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이주노동자의 일자리의 질이 주관적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6차 근로환경조사를 활용하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Job Quality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Migrant Workers: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6차 근로 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유로재단(Eurofound)의 일자리의 질(Job quality) 프레임워크를 통해 이주노동자들의 근로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이주노동자들의 일자리의 질과 주관적 건강 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6차 근로환경조사 대상자 50,539명 중에서 대한민국 국적이 아니며 임금근로자인 334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ver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이주노동자의 일자리의 질 지표별 특성은 빈도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이주노동자의 특성과 일자리의 질 노출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 상태의 차이 분석은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Dunnett’s test를 하였다. 등분산 검정에서 이분산인 경우 Welch test를, 사후분석은 Dunnett’s T3를 실시하였다. 이주노동자의 일자리의 질, 주관적 건강 상태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이주노동자의 근로환경이 주관적 건강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성,
연령, 교육 수준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인 이주노동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비율이 80%이었고, 전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44%, 일용근로자가 39.5%로 임금근로자의 일용근로자 비율이 높았다. 일자리의 질 지표에서 기술 및 재량권 지표의 하부 항목인 현장 교육·훈련의 기회를 살펴보면 현장 교육·훈련을 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9.4%로 연구대상자의 90.6%는 현장 교육·훈련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노동자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산업재해 발생위험이 크고 실제로도 높은 산업재해율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 예방 활동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현장 교육·훈련율은 10%가 되지 못했다.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일자리의 질 지표는 노동환경의 유해·위험요인 지표(β=-0.145, p=0.010), 노동강도 지표(β=-0.219, p<.001), 사회적 환경 지표의 하부 항목인 사업장에서의 지지(β=0.160, p=0.007), 기술 및 재량권 지표의 하부 항목인 업무 재량권과 자율성(β=-0.171, p=0.001)으로 이주노동자는 노동환경 유해·위험 요인이 적고, 노동강도가 낮고, 직속 상사와 동료의 도움과 지지와 같은 사업장에서 지지가 높고, 업무 재량권과 자율성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강도가 주관적 건강 상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업무 재량권과 자율성, 사업장에서의 지지 요인 순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에 대해 이주노동자의 언어능력을 고려한 안전교육 실시하고 열악한
근로환경에 대한 작업환경 개선 및 상사와 동료의 지지가 강화된 근로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언한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migrant workers’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 in Korea and assessed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using the six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Methods: In this study, only migrant and wage workers were evaluated, constituting 334 of 50,539 sub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with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ajor job quality indices that affect subjective health status are physical environment(β=-0.145, p=0.010), work intensity(β=-0.219, p<.001), social support(β=0.160, p=0.007), and decision latitude(β=-0.171, p=0.001). Work intensity was found to most significantly influ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order of decision latitude and social support. It was determined that migrant workers’ subjective health status improved when they had a low physical environment, low work intensity, high social support, and lower decision latitud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small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should provide safety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anguage skills of migrant workers. Furthermore, improving poor working condition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the support of managers and colleagues are necessary.
Author(s)
김소라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50
Alternative Author(s)
Kim, So-R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김수영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Ⅱ. 연구 방법 5
1. 연구 대상 5
2. 연구 모형 7
3. 연구 변수 12
1) 종속변수 12
2) 독립변수 12
(1) 일자리의 질 지표별 노출에 따른 주관적 건강 상태의 차이 12
(2) 이주노동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자리의 질 지표 15
3) 통제 변수 18
4. 자료 분석 18
5. 연구 윤리 심의 19
III. 연구 결과 20
1. 일반적 특성 20
2.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 상태의 차이 20
3. 성별 업종과 직종과의 관계 22
4. 일자리의 질의 분석 결과 24
1) 노동환경의 유해위험 요인 24
2) 노동강도 28
3) 노동시간의 질 30
4) 사회적 환경 32
5) 기술 및 재량권 35
6) 직업 전망 38
7) 소득 40
5. 연구대상자의 일자리의 질 지표와 주관적 건강 상태 간의 관계 42
6.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자리의 질 지표 44
Ⅳ. 논의 47
Ⅴ. 결론 50
REFERENCES 51
국문 초록 55
ABSTRACT 57
감사의 글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Public Health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