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내러티브치료 기반 자기조절전략개발(SRSD-NT) 훈련이 쓰기부진아의 쓰기 역량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raining in Self-Regulation Strategy Development Based on Narrative Therapy (SRSD-NT) on Writing-Underachieved Children’s Writing Capacities and Their Quality of Lif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therapy-based self-regulation strategy development (SRSD-NT) to examine the effect of training on the writing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writing disabilities. The questions that the researcher wants to specifically explore are as follows.

First. Does SRSD-NT training have a positive and lasting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of writing-underachieved children’s?
Second. Does SRSD-NT training have a positive and lasting effect on the change in writing efficacy of writing-underachieved children’s?
Third. Does SRSD-NT training have a positive and lasting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writing-underachieved childre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in grades 5 and 6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wntown J. These children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writing. They were recommended by their homeroom teacher and obtained parental consent. They were selected through a series of screening tests. Of the 1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6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6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6 to the control group. Sessions with participants were conducted 80 minutes, on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RSD-NT training,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standard SRSD training, and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the level of improvement in writ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pre-, post-, and delay period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SPS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The writing results and activity sheets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organized in the order of transcription work, coding, and topic generation,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RSD-NT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quantitative level of writ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writing,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the total number of sentences, and the total number of words were all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SRSD-NT training,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sentences and words were all generally improved later than in the beginning of training.
First, as the length of the texts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increased, confirming the fluency of writing. The length of the writ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gradua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text produced increased, and the use of words or sentences became easier.
Second, the use of complex sentences increased, away from simple sentences or enumerations of the initial subject predicates. As writing developed, the number of sentences in the complex sentences improved and the number of phrases also increased.
Third, as the length of the text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words also increased. Sinc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ds does not indicate the diversity of vocabulary, steady reading and various experiences will follow.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RSD-NT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quality of writ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quality of writing, the level of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of the writing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SRSD-NT training, the level of writing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was generally improved in the later stages than in the early stages of the training.
First, the content of the text was enriched by forming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text and using a strategy to generate ideas. It seems that they created a rich content by talking to the other members about sufficient content knowledge of the task, generating ideas, finding unique results in their own narrative, and discovering hidden moments.
Second, the text structure was consistent with the natural flow of text, and the main and branch sentences supporting it appeared.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ganizational functions are somewhat slower to develop than other functions, but they can be improved if systematic guidance is followed.
Third, the number of expressions expressing thoughts and feelings and creative expressions expressing themes increased. In particula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expression than the comparison and control groups.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through externalizing one's own narrative, one can learn about the influence of the problem and the areas where it does not have influence, and if one understands these effects and consequences, it is possible to describe the various emotions felt in lif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RSD-NT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level of writing 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RSD-NT training changed writing efficacy, reduced writing anxiety and fear, and instilled a belief that writing could be fun and good.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mo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This supports that SRSD-NT training is more effective for quality of life than standard SRSD training.
First, the self-esteem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As they found a side of themselves that they had never been able to find before, their positive self-esteem grew even more. This is further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self-assessment tha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By gradually instilling a positive self-image in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y made them judge their expected self-evaluation favorably. Therefore, SRSD-NT training can contribute to growth as a writing subject and is excellent in writing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mproved writing ability, writing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by conducting narrative therapy-based self-regulation strategy development (SRSD-NT) training that was different from existing writing research. Therefore, SRSD-NT training can be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to improve writing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within the same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a positive approach, such as narrative therapy, to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that would pursue both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치료기반 자기조절전략개발(Self-Regulation Strategy Development-Narrative Therapy: SRSD-NT) 훈련이 쓰기부진아의 쓰기 역량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구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SRSD-NT 훈련은 쓰기부진아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SRSD-NT 훈련은 쓰기부진아의 쓰기 효능감 변화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SRSD-NT 훈련은 쓰기부진아의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J시 소재 D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이다. 연구자는 해당학급 담임교사에게 쓰기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을 추천받아 학부모의 동의를 얻은 후 일련의 선별검사를 통해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생은 5학년 13명과 6학년 5명으로 모두 18명(남 9명, 여 9명)이며,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6명씩 무선 배치되었다. 이들은 사전검사로 쓰기 역량과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일련의 검사를 수행하였고,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배치된 아동을 대상으로 주 1회 80분씩 모두 10회기 동안 각각의 훈련을 처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SRSD-NT 훈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표준 SRSD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아동에게는 아무런 처지도 제공하지 않았다.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훈련 종료 직후와 6주 후에 쓰기 역량과 삶의 질에 관련된 측정이 이루어졌다. 쓰기 역량의 측정 도구로는 쓰기 능력 검사와 쓰기 효능감 척도가 사용되었고, 삶의 질에 관한 측정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주관적 안녕감 척도가 사용되었다. 쓰기 능력 검사 결과에 대해서는 쓰기의 양과 쓰기의 질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고, 나머지 척도에 대해서도 채점이 이루어졌다.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이 병행되었다. 양적 분석에서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 21.0을 이용하여 쓰기의 양과 질, 쓰기 효능감,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에 대해 집단별*시기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참여자가 작성한 쓰기 결과물과 활동지를 수집하여 전사 작업, 코딩, 주제 생성 순으로 정리하고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RSD-NT 훈련은 쓰기부진아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쓰기의 양과 질은 SRSD-NT 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과 표준 SRSD 훈련에 참여한 비교집단 아동이 통제집단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훈련 종료 직후에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물론이고 6주 후에 실시한 지연검사에서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쓰기의 양을 측정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과 비교집단 아동은 전체 음절 수, 전체 문장 수, 전체 단어 수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 아동은 변화가 없었다. SRSD-NT 훈련을 통하여 전체 음절 수, 전체 문장 수, 전체 단어 수는 전반적으로 훈련 초기보다 후기에 발전된 양상을 보였다. 첫째, 글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전체 음절 수가 늘어나 쓰기의 유창성이 확인되었다. 실험집단의 쓰기는 산출한 글의 분량이 증가하고 단어나 문장의 사용이 용이해지면서 점점 그 길이가 증가하였다. 둘째, 초기 주어 서술어의 단순문장이나 나열식 쓰기에서 벗어나 복잡한 문장 사용이 증가되었다. 쓰기가 발달될수록 복문형태의 문장수가 향상되고 구문절의 증가를 보였다. 끝으로, 글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단어 수도 증가하였다. 단어 수의 증가가 어휘의 다양성을 말하지 않으므로 꾸준한 책읽기와 다양한 경험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쓰기의 질을 측정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과 비교집단 아동은 글의 내용, 조직, 표현의 수준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 아동은 변화가 없었다. SRSD-NT 훈련과 표준 SRSD 훈련을 통하여 글의 내용, 조직, 표현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훈련 초기보다 후기에 발전된 양상을 보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아동들은 다음과 같은 쓰기의 질에 대한 특성을 나타냈다. 첫째, 글의 내용이 풍부해졌다. 쓰기의 배경지식을 형성하고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전략사용이 증가하였다. 과제가 의미하는 충분한 내용지식을 구성원들과 이야기하며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자신의 내러티브 안의 독특한 결과를 찾아 숨겨져 있는 순간을 발견함으로써 풍성한 내용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글의 조직이 구성되었다. 일관성 있는 문장과 자연스런 글의 흐름이 이어졌으며 중심 문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가지 문장들이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조직 기능은 전반적으로 다른 기능에 비해 다소 발달이 느리지만 체계적인 지도가 뒤따르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생각과 느낌을 나타내는 표현과 주제를 나타내는 창의적 표현이 증가하였다. 특히 실험집단은 표현의 수준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신의 내러티브를 외재화하는 작업이 문제의 영향력과 또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영역을 스스로 알게 하고 이런 효과와 결과를 이해하게 되면 삶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기술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SRSD-NT 훈련은 쓰기부진아의 쓰기 효능감 변화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쓰기 효능감은 SRSD-NT 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과 표준 SRSD 훈련에 참여한 비교집단 아동이 통제집단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이 결과는 훈련 종료 직후에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물론이고 6주 후에 실시한 지연검사에서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RSD-NT 훈련과 표준 SRSD 훈련이 쓰기부진아에게 쓰기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잘 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SRSD-NT 훈련은 쓰기부진아의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삶의 질은 SRSD-NT 훈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 아동은 물론 비교집단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이 결과는 훈련 종료 직후에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물론이고 6주 후에 실시한 지연검사에서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RSD-NT 훈련이 표준 SRSD 훈련보다 쓰기부진아의 삶의 질 개선에 더 효과적임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SRSD-NT 훈련 효과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통제집단 아동이나 비교집단 아동보다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SRSD-NT 훈련은 실험집단 쓰기부진아에게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을 발견하도록 안내하면서 자아존중감을 한층 더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둘째, 실험집단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통제집단 아동이나 비교집단 아동보다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SRSD-NT 훈련이 쓰기부진아에게 점차 긍정적인 자아상을 심어주면서 자신을 호의적으로 평가하게 한 것이다.

요컨대, 이 연구는 SRSD-NT 훈련이 쓰기부진아의 쓰기 역량을 개발하는 데 표준 SRSD 훈련만큼 효과적이며, 쓰기부진아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에는 표준 SRSD 훈련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혀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최근에 개발된 자기조절전략개발 모형에 내러티브치료를 접목하여 전통적인 쓰기 지도와는 차별화된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쓰기부진아의 쓰기 역량과 삶의 질을 동시에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SRSD-NT 훈련은 동일 기간 내에 표준 SRSD 훈련만큼 쓰기의 질과 양 그리고 쓰기 효능감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자기존중감, 주관적 안념감 같은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표준 SRSD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쓰기 교육에서 내러티브치료 같은 치료적 모형을 접목하여 교과 학습과 정의적 학습을 동시에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uthor(s)
고영실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606
Alternative Author(s)
Ko, Young Si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7
가. 쓰기부진아 8
나. 쓰기 역량 8
다. 삶의 질 9
라. 내러티브치료 기반 자기조절전략개발(SRSD-NT) 10
Ⅱ. 이론적 배경 12
1. 쓰기부진 12
가. 쓰기부진의 정의 12
나. 쓰기부진의 원인과 진단 14
2. 쓰기부진아 특성과 쓰기 역량 및 삶의 질 18
가. 쓰기부진아의 특성 18
나. 쓰기 역량 21
다. 삶의 질 27
3. 쓰기 지도 모형과 자기조절전략개발(SRSD) 31
가. 전통적 쓰기 지도 31
나. 인지적 과정 모형에 기초한 쓰기 지도 34
다. SRSD 모형에 기초한 쓰기 지도 40
4. 쓰기의 치료적 기능과 내러티브치료 48
가. 쓰기의 치료적 기능 48
나. 내러티브치료 49
Ⅲ. 연구가설 57
Ⅳ. 연구방법 58
1. 연구설계 58
2. 참여자 선발 및 배치 58
가. 참여자 선발 58
나. 참여자 배치 59
3. 측정도구 60
가. 선별검사 60
나. 본 검사 61
4. 연구의 절차 및 단계 66
5. SRSD-NT 훈련 및 표준 SRSD 훈련의 구성 및 절차 67
가. 프로그램의 개념 모형 및 구성 원리 67
나.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 및 진행 절차 72
6. 자료 분석 76
가. 양적 분석 76
나. 질적 분석 77
Ⅴ. 연구결과 79
1. 양적 분석 79
가. 쓰기 역량에 미치는 영향 79
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92
2. 질적 분석 95
가. 질적연구방법을 통한 분석 96
나. 내용분석 100
Ⅵ. 논의 및 결론 111
1. 논의 111
가. SRSD-NT 훈련과 쓰기 역량 111
나. SRSD-NT 훈련과 삶의 질 117
2. 결론 및 제언 119
가. 결론 119
나. 제언 122
참고문헌 124
Abstract 151
부록1 156
부록2 163
부록3 17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