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제주4·3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xperience Learning Method of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Jeju 4·3 Relics in Middle School
Abstract
Peace and human rights were emphasized as universal rights internationally in 1948 by the United Nations, the UN expected students from all over the world to feel the importanc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never again never break out war in the world. However, the problem of threatening peace and human rights has been constantly occurring, it has also emerged as a phenomenon of committing violenc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or interfering with groups that the state opposes in Korea. If state violence is taken for granted like this, it leaves irreparable wounds between individuals, individuals, and countries, it can lead to the repetition of contradictions accumulated through the mistakes of history. Therefore, the reinforcement of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gin in adolescence, when values ​​begin to be formed in earnest, values ​​that can respect life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is.
This case also occurred in the Jeju area in 1948, which is Jeju 4‧3. Jeju 4‧3 is an incident that occurred by Jeju South Korea Labor Party on the pretext of opposing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however, this incident was the main cause of the continued suppression of the Jeju resident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since the shooting incidents on March 1, 1947, it sacrificed innocent them to deal with this quickly. In recent history education, student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to develop sensitivity based on such historical facts, and to provide learning guidance that can lead to the practice of preventing or eliminating problems such as violenc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ls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recommends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correct historical facts of Jeju 4‧3 and use it to cultivate students' right peace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As such, Jeju 4‧3 needs not only to be remembered by students as a special regional history unique to the Jeju region, but also needs to be actively utilized to cultivate students' correct awareness of peace and human rights.
Textbooks are the most basic material for using Jeju 4‧3 as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However,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Jeju 4‧3 are not clear and only fragmentary results are presented. It is problematic in instilling a sens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Jeju 4‧3. Also,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in a recent survey, field experience learning was the most helpful, and there were many responses that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it. In addition, in the case studies or research results conducted on Jeju 4‧3 so far, there has been no case of finding a way to learn about historical sites in the fiel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paper tried to develop a field experience learning pl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Jeju 4‧3 historic site in connection with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refore, the local scope of this field experience learning is divided into East and West to select and utilize the area related to Jeju Island. The activity paper and teaching-learning plan of total 5 classes were composed according to 3 stages of 'pre-learning',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post-learning'. In this process, students will understand peace and human rights properly and experience the site of historical sites in person to help them develop peace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while cultivating their will to practice. it is thought that it will play a role in increasing interest in their own local history as well as related historical sites by deepening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for why students should remember Jeju 4‧3 and the correct perception of Jeju 4‧3.
The following limitations can be pointed out in this study. First, it overlooked the fact that each school has a different internal operating system. Second, there is no verification of the effect as well as the actual practice of the class, so it may be doubtful whether it will have a great effect on raising students' awareness of peace and human rights.
However, in order to supplement this,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method that considers the direction in which each school can operate efficiently. Secon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Jeju 4‧3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for school teachers to make efforts to remember the relics by link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Jeju 4‧3 to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and in-depth analyzes of the Jeju 4‧3 historic site.|평화‧인권은 UN에 의해 1948년에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권리로서 강조되었으며, UN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교육을 통해 전 세계의 학생들이 평화‧인권의 소중함을 느끼고 다시는 전 세계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평화‧인권을 위협하는 문제는 끊임없이 발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가 주도하여 대항하거나 방해하는 집단을 폭력과 인권 유린으로 자행하는 현상으로 발현되었다. 이와 같이 국가폭력이 당연시되면 개인과 개인, 국가 간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게 되며, 역사의 과오로 축적되는 모순의 반복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평화‧인권교육의 강화는 가치관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는 청소년기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생명을 존중할 수 있는 가치를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1948년 제주 지역에서도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 사건이 바로 제주4‧3이다. 제주4‧3은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한다는 명분으로 남조선노동당 제주도당에 의해 일어난 사건이다. 그러나 이 사건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 이후 미군정이 제주도민에 대해 계속 탄압을 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당시 정부에서는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고자 무고한 제주도민들을 희생시켰다.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이 평화‧인권의 개념을 이해하고 감수성을 키움으로써, 폭력, 차별과 인권 침해 등의 문제를 예방 또는 제거를 위한 실천으로 이끌 수 있는 학습 지도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에서는 학생들이 제주4‧3의 올바른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평화‧인권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제주4‧3은 단순히 제주 지역만의 특수한 지역사로만 기억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올바른 평화‧인권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제주4‧3을 평화‧인권 교육으로 활용함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는 교과서이지만, 현행 역사 교과서의 내용에서는 제주4‧3의 배경과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단편적인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학생들의 평화‧인권의식과 제주4‧3의 올바른 역사 인식을 심어 주는데 문제가 된다. 또한 최근의 설문 조사에서도 현장 체험 학습이 가장 많이 도움이 되었고, 이를 늘릴 필요가 있다는 반응이 많았다는 점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제주4‧3을 소재로 진행된 수업 사례나 연구 성과에서도 중학생을 대상으로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을 모색한 경우는 없었다. 이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중학생을 위한 제주4‧3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을 평화‧인권교육과 연계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현장 체험 학습의 지역적 범위는 제주도를 동‧서부로 나누어 자신과 관련된 지역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 학습’, ‘현장 체험 학습’, ‘사후 학습’의 3단계에 따라 총 5차시의 활동지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모두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평화‧인권을 제대로 이해하고, 유적지 현장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평화‧인권 감수성을 키우는 동시에 실천 의지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왜 제주4‧3을 기억해야 하는지에 대한 역사적 당위성과 제주4‧3의 올바른 인식을 심화함으로써 자신의 지역사는 물론 관련 유적지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한다. 첫째, 각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향을 고려한 수업 방안을 마련한 필요가 있다. 둘째, 제주4‧3의 평화‧인권교육과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을 연계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에게 제주4‧3의 전개과정과 연계시켜 유적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제주4‧3 유적지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Author(s)
좌승하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24
Alternative Author(s)
Jwa, Seung-H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Advisor
양정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8
Ⅱ. 제주43의 평화인권 교육과 현장 체험 학습 11
1. 평화인권 교육과 제주43의 중요성 11
2. 현행 중학교 역사 ② 교과서의 제주43 내용 분석과 현장 체험 학습의 필요성 17
Ⅲ. 현장 체험 학습을 위한 제주43 유적지 선정 25
1. 제주43의 전개과정과 주요 유적지 25
2. 평화인권 교육을 위한 제주43 유적지 선정 32
Ⅳ. 제주43 유적지를 활용한 평화인권 교수 학습 방안의 실제 40
1. 제주43 유적지를 활용한 평화인권 교수 학습 목표 및 설계 40
2. 제주도 동부 지역 43 유적지를 활용한 평화인권 교수 학습 방안 43
3. 제주도 서부 지역 43 유적지를 활용한 평화인권 교수 학습 방안 72
Ⅴ. 결론 100
참고문헌 104
Abstract 11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Histor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