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포용적리더십과 조직정치지각의 지식숨김행동에 대한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Inclusive Leadership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Knowledge Hiding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commitment and pro-social motivation
Abstract
기업의 생존을 위한 지속적 경쟁우위 요소가 새로운 기술 환경에의 적응과 선도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의 기민한 대응과 조직의 기술적 우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알려져 온 지식경영이 새로운 경영관리의 개념은 아니지만, 지식의 확산과 창출이라는 지식경영의 본질은 환경변화의 대응을 위한 핵심요소로서 현대 기업들에게 여전히 유효하다.
이에 지식공유는 조직유효성과 관련된 핵심적인 변수로 지목되어왔고, 이런 환경에서 조직의 환경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한 요소로서 구성원의 지식공유행동(knowledge sharing behavior)에 대한 수많은 연구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실제 기업 현장에서는 지식공유에 의한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업무에 필요한 지식들이 제때에 공유되지 않는 상황을 넘어서 의도적으로 지식을 은폐하거나 지식공유의 요구에 대해 제대로 된 지식을 전달하지 않는 부정적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들이 지식공유의 활성화를 위한 선행변수의 탐색에 초점이 맞춰져 왔지만, 지식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지식이 은폐되는 상황에 관련된 지식숨김행동(knowledge hiding behavior)이 새로운 개념의 변수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구성원 간 지식공유를 최대화 할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구성원 간 지식 숨김 행동을 최소화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식공유행동과 지식 숨김 행동의 효과를 구분하여 좀 더 깊게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러한 선행요인들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리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지식전이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의 측면으로 분리하여 검토한 연구는 제기되지 않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도출과 가설의 설정을 위하여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가설적인 구분을 시도하고, 이를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식 숨김 행동에 미치는 선행변수로서 조직차원의 변수 중 조직정치지각을 제시하였고, 부서차원의 변수로서는 리더의 포용적리더십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선행변수들이 지식 숨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매개할 것으로 예측되는 매개변수로는 구성원의 팀 몰입과 친사회적동기를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가설 관계로서는 포용적리더십이 구성원의 지식 숨김 행동에 주는 부(-)의 영향,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의 지식 숨김 행동에 주는 정(+)의 영향, 조직정치지각과 포용적리더십의 지식 숨김 행동에 대한 구성원 팀몰입의 매개 영향, 조직정치지각과 포용적리더십의 지식 숨김행동에 대한 구성원 친사회적동기의 매개 영향, 구성원의 친사회적동기 및 팀 몰입과 지식 숨김행동의 관계에 대한 구성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경쟁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서울, 부산, 경남, 제주지역 등에 소재한 제조업, 금융업, 서비스업, 유통업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체 종사자중 상사와의 재직기간이 최소 3개월 이상인 팀 및 구성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445부의 설문을 회수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SPSS 24.0과 AMOS 24.0통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최초 연구모형에서 지식 숨김 행동이 총 3개의 하위요인(모르는 척 하기, 회피적 숨김, 합리적 숨김)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르는 척하기와 회피적 숨김이 단일 요인으로 구분되는 2요인(의도적 숨김 행동, 합리적 숨김 행동)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선행 연구결과에서 제시 되었던 부분과 측정도구의 내용상 서구와 국내 의 문화적 맥락 차이를 고려할 때 사전에 예상이 될 수 있었던 부분이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직접효과로는 , 의 2개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고, 간접효과로는 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는 가설을 모두 지지하여 심리적 경쟁분위기가 높은 경우 팀 몰입과 친사회적 동기가 구성원의 지식 숨김 행동을 낮추는 효과가 약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조직 내 지식의 전이와 확산을 저해하는 지식 숨김 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둘째,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지식 숨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변수를 확인하였다. 셋째, 지식 숨김 행동의 하위요인이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인 숨김 행동과 합리화된 숨김 행동의 2요인 구조로 도출되었는데, 이는 캐나다 등에서 수행된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소 다른 결과이다. 넷째, 기존의 지식전이 관련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못했던 심리적 경쟁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제시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숨김 행동을 위생요인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경우, 조직 내 지식 숨김 행동을 최소화하지 않고서는 보다 적극적인 지식공유와 확산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둘째, 지식공유와 지식 숨김은 사회적 교환관계로 해석할 수 있으며, 원활한 지식공유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적 교환관계에서의 비용과 효익에 대한 인식이 균형을 나타내야 한다. 셋째, 조직정치지각이 지식 숨김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토는, 조직 전체의 경영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구성원의 절차적 타당성 인식이 가지는 중요성으로 연계된다.
본 연구의 몇 가지 연구 및 실무적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가 모두 구성원 개인의 자가 응답 설문에 의존하고 있기에 심각한 공통방법편의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둘째, 구성원의 지식 숨김 행동은 자기보고식 설문이 아닌 동료 또는 상사의 평가를 통해 보다 신뢰성 높은 측정이 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식 숨김 행동에 대해서도 자기 보고식 설문을 통해 측정하고 있다. 셋째, 심리적경쟁분위기는 본 연구에서 맥락 변수로 가설화 되었으나, 실제 실증분석결과 지식 숨김 행동에 대한 직접효과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지식 숨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조직정치지각의 효과에 대한 가설이 일부 기각되었는데,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결과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식공유행동과 지식 숨김 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실증분석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둘째, 지식전이 과정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교환관계이다. 이러한 교환관계는 관계의 시작과 반복, 그리고 발전의 과정을 거쳐 변화되어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 숨김 행동을 이러한 순환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으로 살펴보지 못하고 있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 설계 등을 통하여 이러한 역동적 교환관계의 특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식 숨김 행동의 구성개념에 대한 지속적 연구 및 보완이 지속 되어야 할 것이다.|As the competitive advantage factor for the survival of a companies is focused on adapting to and leading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to ensure agile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of the organization is continuously emphasized. Knowledge management, which has been studied and known by many researchers since the 1990s, is not a new concept in management field, but the essence of knowledge management, which is the diffusion and creation of knowledge, is still valid for modern companies as a key factor for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knowledge sharing has been pointed out as a key variable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members as a factor to secure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respond to the environment in such an environment. However, in actual business field, in addition to the positiv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there are also negative situations in which knowledge necessary for work is not shared in a timely manner, intentionally concealing knowledge or failing to deliver proper knowledge in response to the need for knowledge sharing. is currently occurring.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earch for antecedent variables that can activate knowledge shar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ocus on the question of 'how to minimize knowledge hiding behavior between members?' rather than 'how to maximize knowledge sharing among member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knowledge hiding behavior in more depth,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antecedent factors. From this point of view, no
studies have yet been conducted to separate and examine the prior factors for knowledge transfer into motivating factors and hygiene factors. Hypothetical classification was attempted through review, and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is.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the negative (-)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the knowledge hiding behavior of members, the positive (+)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perceived by the members on the knowledge hiding behavior of the members, the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and inclusive leadership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commitment on knowledge hiding behavior of members, the mediating effect of member prosocial motivation on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and knowledge
hiding behavior of inclusive leader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prosocial motivation and team commitment and knowledge hiding behavior This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ompetitive atmosphere perceived by members.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00 teams and members with at least 3 months of tenure with their superiors among employees of various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finance, service, and distribution located in Seoul, Busan, Gyeongnam, and Jeju in Korea. 44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on, and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knowledge hiding behavior was composed of a total of three sub-factors (pretending not to know, avoiding hiding, and rational hiding) in the initial research model. It was analyzed as two factors (intentional hiding behavior, rational hiding behavior). This was the part that was expected in advance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cultural context between the West and Korea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the parts suggested i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Second, as a result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two path coefficients of and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as a direct effect, and as an indirect effect,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hiding>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r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supported all the hypotheses, and when the psychological competitive atmosphere was high, the effect of team commitment and pro-social motivation to lower the knowledge hiding behavior of members was weaken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hiding behavior that hinders the transfer and diffusion of knowledg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it. Second, the antecedent variables that can affect knowledge hiding behavior were ident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rd, the sub-factor of knowledge hiding behavior was derived in this study as a two-factor structure of intentional hiding behavior
and rationalized hiding behavior, which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Canada and the like. Fourt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ompetitive atmosphere, which was not dealt with much in existing knowledge transfer related studi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knowledge hiding behavior is understood in terms of hygiene factors, it can be interpreted that more active knowledge sharing and diffusion cannot be achieved without minimizing knowledge hiding behavior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hiding can be interpreted as a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for smooth knowledge sharing to take place, the perception of costs and
benefits in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must be balanced. Third, the review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on knowledge hiding behavior is linked to the importance of members' perception of procedural validity for the entire organization's management process.
Despite several stud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since the measurement tools for measuring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all depend on the self-response questionnaire of each member, it may represent a serious problem of common method bias. Second, the knowledge hiding behavior of members can be measured more reliably through the evaluation of colleagues or superiors rather than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but in this study, such knowledge hiding behavior is also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hird, the psychological competitive atmosphere was hypothesized as a context variable in this study, but as a result of actual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 direct effect on knowledge hiding behavior may exist. Fourth,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knowledge hiding behavior were not sufficiently reviewed. Fifth, some hypotheses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were rejected. Existing previous studi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but this study did not provide sufficient explanation for the in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future research proposal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knowledge hiding behavior should b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develop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the knowledge transfer process is essentially a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exchange relationship can be changed through the process of initiation, repetition, and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Since this study does not examine knowledge
hiding behavior as such a cyclical and continuous proces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dynamic exchange relationship through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in future studies. Third, continuous research and supplementation on the constituent concepts of knowledge hiding behavior should be continued.
Author(s)
김봉현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13
Alternative Author(s)
Kim, Bong-Hy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방호진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제 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제 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5
1. 연구방법 5
2.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7
제 1절 지식과 지식경영 7
1. 지식 7
2. 지식경영 12
3. 지식경영의 성공요인 16
제 2절 지식교환행동 19
1. 지식교환행동의 개념 19
2. 지식공유행동 19
3. 지식공유의 선행요인 23
4. 지식조작행동 26
제 3절 지식숨김행동 27
1. 지식숨김행동의 개념 27
2. 지식숨김행동의 선행요인 31
제 4절 포용적리더십 35
제 5절 조직정치지각 41
제 6절 친사회적동기 47
제 7절 팀몰입 51
제 8절 심리적경쟁분위기 54
Ⅲ. 연구 설계 57
제 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57
1. 기존 연구의 종합 검토 57
1. 1. 지식전이의 선행요인에 대한 종합 검토 57
1. 2. 연구문제 제기 60
2.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설정 61
2. 1. 포용적리더십과 지식숨김행동 61
2. 2. 조직정치지각과 지식숨김행동 62
2. 3. 팀몰입의 매개효과 63
2. 4. 친사회적 동기의 매개효과 65
2. 5. 심리적경쟁분위기의 조절효과 66
3. 연구모형 68
제 2절 변수의 정의 및 조사 설계 69
1. 변수의 정의 69
1. 1. 지식숨김행동 69
1. 2. 포용적리더십 71
1. 3. 조직정치지각 72
1. 4. 팀몰입 73
1. 5. 친사회적 동기 73
1. 6. 심리적경쟁분위기 74
1. 7. 통제변수 75
2. 조사 설계 75
2. 1. 분석방법 77
Ⅳ. 실증분석 78
제 1절 표본의 특성 및 측정도구 검증 78
1. 표본의 특성 78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79
3. 기술적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84
제 2절 가설검증 86
1. 확인적 요인분석 86
2. 구조모형 분석 92
3. 조절효과 분석 95
4. 가설 검증결과 종합 101
Ⅴ. 결 론 103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03
1. 연구결과의 요약 103
2. 연구결과의 시사점 105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08
1. 연구의 한계 108
2. 향후 연구방향 109
참고문헌 111
1. 국내 참고문헌 111
2. 국외 참고문헌 114
ABSTRACT 130
설문지 13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