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서 디자인 영역분석 및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and Research on Design Area in Middle · High school Art Textbook
Abstract
A concept of design has continuously changed each era, especially its role and range have rapidly expanded. Contrary to the past, which was limited in a matter of decoration such as designing product outlook, these days, it is no more an option, but became necessary area, in that, first, it has expanded following advancement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changing industry, and second, it is able to creatively solve and improve life problems. Our 21 century era is causing a life environment to drastically change much faster than our expectation. In our future life environment, speeding up itself, more diversely and complicatedly, the role and implement of any business related to design area, which is related to visual function and expression, will be highly socially emphasized. In this sense, more democratic citizens are paying attention to design with increased their expectations, than ever, more specifically, which is real-life design rather than vocational design.
Following this trend, design area in middle · high school art textbook needs to b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hierarchy to have a well connected structure. Not only subjects such as Korean, Math, English, but also Art subject needs to be organized or constructed with more advanced activities or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students' competency each grad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irs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education and second, to identify the reality and problems of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connection between activity learning of each middle · high schools and how design area was organized in 2015 revised edition of art textbook.
In part Ⅰ, I first reviewed the need and contents of this research, and in part Ⅱ, I explored the goal and meaning of design education, and the design area and its characteristics, and I also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design education among 2015 revi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suggested contents. In part Ⅲ, I compared and analyzed design area between each publishing house’s art text books focusing on their organization, then again, I analyzed activity learning between each middle · high schools focusing on whether they have well connected structures. Last, In part Ⅳ, I derived a conclus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method as abov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made after conducting comparison and analysis method to 12 middle · high school art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15 and all are publicly verified.
First, design area in middle · high school art textbook needs to b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hierarchy to have a connected structure.
Second, after comparison and analysis on design area's contents in middle · high school art textbook, I found that each themes or issues of design area should be appropriately disposed considering their whole connected structure.
Third, equipment and materials should be supplemented and also an art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enhanced to get more qualified class about design area than past for a middle · high school art class site.
However, I found that this research also had a limitation in that it only can plays the role of data research, since it was conducted only focusing on using comparison · analysis method on connection between each middle · high schools.
As a result, I hope other qualitative researches will follow more focusing on analysis of its contents to progress design education as to be more rich and useful.| 디자인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오며 범위와 역할이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과거에는 제품의 외관을 디자인하는 장식적인 것에 한정되어 있었다면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 변화에 따라 확장되고, 삶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 영역으로 바뀌고 있다. 21세기 시대는 우리가 현재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의 빠른 속도로 생활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더욱 다양하고 복잡하게 급변할 미래의 생활환경 속에서 시각적 기능 및 표현에 관련된 디자인 사업 분야의 역할과 과제가 사회 전반으로 두드러지어 매우 중요할 것이며, 직업으로의 디자인이 아닌 생활환경 속에 스며든 디자인으로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대가 주목받고 높아지고 있다.
이에 맞춰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디자인영역이 계열성에 맞게 조직되어 연계성을 가져야 한다. 국어, 수학, 영어와 같은 과목들뿐만 아니라 미술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수행 능력에 따라 심화한 활동과 내용으로 조직 ·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미술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2015 개정 미술 교과서 디자인영역의 구성과 중·고등학교 간의 활동학습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디자인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제Ⅱ장에서는 디자인교육의 의의 및 목적과 디자인 영역 및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이 제시한 내용 중 디자인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미술 교과서 디자인 영역을 출판사별로 구성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중·고등학교 간의 연계성 측면에서 활동 학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제Ⅳ에서는 비교·분석을 통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2015 개정 중·고등학교 인정 미술교과서 12권의 디자인 영역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디자인영역이 계열성에 맞게 조직되어 연계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영역 내용을 비교분석 한 결과, 디자인영역 각 분야의 적절한 안배가 필요하다.
셋째, 중·고등학교 미술 수업 현장에 디자인영역 수업을 제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기자재 확충 및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다만, 구성과 중·고등학교 간의 연계성의 비교·분석 중심으로 이루어져 데이터 연구로서 역할에 머물러 한계점이 보인다. 후속연구로 내용면의 분석이 이루어져 개선할 수 있는 확장된 디자인교육이 발전되길 바란다.
Author(s)
좌혜원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648
Alternative Author(s)
Jwa, Hae W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Advisor
이창희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2
2. 이론적 배경 3
2.1 디자인 교육의 의의 및 목적 3
2.2 디자인 영역 및 특성 5
2.3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교육의 이해 12
3. 중고등 미술 교과서 디자인 영역 비교 분석 21
3.1 교과서 선정 및 분석 기준 21
3.2 출판사별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 디자인영역 구성 분석 22
3.3 중고등학교 간의 연계성 측면의 분석 _프로젝트 학습과 학습 활동 중심으로 53
4. 결론 66
참고 문헌 68
ABSTRACT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