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VCAE) 프로그램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VCAE) Program Using Music Video:Focusing on First Year Students in High School
Abstract
우리의 일상생활은 수많은 시각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다. 우리는 그 속에서 세상과 소통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렇게 현대인의 의사소통은 문자를 중심으로 한 사고와 소통으로부터, 이미지적 사고와 소통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시각 이미지는 다양한 문장들의 의미를 단 하나의 함축적인 이미지로 담아낼 수 있다. 그래서 시각 이미지는 보는 이에 따라 다의적이고 주관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개념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불확실성을 갖는다.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이 교육에 요구되어 시각문화 미술교육(VCAE)이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따라 회화, 조각, 판화 등의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범위를 확장하여, 대중매체인 뮤직비디오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자 했다.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시각 이미지와 상징 기호들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이에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통해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시각문화 미술 수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 수업의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계획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제주에 소재한 고등학교 4학급(114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본시 수업은 수업 전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 계획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주제는‘노래 가사의 한 부분을 재구성하여 뮤직비디오 장면 제작하기’이다. 수업 구성은 총 2차시로, 시각 이미지에 관한 이론 수업을 먼저 진행한 후, 노래 가사의 한 소절을 뮤직비디오의 한 장면처럼 시각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연구에 관한 결과는 수업 진행 후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수업의 효과 및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속 쉽게 접할 수 있는 시각문화를 이용하여 시각문화의 대상들을 일상의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를 함양시켰다. 둘째, 시각문화에 대한 개념 이해를 높였다. 셋째, 전통적인 개념에서의 미술 수업에 익숙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작품 제작 활동을 진행하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흥미를 증가시켰다. 넷째, 작품 표현 활동 시 개인의 실기 능력과 상관없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진행하여 창의적 결과물들을 제작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의 작품을 취합하여, 다 함께 직접 제작한 작품들을 감상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관점을 심어주었다. 마지막으로 완성도보다 다양성에 초점을 두어 뮤직비디오 수업이 상대주의와 다양성의 인정 등의 인본주의 철학에 바탕을 둔 포스트모더니즘 교육방식의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시각문화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늘고 있지만 다양하게 시도되지는 못하고 있다. 시각문화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알리고 올바른 이해를 확산시키고자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교수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구체적인 수업 방안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Our daily life is filled with a lot of visual images. We live in it, communicating with it. Modern people’s communication has shifted from text-centered thought and communication to imaginary thought and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put meanings in a single implicit visual image. The visual image is, therefore, can be interpreted as polysemous and subjective one from each perspective. VCAE(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ppears, as the education is required to foster the capability to rightly understand and accept it.
This study attempted to invok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through music videos, mass media, by extending the scope of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cluding paintings, sculptures, woodcut prints, etc. Then, it expressed the messages to be communicated by using visual images and symbolic sings, and therefore, considered how to develop the visual culture art class for self-reflection through right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t specifically plans the visual culture art class using music videos and applied it to the first-year students in a high school. The class plan was developed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four classrooms (n=114) in a high school located at Jeju, before the original class. The theme of the class was ‘Producing Music Video Scenes by Reorganizing a Part of Song Words’The class consisted of two sessions: the class about theories of visual images was initially developed and then, a verse of song words was visualized as a scene of a music video.
It analyzed the effects and improvements of the class based on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students after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sing music videos are as follows: First, it fostered the creative thought with which it is possible to view objects of the visual culture from a new perspective by using the visual culture which can be easily contacted in daily life. Second, it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culture. Third, it increase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the visual culture, by allowing them to produce a new level of products, who are accustomed to the art class with the traditional concept. Fourth, it was possible to produce created outcomes, by allowing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ideas, regardless of their individual performance skills, in expressing works. Fifth, it imbued perspectives for self-reflection into students in the process in which all of them appreciated works directly produced by them, after collecting their works. Finally, it could be found that the music video class can be the post-modernist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humanistic philosophy including the recognition of relativeness and diversity, by focusing on the diversity rather than completion.
Although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has been extended, as the society has paid more attention to the visual culture, it has not been variously attempted.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studied and performed to clearly teach the visual culture and extend the adequate understanding of it. To this end, teachers should pay continuous attention to it and various and specific class methods should be studied.
Author(s)
전민경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663
Alternative Author(s)
Jeon, Min Ky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Advisor
이승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이론적 고찰 3
1.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이해 3
2.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 뮤직비디오의 교육적 가치 6
Ⅲ. 수업의 적용 및 결과 분석 8
1. 시각문화의 이해에 대한 실태조사 분석 8
2.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교수학습 지도 계획 13
3.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지도안 17
4. 수업 활동 결과물 분석 27
5.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수업의 결과 분석 40
Ⅳ. 결 론 45
참고문헌 48
ABSTRACT 4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