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 관련 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of Home Visiting Nurse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방문간호 직무 지식과 임상적 추론 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적 추론 역량 관련 요인을 확인하여 향후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5점 만점에 평균 3.41±0.43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지적통합이 평균 3.70±0.5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전성이 2.88±0.78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은 평균 5점 만점에 3.56±0.42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실행이 3.76±0.55점으로 가장 높았고, 임파워먼트가 2.97±4.89점으로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방문간호 직무 지식은 5점 만점에 3.46±0.41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검사업무, 피부간호가 각각 3.56±0.61점, 3.56±0.5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카테터 관리가 3.29±0.64점으로 가장 낮았다.

4) 대상자의 임상적 추론 역량은 75점 만점에 55.42±6.63점으로 나타났다.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나는 대상자 정보 수집을 통해 대상자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로 3.98±0.89점으로 가장 높았고, ‘나는 대상자 상태가 악화될 때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가 3.56±0.9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임상적 추론 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연령(F=10.744, p=<.001), 성별(t=-3.940, p=.006), 종교(t=-5.107, p=<.001), 최종학력(F= 7.351, p=.001), 방문간호 경력을 제외한 임상경력(F= 13.232, p=<.001), 방문간호 경력(F=7.744, p=<.001), 직위(t=4.887, p=<.001), 월평균급여(F=7.417 p=<.001), 고용상태(t=-3.525, p=.001), 이전 근무기관 유형 중 상급종합병원(t=3.572, p=<.001), 종합병원(t=3.338, p=.001) 병원(t=-3.702, p=<.001), 보건소ㆍ보건지소ㆍ보건진료소(t=2.834, p=.005), 기타기관(t=2.772, p=.006), 전문간호사 자격증 유무(t=-4.398, p=<.001)에 따른 임상적 추론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cheffé 사후 검정에서 연령은 40대와 50대 이상이 30대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최종학력은 석사 이상인 경우가 학사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방문간호 경력을 제외한 임상경력은 10년 이상 15년 미만, 20년 이상의 집단이 5년 미만과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집단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방문간호 경력은 10년 이상의 집단이 3년 미만, 5년 미만, 10년 미만의 집단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월평균급여는 100만원 이하,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집단이 300만원 이상의 집단보다 임상적 추론 역량이 높았다.

6) 대상자의 임상적 추론 역량은 비판적 사고 성향(r=.691, p<.001), 전문직 자율성(r=.770, p<.001), 방문간호 직무 지식(r=.55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임상적 추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전문직 자율성(β=.494 p=<.001), 비판적 사고성향(β=.176, p=.026), 방문간호 직무 지식(β=.157, p=.030)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약 66.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을 향상을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이고 전문직 자율성을 강화하고, 방문간호 직무 지식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전문직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개선과 함께 방문간호사들의 직무 지식과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임상적 추론 역량 향상과 함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autonomy,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nd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mong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 to September 22, 2021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200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è’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scored a mean of 3.41±0.43 point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3.56±0.42 points in professional autonomy, 3.46±0.41 points in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nd 55.42±6.63 points in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2. The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ge (F=10.744, p=<.001), gender (t=-3.940, p=.006), religion (t= -5.107, p=<.001), educational level (F=7.351, p=<.001), length of clinical career (F=13.232, p=<.001), length of home visiting nursing career (F=7.744 p=<.001), position (t=4.887, p=<.001), average monthly salary (F=7.417 p=<.001), employment status (t=-3.525, p=.001), tertiary hospital (t=3.572, p<.001), general hospital of previous working institutions (t=3.338, p=.001), hospital (t=-3.702, p<.001), public health center of previous working institutions (t=2.834, p=.005), others among type of previous working institutions (t=2.772, p=.006), and certified advanced practice nurses (t=-4.398, p<.001). Using Scheffè’s test,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with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than in the group with participants in their 30s. Participants that had received education higher than masters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than that of participants with diplomas and bachelors. Groups with more than 10 years, less than 15 years, and more than 2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had a higher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than that of groups with less than 5 years,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home visiting nursing than in groups with less than 3, 5, and 10 years of experience.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an average monthly salary of more than three million won, the groups with an average monthly salary one million won, more than one million won, and less than two million won had higher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3.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691, p<.001), professional autonomy (r=.770, p<.001), and knowledge of home visiting nursing work (r=.552, p<.001).

4.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of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were identified as professional autonomy (β=.494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176, p=.026), and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β=.157, p=.030).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66.5%.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autonomy, and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of home visiting nurs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refore, improv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ngthening professional autonomy, and increasing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home visiting nursing work are key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uthor(s)
임유미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519
Alternative Author(s)
Lim, Yu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최수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 고찰 9
1.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9
2. 비판적 사고성향 13
3. 전문직 자율성 16
4. 방문간호 직무 지식 18
5. 임상적 추론 역량 20
Ⅲ. 연구 방법 23
1. 연구 설계 23
2. 연구 대상 23
3. 연구 도구 24
4. 자료수집 방법 28
5. 자료분석 방법 29
6. 윤리적 고려 30
Ⅳ. 연구결과 31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1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방문간호 직무 지식과 임상적 추론
역량 35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임상적 추론 역량 차이 44
4.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방문간호 직무 지식과 임상적 추론 역량 간의
상관관계 48
5. 임상적 추론 역량 관련 요인 50
Ⅴ. 논의 54
1.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율성, 방문간호
직무 지식과 임상적 추론 역량 54
2. 대상자 특성에 따른 임상적 추론 역량 61
3. 임상적 추론 역량 관련 요인 66
Ⅵ. 결론 및 제언 72
1. 결론 72
2. 제언 75
참고문헌 76
Abstract 88
부 록 9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