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민 식행동이 칼로리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제주지역 영양. 식생활조사 2017자료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Dietary Behavior on Calorie Intake in Jeju :Nutrition and Eating Habits Survey in Jeju 2017
Abstract
본 연구는 식행동이 칼로리 섭취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제주도민의 식습관 개선을 통한 비만문제 해결 및 건강한 식생활 향유를 위한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제주지역 영양. 건강 식생활조사2017]자료를 사용하여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산출된 칼로리 섭취량과 식행동 및 식습관을 파악하였다. 조사참여자 1332명 중 19세 이상 성인 976명을 분석자료로 최종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SPSS WIN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항목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통한 평균비교를 하였다. 집단간 차이는 Scheffe 사후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칼로리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에 따른 칼로리 섭취수준은 끼니별 식사빈도 및 결식여부, 간식 빈도, 야식 빈도, 가정식 섭취빈도, 음식점 외식빈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끼니별 결식 여부에서는 아침결식이 1676kcal (p< 0.001), 점심결식1470kcal (p< 0.05)으로 낮았다. 간식빈도에서는 하루 3회 이상(1951kcal)이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주 1-4회 섭취군(1706kcal)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야식빈도 (p< 0.001)와 외식빈도 (p< 0.05) 역시 가장 높은 군과 낮은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야식빈도에서는 매일 섭취군(1920kcal)이 가장 높았고, 섭취하지 않는 군(1702kcal)이 가장 낮았다. 음식점 외식빈도에서는 주 1회이상(1862kcal)이 가장 높은 군이었고, 외식을 하지 않는 군(1673kcal)이 가장 낮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칼로리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자에 비해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β=0.328, p< 0.001), 아침 식사군이(β=0.179, p< 0.001), 음식점 빈도가 높을수록(β=0.087, p< 0.05), 간식 빈도가 높을수록(β=0.074, p< 0.05)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 칼로리 섭취를 높이고 있었다. 반면 가정식 섭취빈도가 높을수록(β=-0.111, p< 0.001), 체중조절 감소 시도군 일수록(β=-0.111, p< 0.001), 체형인식이 마른편(β=-0.87 p< 0.05)일수록 칼로리 섭취량에 부(-)적 영향을 미쳐 칼로리 섭취를 낮추고 있다는 추정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제주도민 칼로리 섭취량 영향요인은 아침식사, 가정식 식사빈도, 음식점 빈도, 간식 빈도, 체중조절 감소 시도군이었다. 최근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인하여 가정식 식사 대신 외식과 배달음식 섭취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COVID-19펜데믹 이후 음식배달 대행서비스의 활성화로 접근성 및 편리성이 커짐으로 인해 배달 및 포장음식 빈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건강한 식품의 바른 선택 및 적정량의 섭취를 위한 교육이 필수적일 것이며, 영양정보 및 표시이용을 위한 지속적 자료개발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영양표시제시행범위를 일반음식점까지 확대하는 등의 방안을 통해 도민들이 쉽게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때에 건강한 식문화가 정착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건강한 삶을 위하여 제주도민에 대한 영양교육 및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Analyzing the factors that dietary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s calorie intak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imary data for solving the obesity problem and supporting Jeju residents’ healthy dietary lifestyle by improving their eating habits. As a research method, Data from [nutrition and Eating Habits Survey in Jeju 2017] was used, and calorie intake, dietary behavior, and eating habits calculate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were identified. Of the 1332 participants in the survey, 976 adults aged 19 or older were finally selected as analysis data.
This study used the SPSS WIN (ver 26.0) program. After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overall analysis of the survey items, an average comparison was performed through cross-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Scheffe’s test was used,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alorie intak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lorie intake, according to the dietary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meals and skipping meals, snack frequency, late-night snack frequency, home meal intake frequency, and restaurant dining frequency. In terms of skipping meals, breakfast skipping was low at 1676 kcal (p<0.001), and lunch was low at1470 kcal (p<0.05). In the snack frequency, the highest was at least three times a day (1951 kca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lowest 1-4 times a week (1706 kcal) intake group (p<0.05). The frequency of late-night snacks (p<0.001) and the frequency of eating out (p<0.05) also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groups. In the frequency of late-night snacks, the daily-consumption group (1920 kcal) was the highest, and the non-consumption group (1702 kcal) was the lowest. Regarding the frequency of restaurant dining out, the group that eats out at least once a week (1673 kcal) was the highest, and the group that did not eat out (1673 kcal) was the lowest.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calorie intake of the subjects. The 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s (β=0.328,p<0.001), and the breakfast group (β =0.179, p<0.001), higher frequency of restaurants (β=0.087, p<0.05), and higher snack frequency (β=0.074, p<0.05)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calorie intake. On the other h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home meal intake (β=-0.111,p<0.001), the weight loss control attempt group (β=-0.111, p<0.001), and the slim figure recognition (β=-0.87 p<0.05) affect negatively (-), resulting in lower calorie intake.
In conclusion, the factors influencing Jeju residents' calorie intake were breakfast, home meal intake frequency, restaurant dining frequency, snack frequency, and weight loss control attempt group.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and dual-income households,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nd having delivery food instead of a home meal is increasing. In addi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frequency of using delivery and packing food is increasing explosively because of increased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which is invigorated by food delivery agency services. Therefore, education on the right choice of healthy food and the appropriate amount of intake will be essential, and continuous data development for the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labeling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healthy food culture can be established when residents can easily calculate calories through measures such as expanding the scope of the nutrition labeling system to general restau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and programs for Jeju resident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for a healthy life.
Author(s)
장경숙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694
Alternative Author(s)
Chang, Kyong Su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박형근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가설 3
II. 연구 방법 4
1. 연구 모형 4
2. 연구 자료 및 연구 대상 5
3. 연구 변수의 조작적 정의 5
4. 자료 분석 9
III. 연구 결과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
2. 조사대상자의 식행동 및 식습관 12
3. 조사대상자의 생활습관 28
4. 조사대상자의 칼로리 섭취 수준 35
5. 칼로리 섭취와 식행동, 생활습관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43
6. 조사대상자의 칼로리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회귀분석 45
Ⅳ. 고찰 47
Ⅳ. 결론 및 제언 50
REFERENCES 52
Abstract 57
감사 인사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Public Health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