발생과 전개 3
2. 근대 이후 풍경화의 흐름 10
3. 풍경화 속 공간의 분석 13
1) 감각의 공간 13
2) 공간의 해체와 확장 17
3) 재현과 비재현이 혼합된 공간22

Ⅲ.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 32
1. 내용적 분석 32
2. 형식적 분석 34

Ⅳ. 결론 4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