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성인들의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인식 및 음식 구매 태도에 관한 연구 : 음식점·마트·배달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wareness of Origin Labelling System and Food Purchasing Attitudes of Adults in Jeju Area: Focusing on Restaurant, Mart, and Delivery Application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성인들을 대상으로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인지 여부와 인식도를 조사하고, 음식점, 마트, 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 음식을 구매할 때 특성과 원산지표시제도가 구매 태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 원산지표시제도의 인식도 향상을 요구하여 추후 올바른 식품 선택과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의 20세-50대 성인 301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5일부터 5월 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301부를 배부하여 온라인 설문 시작 전 연구 참여 동의 여부에 미동의한 설문지 1부를 제외한 총 300부를 최종적으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통계 처리 프로그램 SPSS Win Program(ver.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χ2-test, t-test, ANOVA(Dunca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중 성별은 남성이 (44.3%), 여성이 (55.7%)로 나타났고, 연령대는 20대 (47.0%)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71.7%), 직업은 사무직 (27.3%), 혼인 여부는 미혼 (58.0%), 거주 형태는 4인 이상 (43.0%), 월 평균 소득은 200~300만 원 미만 (48.7%), 월 음식 구매 비용은 20~50만 원 미만 (34.7%)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 원산지표시제도의 인지 여부를 분석 결과는‘알고 있다’(95.0%),‘모른다’(5.0%)로 나타났으며. 원산지표시제도를 인지 여부는 4인 이상에서 (43.2%), 2~3인 (32.8%), 1인 이상 (18.6%)로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거주 형태를 제외한 나머지 일반사항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는‘TV/라디오’(23.5%),‘학교/소비자단체’(23.5%)의 비율이 높아 전반적으로‘TV, 라디오,‘인터넷, SNS’에서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인지 부족 이유를 분석한 결과를 볼 때 ‘자신의 관심 부족’이 (66.7%)의 비율이 가장 높아 전반적으로 자신의 관심 부족으로 원산지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조사대상자의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지식수준 결과는 원산지표시에 대한 지식은 총 8점 만점으로 조사대상자의 평균 점수는 7.15점으로 나타났다.
5. 원산지표시 품목 중 원산지표시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품목을 분석은 5점 척도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인 품목은 ‘수산물(생선, 어패류 등)’이 4.55점,‘육류(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등)’ 4.50점, ‘김치(배추, 고춧가루)’ 4.43점, ‘채소·과일류’ 4.22점, ‘가공식품’ 3.99, ‘쌀’ 3.90, ‘콩’ 3.86점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산물과 육류의 원산지표시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분석은 5점 척도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문항에서 가장 높은 문항은 ‘원산지 국가의 이미지에 따라 품질 예측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4.27점), 가장 낮은 점수의 문항은‘원산지표시가 있는 음식은 유해 물질로부터의 안전함을 의미한다.’(3.20점)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원산지표시제도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조사대상자의 음식점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 확인 여부 분석 결과 음식점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표시제도를 확인한다 (73.7%), 확인하지 않는다 (21.3%)로 나타났다. 확인하는 품목으로는‘배추김치’(48.3%),‘육류’(41.1%),‘수산물’(7.2%),‘쌀’(3.0%),‘가공식품’(0.4%),‘채소·과일류’(0.0%),‘콩’(0.0%)로 나타났다.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자신의 관심 부족’(46.9%)이 가장 높았다.

8. 조사대상자의 마트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 확인 여부 분석 결과 마트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표시제도를 확인한다 (82.0%), 확인하지 않는다 (18.0%)로 나타났다. 확인하는 품목으로는‘육류’(55.7%),‘수산물’(31.7%),‘배추김치’(4.9%),‘가공식품’(1.6%),‘채소·과일류’(3.3%),‘콩’(2.0%),‘쌀’(0.8%)로 나타났다.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원산지보다 다른 요소가 더 중요하므로’(51.9%)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9. 조사대상자의 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 확인 여부 분석 결과 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표시제도를 확인한다 (26.7%), 확인하지 않는다 (73.3%)로 나타났다. 확인하는 품목으로는‘육류’(65.0%),‘수산물’(18.8%),‘가공식품’(6.3%),‘배추김치’(5.0%),‘쌀’(5.0%),‘채소·과일류’(0.0%), ‘콩’(0.0%)로 나타났다.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원산지표시가 잘 안 보여서’(58.2%)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10.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태도 간의 상관관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음식점 구매 영향과 소비자 인식도 (r=.513), 마트 구매 영향과 소비자 인식도 (r=.530), 배달애플리케이션 구매 영향과 소비자 인식도 (r=.407)으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체로 원산지표시제도의 소비자 인식도가 높아질수록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지역 성인의 경우 원산지표시제도의 인지도는 높았으며, 음식점, 마트에서의 원산지표시 확인 비율이 높았으나 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의 원산지표시 확인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의 원산지표시 방법의 개선방안과 국가의 교육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음식점·마트·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 원산지표시를 확인하는 품목으로는 육류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이는 과거 광우병, 조류 독감 등 식품 안전과 관련된 사고 발생으로 인하여 이러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며, 소비자들은 원산지표시제도를 통하여 식품의 정보를 얻으며 안전하고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위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정확한 원산지 정보전달과 원산지 거짓 표시, 미표시의 감독 및 처벌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inducing correct food selection and purchase in the future by requesting to raise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through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and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adults in Jeju area and how muc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origin labelling system affect their purchasing attitudes when purchasing food from restaurants, marts, and delivery application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5 to May 6, 2022, among 301 adults in their 20s to 50s in Jeju area, 301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and a total of 300 copies, excluding one questionnaire indicating non-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efore an online survey, were finally used as analysis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ANOVA (Dunca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investigated data using the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SPSS Win Program (ver.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survey subjects, male was 44.3% and female was 55.7%. And their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emographic data, income, and food purchasing expenses were determined: their age group was in 20s (47.0%), their highest level of education was university (71.7%), they were office workers (27.3%), marital status was single (58.0%), they were living together with a group of 4 or more (43.0%), their monthly average incomes were less than 2~3 million won (48.7%), and their monthly food purchase expenses were less than 200,000~500,000 won (34.7%).

2. The results of analysis on whether they recognized the origin labelling system showed that 95.0% answered ‘I know’ while 5.0% answered ‘I don’t kn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in whether they recognized the origin labelling system in the order of 4 or more (43.2%), 2~3 (34.8%), 1 or more (18.6%) by the type of residence (p<0.05), an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general items except for the type of residence.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sources of information on the origin labelling system, the ration of ‘TV/radio’ (23.5%) and ‘school/consumer group (23.5%) was high, indicating that overall they obtained the information on the origin labelling system from ’TV, radio’ and ‘Internet, SN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asons of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showed that the ratio of ‘lack of one’s interest’ (66.7%) was the highest, resulting in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due to overall lack of one’s interest.

4. The result of the survey subjects’ knowledge level on the origin labelling system was shown to be 7.15 on average, out of 8 points.
5. Among the items with the indication of the origin labelling, the items for which the origin labelling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were analyzed on a 5-point scale and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the items showing the highest importance were ‘aquatic products (fish, shellfish, etc.)’ with 4.55, ‘meat (beef, chicken, port, etc.)’ with 4.50, ‘Kimchi (cabbage, red pepper powder)’ with 4.43, ‘vegetables and fruits’ with 4.22, ‘processed food’ with 3.99, ‘rice’ with 3.90, and ‘bean’ with 3.86 in order. Overall, it can be shown that they regarded the origin labelling for fishery products and meat as the most important.

6. The analysis of consumer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was conducted on a 5-point scal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tem with the highest point among the items of the consumer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was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has an effect on quality prediction’ (4.27) and the item with the lowest point was ‘the food with the indication of the origin labelling means the safety from harmful substances’ (3.20). Overall, it was found that consumers’ awareness of the safety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was low.

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whether or not to check the country of origin when the survey subjects were purchasing food at restaurants, it was found that ‘I check the origin labelling system when purchasing food at restaurants’ (73.7%) and ‘I don’t check’ (21.3%). Items checked by them were found to be ‘cabbage kimchi’ (48.3%), ‘meat’ (41.1%), ‘aquatic products’ (7.2%), ’rice’ (3.0%), ‘processed food’ (0.4%), ‘vegetables/fruits’ (0.0%), and ‘beans’ (0.0%).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checking was ‘lack of interest’ (46.9%).

8. The results of analysis on whether or not to check the country of origin when the survey subjects were purchasing food at marts showed that ‘I check the origin labelling system when purchasing food at marts’ (82.0%) and ‘I don’t check’ (18.0%). Items checked by them were found to be ‘meat’ (55.7%), ‘aquatic products’ (31.7%), ‘cabbage kimchi’ (4.9%), ’processed food’ (1.6%), ‘vegetables/fruits’ (3.3%), ‘beans’ (2.0%), and ‘rice’ (0.8%).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checking was ‘because other factor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country of origin’ (51.9%).

9. The results of analysis on whether or not to check the country of origin when the survey subjects were purchasing food at delivery applications showed that ‘I check the origin labelling system when purchasing food at delivery applications’ (26.7%) and ‘I don’t check’ (73.3%). Items checked by them were found to be ‘meat’ (65.0%), ‘aquatic products’ (18.8%), ’processed food’ (6.3%), ‘cabbage kimchi’ (5.0%), ‘rice’ (5.0%), ‘vegetables/fruits’ (0.0%), and ‘beans’ (0.0%).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checking was ‘because the country of origin was not clearly visible’ (58.2%).

1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awareness toward the origin labelling system and purchasing attitudes, the effect of purchase at restaurants and consumer awareness (r=.513), the effect of purchase at marts and consumer awareness (r=.530), and the effect of purchase at deliver applications and consumer awareness (r=.407) all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In general,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consumer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the more stronger it has an effect on purchas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adults in Jeju area showed high awareness of the origin labelling system and high ratio in checking the origin labelling at restaurants and marts but low ratio in checking the origin labelling at deliver applica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measures to improve the origin labelling method, nation-wide education, and active promotion activities will be necessary for deliver application. In addition, meat was overall high among items for which consumers checked the origin labelling at restaurants, marts, and deliver applications, probably due to an effect caused by the occurrence of accidents related to food safety such as mad cow disease, bird flu, etc. in the past. Given that consumers obtain information about food through the origin labelling system, it is believed that for a safe and rational consumer life the delivery of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ountry of origin and the supervision and punishment of false labelling and non-labelling of the country of origin should be strengthened at the national level.
Author(s)
박서형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27
Alternative Author(s)
Park, Seo-Hy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Advisor
강인혜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원산지표시제도 3
1) 원산지표시제도 정의 3
2) 원산지표시제도 대상 품목 3
3) 원산지표시 방법 4
4) 원산지표시 위반에 대한 벌칙 6
5) 원산지표시 현황 6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8
1. 조사대상 및 기간 8
2. 조사내용 및 방법 8
3. 조사 분석 및 통계 처리 10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1
2.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인식도 13
1) 원산지표시제도 인지 여부 13
2)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정보원 16
3)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인지 부족 이유 17
4)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지식수준 18
5) 원산지표시 품목에 대한 중요도 20
6) 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자 인식 21
3. 음식점 음식 구매 태도 22
1) 음식점에서 음식 구매 시 특성 22
2) 음식점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 확인 여부 24
3) 원산지표시제도에 따른 음식점 음식 구매 태도 26
4. 마트 음식 구매 태도 28
1) 마트에서 음식 구매 시 특성 28
2) 마트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 확인 여부 30
3) 원산지표시제도에 따른 마트 음식 구매 태도 32
5. 배달애플리케이션 음식 구매 태도 34
1) 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 음식 구매 시 특성 34
2) 배달애플리케이션에서 음식 구매 시 원산지 확인 여부 36
3) 배달애플리케이션 원산지표시 의무화 인지 여부 38
4) 원산지표시제도에 따른 배달애플리케이션 음식 구매 태도 39
6. 원산지표시제도 소비자 인식이 음식 구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41
1) 소비자 인식과 구매 태도 간의 상관관계 41
Ⅴ. 결론 및 제언 43
Ⅵ. 참고문헌 50
1) 부록 52
2) Abstract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