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불안, 간호일터영성, 임종간호 중요도와 수행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hip Among Death Anxiety,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Terminal Care Importanc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불안, 간호일터영성, 임종간호 중요도, 임종간호 수행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임종간호 수행을 강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J 지역, B지역, G 요양병원 중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 판정은 받고, 100병상 이상 요양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7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자가 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로 죽음불안은 신경일과 김두길(2018)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간호일터영성은 석정원(2015)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간호일터영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임종간호 중요도와 수행도는 박순주와 최순희(1996)가 개발하고 정상이(2013)가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Chronbach's Alpha, 서술적 통계분석과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구하고, 임종간호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IPA방법을 활용하였으며,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5점 만점에 평균 2.57±0.77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자기 자신의 죽음에 관련된 불안 영역이 평균 2.85±0.9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과 사후 심판에 대한 불안 영역이 평균 2.02±0.82점으로 가장 낮았다. 간호일터영성은 7점 만점에 평균 5.04±0.74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동료와의 연결 영역이 평균 5.52±1.2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환경과의 상호작용 영역이 평균 4.09±1.15점으로 가장 낮았다. 임종간호 중요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59±0.33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신체적 영역이 평균 3.79±0.28점, 심리적 영역이 3.64±0.36점, 영적 영역이 3.34±0.55점 순이었다. 임종간호 수행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07±0.45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는 신체적 영역이 3.36±0.46점, 심리적 영역이 3.29±0.44점, 영적 영역이 2.57±0.76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총 임상근무 경력(F=2.825, p=.02)이었다. scheffe's test 결과 총 임상근무경력이 25년이상군이 20년에서 25년미만군보다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도는 간호일터영성(r=.27, p<.001), 임종간호 중요도와(r=.50, p<.001)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임종간호 수행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Ⅰ사분면에 신체적 영역과 심리적 영역이 해당되었으며, Ⅲ 사분면 영적 영역이 해당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임종간호 수행도의 관련 요인으로 임종간호 중요도(β=.46, p<.001), 간호일터영성(β=.14, p=.03)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1.2%이었다.
Basic data is needed to strengthen the study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this study aims to produce that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Death Anxiety,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the Importance placed on Terminal Care, and the Performance of nurses in these situations.
The study is qualitative in nature as it uses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with data collected from July 1st to September 15th, 2021. The method was via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100 beds, after receiving a first-class evaluation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mong J, B, and G regio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variable of Death Anxiety was measured using the work of Shin Kyung-il and Kim Doo-gil (2018),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s developed by Seok Jeong-won (2015), and the variable of Terminal Car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developed by Park Soon-joo and Choi Soon-hee (1996),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Jeong-sang-i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for Ch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cheffe's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IP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five major findings.

1. In the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the subjects scored a mean of 2.57±0.77 points on Death Anxiety, mean of 5.04±0.74 points on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mean of 3.59±0.33 points on Terminal Care Importance, and mean 3.07±0.45 point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2. The variable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inal Car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total clinical career (F=2.825, p=.02). In the Scheffe's test, the group with more than 25 years of total clinical career showed higher Terminal Care Performance than those with less than 25 years.

3.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r=.27, p<.001) and Terminal Care Importance (r=.50, p<.001).

4.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rea corresponded to Quadrant I, and the spiritual area corresponded to Quadrant III.

5.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were Terminal Care Importance(β=.46, p<.001) and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β=.14, p=.03), whil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31.2%.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factors affect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ere identified as Terminal Care Importance and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to increase the Importance of Terminal Care and to seek strategies to increase levels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uthor(s)
김미혜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518
Alternative Author(s)
Kim, Mi 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현미열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7
1. 죽음불안 7
2. 간호일터영성 11
3. 임종간호 수행 14
4. 임종간호 중요도와 수행도 IPA분석 17
Ⅲ. 연구 방법 20
1. 연구 설계 20
2. 연구 대상 20
3. 연구 도구 21
4. 자료수집 방법 23
5. 자료분석 방법 24
6. 윤리적 고려 25
Ⅳ. 연구 결과 2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2. 죽음불안, 간호일터영성, 임종간호 중요도, 임종간호 수행도 정도 29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도 31
4. 죽음불안, 간호일터영성, 임종간호 중요도, 임종간호 수행도의 상관관계 34
5. 임종간호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 35
6. 임종간호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37
Ⅴ. 논의 39
Ⅵ. 결론 및 제언 47
1. 결론 47
2. 제언 49
참고문헌 50
Abstract 61
부 록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