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17세기 조선 지식인의 안남 인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Annam in the 17th century
Abstract
과거에서 안남과 조선의 접촉은 주로 중국 조공체계를 통하여 서로가 교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을 통해 唱和詩文이라는 使行文學을 많이 남기게 되었다. 중국 사신으로 파견된 안남과 조선의 사절단이 중국에서 만나 ‘한문’을 매개로 필담과 唱酬를 하며 교류를 전개하였다. 특히, 당시 李睟光의 다른 나라에 대한 인식은 주로 이런 사행을 통하여 얻었다. 조선과 멀리 떨어져 있는 안남은 역시 그에게 적지 않은 호기심을 불렀다. 때문에 이수광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외국 인식, 특히 안남 인식 연구 성과가 많은 편이다.
한편, 무역활동을 하기 위해 이웃나라에 오가는 사람들로 인해 해상무역도 융성하였다. 하지만 바다에서는 예상치 못한 폭풍이나 폭우로 인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없고, 멀리 떨어진 나라로 표착하는 사례도 있었다. 첫째는 17세기 초에 와서 한국 역사상 최초로 안남국에 다녀온 인물로 평가받은 趙完璧이다. 둘째는 1687년에 안남으로 표착한 제주인 金泰璜의 일행도 있었다. 이 사람들은 안남에 머무르는 동안 안남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게 되었고, 자신의 방문담과 표류담을 17세기 지식인들에게 자세히 전하였다. 그래서 조완벽의 방문담을 다방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에 김태황의 표류담을 주제로 삼은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처럼 조선 지식인들은 먼저 중국의 매개나 사행문학으로 안남에 대한 정보를 간접적으로 받아들였으며, 17세기에 와서 조선인의 안남 방문담이나 안남 표류담을 통해 직접 견문한 안남 이미지에 접근하게 되었다. 당시 안남에 대한 인식은 조정의 공식적 기록이 없고 대부분 필요에 따라 보도한 안남 정세만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행문학과 방문담, 표류담은 17세기 조선 지식인들에게 안남의 정세뿐만 아니라 안남의 지리, 풍속문화, 특산물 등을 인식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남 인식은 상호간의 모순과 갈등을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안남 역사와 병행하여 당시 조선 지식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안남이 실제와 맞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7세기 조선 지식인들이 받아들였던 안남 사람, 생활모습, 정치적 상황 등의 지식을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수광의 「안남국사신창화문답록」, 조완벽의 방문담, 김태황의 표류담을 분석하면서 각각이 확인하고 있는 안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각 기록물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하고 서로의 갈등과 모순 내용은 무엇이며 안남 역사와의 비교를 통하여 17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안남 인식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하는 것이 풀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In the past, the contact between Annam and Joseon was mainly due to their exchanges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tributary system of China. Through that process, a lot of envoy literature was recorded, namely antiphon poetry. Being sent to China, the Annam and Joseon tributary envoys met there and used Chinese characters as a means for literature exchange. At that time, Lee Soo Kwang mostly gained perceptions about other countries by means of this mission. Particularly, it was Annam which was far away from Joseon that considerably aroused his curiosity. Consequently, there has been plenty of research about perceptions of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perceptions of Annam on the basis of the records of Lee Soo Kwa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 lot of traveling to neighboring countries for trading activities and maritime trade was brilliantly developed back then. On the sea, however, there occurred many unexpected situations. There were cases that people were drifted away to a country way distant from their original target by cause of storms or heavy rains. The first instance was Jo Wan Byuk who was considered the first man in the history of Korea that ever came to Annam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second case was Kim Tae Hwang, a resident of Jeju Island, who drifted to Annam in 1687. These people acquired a wide range of knowledge of Annam while staying there and they passed all their travel records and drifting records to Joseon intellectuals of the 17th century. However, while the travel records of Jo Wan Byuk have been widely researched in various aspects,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focusing on the drifting records of Kim Tae Hwang.
So, first of all, Joseon intellectuals indirectly obtained information about Annam from the intermediary China or the envoy literature. It was not until the 17th century that they could get access to the directly witnessed and recorded images of Annam through the travel records or drifting records of Joseon people. The reason was because the perceptions of Annam were not officially documented by the government, there were only reports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s of Annam by period. Therefore, the envoy literature, travel records, and drifting records played an integral role in the perceptions of not only politics but geography, cultural traditions, and specialties of Annam as well. But because the way each person approached the information about Annam was not the same, the contradictions in their records need to be resolved. Furthermore, the history of Annam needs to be considered as well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perceptions about Annam of Joseon peopl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Records of Exchanging Questions and Answers with a Vietnamese Envoy」 of Lee Soo Kwang, the travel records of Jo Wan Byuk, and the drifting records of Kim Tae Hwang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knowledge about Annam such as the people, their lifestyles, political situations that was obtained by the 17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 and to have an over view of the perceptions of each person about Annam. More over, by explo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resolving the contradictions in the content among there cords, and comparing to the history of Annam, we can analyze there liability of the perceptions about Annam of the 17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
Author(s)
반민득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43
Alternative Author(s)
Banh Minh Duc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Advisor
전영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대상 및 논문구성 7
Ⅱ. 이수광의 안남에 대한 견문과 인식 11
1. 안남국 사신과의 조우와 安南國使臣唱和問答錄 12
2. 중국사행을 통한 안남 인식 18
Ⅲ. 趙完璧金泰璜의 경험과 안남 인식 26
1. 趙完璧의 방문담으로 본 안남 인식 26
2. 金泰璜의 표류담으로 본 안남 인식 37
Ⅳ. 조선 지식인의 안남 이해와 상호인식 51
1. 안남의 정치사회상 52
2. 안남인의 생활문화와 민간풍속 59
3. 조선 지식인의 안남 문화상 이해 68
Ⅴ. 결론 77
참고문헌 8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Korea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