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성인 여성의 웰니스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Wellness on Beauty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in Adult Women: The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 Trust and Price Fairness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웰니스와 미용소비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 고객신뢰 및 가격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를 바탕으로 웰니스 산업에 뷰티분야의 확장성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모집단은 트랜드에 민감한 20대부터 뷰티산업 분야의 블루오션인 60대까지의 한국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1월 17일부터 1월 19일까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 법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323부를 배포하여 323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6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설정한 연구문제를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웰니스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니스의 각각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정서적, 환경적 영역의 웰니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영역과 직업적 영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니스와 미용소비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고객신뢰의 조절효과는 독립변수 웰니스를 통제하였을 때 고객신뢰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웰니스가 관여되었을 때의 결과는 고객 신뢰의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웰니스와 미용소비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독립변수인 웰니스를 통제하였을 때 가격공정성의 조절효과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웰니스가 관여되었을 때의 결과는 가격공정성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신뢰와 가격공정성은 웰니스적 소비행동에 있어 이미 반영되어진 요소이기 때문에 조절변인으로서의 개입이 필요치 않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웰니스 지각이 높은 사람들은 뷰티 웰니스 제품이나 서비스프로그램이 좋으면 가격이나 어느 기업에서 만들었는지 상관없이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는 뷰티 웰니스 산업 전략 측면에서 성인여성의 웰니스를 기반으로 한 미용제품 및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의료관광, 헬스 케어 등 타 산업과의 협업에 있어 뷰티분야의 확장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wellness and beauty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against adult women and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 trust and price fairness with a goal of providing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strategies for the extensibility of a beauty sector in the wellness industry. For th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Korean adult women from trend-sensitive 20s to 60s (blue ocean in beauty industry) of ages from January 17th to January 19th, 2022. A total of 323 copies were distribu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wellness had an influence on beauty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pecifically, physic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and environmental wellnes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while social wellness and vocational wellness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concer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 trust in wellness-beauty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relationships,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wellness’ was controlled, customer trus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eauty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When wellness was involved, however, such moderating effects were not found. Third, when wellness was controlled in wellness-beauty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ce fair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auty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However, when wellness was involved, such moderating effects were not observed.
Therefore, since customer trust and price fairness are already reflected on wellness-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the intervention of moderating variables could be deemed unnecessary. In other words, those with a high perception of wellness might choose wellness products and services as long as they are good regardless of which company has manufactured and provided them. The study results confirm a necessity of developing extended beauty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wellness-based cosmetic products, service programs, medical tourism and healthcare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wellness industry strategies.
Author(s)
강희선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671
Alternative Author(s)
Kang, Hee-S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뷰티산업학과
Advisor
김민정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1. 웰니스 6
1) 웰니스의 개념 . 6
2) 웰니스의 선행연구 10
3) 웰니스의 영역 12
2. 미용소비 행동의도 14
1) 미용소비 행동의도 개념 14
2) 미용의 분류 16
3) 미용소비 행동의도 선행연구 19
3. 고객신뢰 21
1) 고객신뢰의 개념 21
2) 고객신뢰의 요인 21
3) 고객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22
4. 가격공정성 24
1) 가격공정성의 개념 24
2) 가격공정성의 특징 24
3) 가격공정성에 관한 선행연구 25
Ⅲ. 연구 방법 27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7
2. 연구모형 28
3. 연구가설 29
4. 측정 도구 30
1) 인구통계학적 분석 30
2) 웰니스 측정 31
3) 미용소비 행동의도 측정 31
4) 고객신뢰 측정 31
5) 가격공정성 측정 32
6) 요인분석, 신뢰도 32
5. 자료 분석 방법 37
Ⅳ. 연구결과 39
1.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39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41
3.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42
4. 웰니스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45
5. 웰니스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고객신뢰의 조절효과 49
6. 웰니스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가격공정성의 조절효과 56
Ⅴ. 결론 65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65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68
참고문헌 69
Abstract 76
부록 7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Beauty Industr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