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해녀 생애사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life history on Jeju Haenyeo :Focused on Bourdieu’s ‘Habitus’ and ‘Champ’
Abstract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는 해녀에 대한 유산 가치와 세대전승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해녀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단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그 동안 해녀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해녀들의 생애와 사유구조에 주목하여 보았다. 해녀의 삶은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해녀 이해에 대한 스펙트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의하면, 제주해녀의 수가 급속히 줄어들고 고령화도 현실화되고 있다. 이것은 해녀담론에서는 일종의 위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위기감 속에서 제주해녀 관련 양적 연구는 꾸준히 축적되어 왔지만, 해녀 개인의 삶에 집중한 생애사로서의 질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제주해녀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해녀들의 생애와 삶, 그녀들의 사유를 통해 접근할 때 가능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場)’ 개념을 적용하여 두 해녀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삶, 삶에 대한 태도, 사유구조와 가치관 등을 분석하였다.
현대 사회학계를 대표하는 부르디외는 개인과 사회와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이론과 실천은 구분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무의식의 소산인 아비투스와 장의 개념을 처음으로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회학적 이론과 개념은 인간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위치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깨닫게 하는 중요한 키워드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 개념은 사회의 구조적 요인을 간파하여 연구자들에게 사회학적 사유와 분석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이 되고 있다.
아비투스란 인간 행위를 상징하는 무의식적 성향을 뜻하는 말로, 개인의 성향이 환경이나 배경, 가치관과 종교 등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용어이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아비투스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또한 장이란 개념은 복잡한 사회에 대한 부르디외 모델의 핵심 개념으로서, 사회생활의 시·공간적 영역을 의미한다. 부르디외는 아비투스와 장의 조응이 하나의 구속이자 억압이지만, 개인의 주관적 의식과 사회적 조건을 연관의 맥락에서 상황을 바라보게 하였다.
‘생애사(life history)’는 개인의 지나온 삶을 자신의 말로 이야기한 것을 기록하는, 대표적 질적 연구 방법이다. 연구자는 두 명의 해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고 텍스트로 만들어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해녀들의 무의식적인 아비투스를 네 가지로 구조화하였다. 해녀들의 집단적 아비투스로는 첫째, “물에 놀레 가게” 라는 놀이와 학습의 아비투스이고, 둘째, “바당은 공거여”라는 감사와 무욕의 아비투스이다. 셋째, “살암시민 살아진다”라는 초월적 사고가 드러난 언어로서 순응과 경외의 사유방식, 넷째, “벗이영 둘이 해삽쥬”라는 협동의 공동체 의식이다. 또한 두 해녀의 생애를 통해 나타난 해녀들만의 ‘아비투스’와 ‘장(場)’의 축소와 확장, 그리고 다시 재생산되는 장에 대한 사례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해녀에 대한 접근방법이 많을수록 활용과 보전의 가능성도 커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해녀 공동체 영역의 확장과 변화의 모습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들의 삶을 대하는 태도와 아비투스가 체화되어 전승되어 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그녀들의 삶에 녹아 있는 아비투스와 삶의 영역인 장에 대한 고찰로 해녀연구의 장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녀 생애사에 대한 다양한 방법적 접근이 지속가능한 해녀의 전승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People still has not understood or empathized with the life of Haenyeo while they have recognized the value and necessity of generation inheriting of Haenyeo. So,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life and structure of thought on Haenyeo,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the study of Haenyeo in general. Because how you understand the life of Haenyeo will bring different spectrum on that.
According to statistics, Jeju Haenyeo are rapidly decreasing and getting old. This is a crisis in Haenyeo culture. Amid this sense of crisis, quantitative research on Jeju Haenyeo has been steadily accumulated, but qualitative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private life of Haenyeo have not been practiced much so fa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Jeju Haenyeo will be possible when approaching through the lives and their thoughts. I have analyzed life, private structure, and attitude toward the life focusing on the ‘life history’ of the two Haenyeos by applying French sociologist Bourdieu’s concepts of ‘Habitus’ and ‘Champ’.
Bourdieu, who represents modern sociology, tried to comprehend the problem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s theory and practice are indistinguishable, he first argued for the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the product of unconsciousness. This concept provides an important keyword that allows humans to reflect on being influenced by their social context and position. Therefo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with giving an insight through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could be practical guidelines for sociological thinking and analysis for researchers.
‘Life histor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records an individual's past life in his/her own words. I interviewed two Haenyeos and analyzed the data which was made from the record-written texts. Then, I have structured the unconscious Habitus of Haenyeo into four types. There are collective Habitus of Haenyeo cases. First, the Habitus of play and learning called “Let’s go play in the water.” Second, the Habitus of appreciation and freedom from avarice, “Badang is for free.” Third, as the language exposed on the transcendental thinking, “Just let it be as you live.” It is the way of thinking of obeying and awe. Fourth, the sense of community of cooperation called “Have to do with friends.” It also presented examples of the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Habitus’ and ‘Champ’ of the Haenyeo, which appeared throughout the lives of the two Haenyeo, and the reproduction of the stage.
Since I believe that the more approaches to Haenyeo, the more we obtain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I haven’t limited the area but paid attention to expansion and change of the community of Haenyeo. Through the process, I was able to grasp the attitude toward their lives and Habitus that has been embodied and passed down. I intend to expand the field of Haenyeo research by considering the ‘Habitus’ and ‘Champ’ in their lives. In this process, various methodical approaches to the life history of Haenyeo will help find a sustainable transmission plan for Haenyeo.
Author(s)
양인실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55
Alternative Author(s)
In-Sil Ya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자연문화유산교육학과
Advisor
장승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제주해녀 생애사 담론의 이론적 배경 6
1. 부르디외의 사회학 이해: '아비투스'와 '장(場)' 6
1) '아비투스'의 개념 6
2) '장(場)'의 형성과 변화 9
2. 제주해녀담론으로서 생애사 연구 11
3. 해녀담론의 역사와 선행연구 14
Ⅲ. 제주해녀 생애사에 나타난 '아비투스'와 '장(場)' 21
1. 제주해녀 생애사 사례 탐구 21
1) 연구 참여자 최 해녀의 생애사 22
2) 연구 참여자 장 해녀의 생애사 33
2. '아비투스'와 '장(場)'에 토대한 생애사 43
1) '아비투스'로서 제주해녀의 삶 43
가. "물에 놀레 가게": 놀이와 학습의 아비투스 43
나. "바당은 공(空)거여": 감사와 무욕(無慾)의 아비투스 46
다. "살암시민 살아진다": 순응과 경외(敬畏)의 아비투스 48
라. "벗이영 둘이 해삽쥬": 협동의 아비투스 50
2) '장(場)'의 변화와 제주해녀의 '아비투스' 양상 53
가. '장(場)'의 축소와 변화 53
나. '장(場)'의 확장과 재생산 57
Ⅳ. 제주해녀 생애사의 유산적 가치와 활용방안 62
1. 제주해녀 생애사의 유산적 가치 62
2. 제주해녀 생애사의 활용방안 63
Ⅴ. 결론 66
참 고 문 헌 69
Abstract 7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