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Body Mass Index 유형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mpact of Body Mass Index on Sleep Quality
Abstract
최근 수면장애의 증가로 인해 이와 관련된 건강문제 및 사회경제적 비용이 중요한 공중보건학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면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중 한 요인이 체질량지수(BMI)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MI유형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8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활용하였고 지역사회건강 조사에 참여한 228,340명 중에 키·몸무계 측정을 거부한 자료와 수면의 질 문항에 무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최종 연구대상은 177,814명이다. 분석방법은 IBM SPSS statistics ver 2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체 대상자 중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대상자는 남성 28,785명(36.5%), 여성 48,244명(48.7%)으로 여성의 수면의 질이 더 좋지 않았고, 여성은 저체중인 경우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았다. 수면의 질 하위영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중년기에서 저체중이 주관적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았고, 중년기와 노년기에서 비만이 수면 잠복기가 길 위험이 낮았다. 성인초기와 중년기에서 비만이 수면시간이 짧았고, 중년기와 노년기에서 비만이 수면방해가 많았으며, 성인초기와 중년기에서 저체중이 수면제 약물사용 위험이 높았다

본 연구는 단면적 조사연구이기 때문에 비만 및 저체중과 수면의 질과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자기 기입식 설문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응답에만 의존하여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회상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성별과 생애주기로 나누어 BMI 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영향을 분석하였고, 수면의 질 하위영역과 BMI 유형의 연관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Objective: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leep disorders, related health problems and socioeconomic costs have emerged as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s. According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auses that can cause sleep disorders, one of which is the Body Mass Index (BMI).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MI type on sleep quality.

Methods: This study used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and out of 228,34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177,814 subjects were final, excluding data that refused to measure height and physical strength and did not respond to sleep questions. The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4.0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05 and teste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28,785 (36.5%) men and 48,244 (48.7%) women had poor sleep quality among all subjects, and women had poor sleep quality when they were underweigh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regions of sleep quality in detail, underweights were poor in the middle age, and the risk of obesity being long in the middle age and old age was low. Obesity had a short sleep time in early adulthood and middle age, obesity had a high level of obstruction of sleep in middle age and old age, and underweight had a high risk of using sleeping pills in early adulthood and middle age.

Conclusion: Since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low weight and sleep quality, and since it is a self-written questionnaire, there is a limit to faithfully respond or recall error may occur.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 of sleep quality according to BMI type by dividing the study subjects by gender and life cycl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areas of sleep quality and BMI type in detail.
Author(s)
고한올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53
Alternative Author(s)
Ko, Han O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김수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Ⅱ. 연구 방법 4
1. 연구 자료 4
2. 연구 대상 5
3. 연구 모형 6
4. 연구 변수 7
5. 자료 분석 13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1) 인구사회학적 특성 14
2) BMI 및 건강행태 16
2. 수면의 질이 좋은 군과 좋지 않은 군의 특성 비교 18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17
2) BMI 및 건강행태에 따른 수면의 질 21
3. 수면의 질 관련요인 분석 : 단변수 분석 23
1) 인구사회학적 요인 23
2) BMI 및 건강행태 요인 25
4. BMI 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영향 분석 : 다변수 분석 27
5. BMI 및 건강행태에 따른 수면의 질 하위영역 비교 29
6. BMI 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하위영역 영향 분석 : 다변수 분석 34
Ⅳ. 논의 48
Ⅴ. 결론 51
참고문헌 52
Abstract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Public Health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