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수묵의 현대적 표현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Stones in Ink Painting : Focusing on My Works
Abstract
우리는 개인주의, 이기주의가 더욱 심화되어 가는 사회에 살고 있다. 이렇게 현대 사회에 팽배해져 있는 개인주의적 성향들을 어우러지게 하여 조화로운 미래로 만들기 위해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그 중 미술 분야의 한 장르인 회화는 상징적 조형 요소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여 개인에게 소통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정지된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소통과 감동을 주기 때문에 ‘회화’라는 연결고리를 통한 조화로운 삶의 추구는 흥미롭다. 과거에 그려진 회화는 현재의 사람들에게 비슷한 감동을 주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신호를 이끌어 내는 힘을 가진다. 사물의 외형을 표현하는 회화 속에서 정신적·내용적 감동을 전달하는 것은 회화 예술 활동의 근원이 되어왔다. 특히, 수묵화는 먹의 정신성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양식으로 대상의 색채와 깊고 얕음에 근거하여 먹의 바림에 의한 농담과 붓의 강약 표현으로 공간을 다채롭게 변화시켜 집중하게 함으로써 공통된 공감형성을 이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묵화의 정의를 알아봤고 우리나라 수묵화의 역사 속에서 전통에 바탕을 두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수묵화의 발전을 꾀한 화가 중심으로의 고찰과 이에 따른 수묵의 기법과 재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적 재료와 수묵 산수를 중심으로 하는 고답적이고 의고적인 태도의 계승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묵 정신을 담은 모든 현대 미술을 수용하겠다는 창작 의지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된 본 연구자의 작품을 내용적‧형식적인 면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여기에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는 표현해 내는 대상의 내용적‧형식적인 면을 표현하기 위해 전통적인 재료인 먹의 농담변화를 붓으로 화지에 그리는 평범한 행위에 더해서 화지 구기기, 뿌리기, 번지기 등과 같은 표현 기법을 추가하여 먹과 물의 흐름에 집중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비구상적인 바탕에 현대적 재료인 파스텔과 오일 파스텔의 기하학적 무늬를 표현하여 전체적인 흐름에 동‧서양, 고전과 현대의 연결고리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모방과 차용으로써의 단순히 재현된 기법적 표현이 아닌, 전반적으로 발전된 독특한 구도와 기법 등을 바탕에 두어 현대의 흐름과 소통할 수 있는 행위로서의 표현 방식을 연구하였다. 즉, 고유한 전통기법을 새로운 관점에서 역동적으로 해석하면서 전통과 현대의 흐름과 궤를 같이 하고, 정체성과 동질성 회복을 위해 소통의 장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작품으로 자리 매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사회에 있어 한국회화가 다방면의 발전으로 시‧공간을 뛰어 넘어 동시대적인 변화와 독특한 양식을 담아내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본인 작품에 근간이 되는 먹과 그 외의 재료와 창의적인 기법에 대해 폭넓게 확장된 발전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고, 이것은 한국적 전통회화에 근간을 두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우리 미술의 세계화를 위해서 그 뿌리를 찾는 것이야 말로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작업이다. 그리고, 현대적 표현 기법의 무한한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을 통해 감상자들에게 색다른 감동을 줄 수 있고 그들과 현대적 소통을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We live in an era in which individualism and selfishness intensifies. Numerous attempts are being made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art to create a harmonious future by compounding the individualistic tendencies prevalent in modern society.
Among these sectors, painting, one genre of art, is a symbolic formative element that maximizes visual effects, consequently sufficient to arouse a variety of communicatory impulses in individuals. Pursuing a harmonious life through the connection of "painting" is interesting since various types of paintings in a still space give communication and impression in numerous aspects. Painting in the past has the power to impress people in the present and induce positive signals about the future. In painting that expresses the appearance of objects, conveying mental and content emotions has been the source of painting art activities. In particular, ink painting is a style suitable for realizing the spirituality of ink. It could lead to the formation of a common empathy by changing the space in various ways and by expres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brush and the light and shade by applying the ink. Therefore, in this paper, the definition of ink painting was examined, and focusing on painters who tried to develop ink painting through new attempts based on tradition in the history of ink painting in Korea, the techniques and materials of ink painting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n trend of Korean ink painting, it was found that the desire to create to overcome the limits of materials and accept all modern artwork containing ink spirit was actively progressing, and this researcher's work re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was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and formality.
In order to express the content and formality of the object to be expressed, this researcher's work focused on the flow of ink and water by adding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crumpling, spraying, and smudging of paper in addition to ordinary actions of drawing changes on paper. Furthermore, the geometrical pattern expression of pastel and oil pastel, which are modern materials, was expressed on a non-ideal basis, and the connecti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lassic and modern was used for the overall flow.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studied to be an expression method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odern flow based on the overall developed unique composition and techniques, not just the reorganized technological expression by imitation and borrowing. In other words, while dynamically interpreting unique traditional techniques, it was intended to be in line with the flow of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o establish itself as a place of communication to restore identity and homogeneity.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in addition to modern history, the Korea painting has made various attempts to capture contemporary changes and unique styles beyond time and space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ields. In addition, it shows a wide range of development possibilities for ink, other materials, and creative techniques that are the basis of one's work, and emphasizes that this i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Finding its roots for the globalization of our art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work.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by studying the infinite use of modern expression techniques, it can impress viewers differently and serve as an opportunity to use them as modern communication.
Author(s)
김가현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20
Alternative Author(s)
Kim, Ga Hy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이창희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수 묵 화 4
1. 수묵화의 개념 및 전개 4
2. 수묵의 재료와 기법 13
Ⅲ. 수묵화의 현대적 흐름 23
1. 수묵화 원류의 근대적 창조 시기 23
2. 1920년대(일제강점기) 수묵 문인 화풍의 시기 25
3. 19401950년대(해방이후) 독자적 양식의 형성 시기 27
4. 1970년대 수묵화운동 시기 31
5. 1990년대 수묵화의 탈장르 시기 33
Ⅳ.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 36
1. 작품의 내용 37
2. 작품의 형식 42
3. 작품의 설명 42
Ⅴ. 결 론 50
참고문헌 52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