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濟州土壤資源의 彩畫可能性과 유닛의 構造를 活用한 經驗記錄의 適用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xperiential Records Utilizing the Painting possibility and Unit Structure of Jeju soil resource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토양자원을 안료화(pigmentization)하여 유닛(unit)의 구조를 활용한 도예작업에 경험기록(經驗記錄)을 적용해봄으로써 제주토양자원의 채화가능성과 도자문양표현의 다양성을 모색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의 토양자원은 크게 화산회토, 비화산회토, 스코리아, 화산석으로 이루어져있다. 각 자원들은 채취되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색을 띄는데, 이는 자원별로 생성시기가 달라 철분 함유량과 구성성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의 토양자원을 안료화(pigmentization)하여 도예작업에 활용한다면, 지역 색이 담긴 새로운 도자문양표현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더하여 경험을 통해 형성된 개인의 고유한 감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험기록(經驗記錄)을 활용하였다. 비가시(非可視)적인 경험을 가시(可視)적으로 만들어 시각적 표현 주제로서 도예작업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다.
제주토양자원을 안료로써 활용하려는 새로운 시도와 함께 경험기록(經驗記錄)을 실제 도예작업에 적용함으로써, 제주토양자원의 채화가능성을 바탕으로 한 도자문양표현의 다양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이론적 고찰과 실질적 연구인 제주토양자원의 안료화(pigmentization) 및 발색실험, 채화가능성 실험, 경험기록(經驗記錄)의 이미지화를 통한 적용 연구로 나누었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의 형성과정에 따른 제주토양자원의 특징을 이해하고, 유닛(unit)의 개념과 구조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경험과 기록의 이해를 바탕으로 경험기록(經驗記錄)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둘째, 고찰을 바탕으로 채취한 지역별 제주토양자원을 안료화(pigmentization)하여 발색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도예작업에서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셋째, 다양한 채화기법 중 직접 그려 표현하는 방식과 직접전사방식을 활용하여 제주토양자원안료의 채화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넷째, 경험기록(經驗記錄)을 실제 도예작업에 시각적 표현 주제로써 활용 가능하도록 이미지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채화가능성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기록(經驗記錄)을 유닛(unit)구조의 도예작업에 적용시켰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제주토양자원안료가 채화재료로써 입체가 주를 이루는 도예작업에서 표현이 가능한 지, 기록자의 고유한 감정과 정서 표현이 경험기록(經驗記錄)을 통해 실제 도예작업에 적용이 가능한 지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제주토양자원과 경험기록(經驗記錄)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도자문양표현의 다양성과, 유닛(unit)의 구조를 활용한 도예작품에 사용자가 작품의 주체로써 참여하여 능동적 행위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and present the diversity of ceramic pattern expression and the painting possi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by pigmentizing Jeju soil resources and then applying the experiential records to the ceramic work utilizing the unit structure.
The soil resources of Jeju are largely composed of volcanic ash soil, non-volcanic ash soil, scoria, and volcanic stone. Each resource shows the different color to each other in each region of collection because each resource has the different period of formation, so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iron and components. If this soil resource with this characteristics can be pigmentized and then applied to ceramic work,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a new ceramic pattern expression showing the regional character.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d the experiential records that would prevent the deformation of personal unique sensibility formed by experiences. It aims to change an invisible experience into a visible visual expression theme, and then to apply it to ceramic work.
By newly attempting to utilize Jeju soil resources as a pigment, and also applying the experiential records to the actual ceramic work,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diversity of ceramic pattern expression based on the painting possi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The research was largely divided into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study as an actual study through the pigmentization & color-development experiment of Jeju soil resources, painting possibility experiment, and imagification of experiential records.
The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oil resources according to the formation process of Jeju, and considered the concep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nit. Moreov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xperience and records, the concept of experiential records was defined.
Second, this study conducted a color-development experiment by pigmentizing Jeju soil resources collected in each region based on the consideration, and then sought for the applicability to ceramic work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sults.
Third, this study sought for the painting possibility of the pigment made of Jeju soil resources by utilizing the method of directly drawing to express and direct transcription method among various painting techniques.
Fourth,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imagification for applying the experiential records as a visual expression theme to the actual ceramic work.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painting possibility, the experiential records were applied to the ceramic work of unit structure. In the research process, this study focused on if the pigment of Jeju soil resources could be expressed as a material of painting in the ceramic work mainly filled with solid structure, and if the recorders’ expression of emotions and affect c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ceramic work through experiential records.
Thus, this study sought for and presented the applica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and experiential records. Also,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in which the users could achieve their proactive act by participating as a subject of work in ceramic works utilizing the diversity of ceramic pattern expression and unit structure.
Author(s)
이혜지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562
Alternative Author(s)
Lee, Hye J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오창윤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 2
II. 이론적 고찰 4
1. 제주토양자원의 이해 4
1) 제주의 형성과정 4
2) 제주토양자원의 특징 5
2. 유닛(unit) 구조의 이해 6
1) 유닛(unit)의 개념과 특징 6
2) 유닛(unit) 구조의 특징 7
3. 경험기록(經驗記錄)의 이해 10
1) 경험과 기록의 개념 10
2) 경험기록(經驗記錄)의 개념 11
III. 제주토양자원의 채화가능성 연구
1. 제주토양자원의 안료화(pigmentization)와 발색실험 12
1) 제주토양자원의 채취 및 안료화(pigmentization) 12
2) 제주토양자원안료 발색실험 14
3) 결과분석 15
2. 제주토양자원의 채화가능성 실험 17
1) 제주토양자원안료와 채화기법 활용실험 17
2) 결과분석 22
IV. 경험기록(經驗記錄)의 적용연구 25
1. 경험기록(經驗記錄)의 이미지화 25
2. 경험기록(經驗記錄)의 적용연구 31
1) 시작품 제작과정 31
2) 시작품 설명 34
V. 결론 48
VI. 참고문헌 5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Industrial Desig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