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오메기술'의 문화유산적 가치 탐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of ‘Omegi-sul’
Abstract
오메기술은 조와 누룩만으로 빚은 제주를 대표하는 전통주로서, 화산섬 제주의 독특한 문화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오메기술은 그 자체로 중요하게 쓰였을 뿐 아니라, 제주 전통주의 바탕이 되어 제주 음식문화의 한 줄기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제주 사회 전반에 커다란 영향력을 가지며 존재해왔던 오메기술은 제주의 산업화로 인한 생활문화 변동에 따라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연구자는 제주도민들의 삶이 스며있는 오메기술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밝히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오메기술을 비롯한 제주 전통주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역사와 현황 등에 관해서 고찰하였다. 둘째, 오메기술 제조를 직·간접으로 경험한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오메기술의 제조과정과 쓰임새를 조사하였다. 또한, ‘제74회 4·3 위령제’의 제주(祭酒)로 쓰인 오메기술의 제조과정을 좇아 오메기술이 지닌 공적(公的) 가치와 미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동·서부지역 간 오메기술 쓰임새의 차이를 제주의 토양환경 분석과 그에 따른 농업생산성 차이를 통해 설명하였다.
풍화가 덜 된 화산재로 이루어진 제주의 토양환경에서 제주도민은 조와 보리, 피 등 다양한 잡곡을 재배하였다. 그중에서도 조는 제주 대부분 지역에서 재배되었기 때문에, 제주도민들은 구하기 쉬운 조와 보리누룩을 이용해 오메기술을 빚었다. 오메기술의 제조과정은 떡을 빚어 술을 제조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만, 그것은 제주도민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찾아낸 최선의 방식이었다. 객사(客舍)나 향교 등에서 치러지던 공적(公的) 의례에서부터, 제사와 명절, 대소사(大小事)와 같은 사적(私的) 의례에 이르기까지, 제주에서 오메기술은 가장 중요한 봉헌물
(奉獻物)로서 기능해 왔다. 또한, 당제에서는 신과 인간을 교감하게 하는 역할도 부여되었다. 나아가 오메기술은 제주의 대표적 기호음료였으며, 농주로 쓰이며 공동체의 협력을 끌어내는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농업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른 용도와 달리 기호음료나 농주로서의 쓰임새는 지역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그 차이는 토양환경에서 비롯되었으며, 토양에 따른 농업생산성의 차이는 오메기술의 제조 및 사용에서도 지역 간 차이를 불러왔다.
제주에서 오메기술은 선조들의 삶이 스며있는 문화유산으로서 단순한 술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제주도정에서는 일찍이 오메기술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전에 힘써왔다. 그러나 오메기술의 보전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그 이상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점은 주민들이 오메기술을 경험하고 직접 만들어 보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 및 직업교육에 ‘제주 전통음료 만들기’가 포함되어야 한다. 나아가 교육을 마친 이들이 관련 창업이 가능하도록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 다음으로는 문화 보전 차원에서 보조금이 지원되는 공적 의례에는 제주 전통주를 사용하도록 하는 행정적 계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주옹기축제’와 같이 음식문화와 연관된 축제를 연계한다면 양쪽 모두에 상승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것이 오메기술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자의 제언이다.| Omegi-sul is a traditional alcohol beverage made of only millet and yeast that represents traditional liquor as well as showing an example of peculiar culture of Jeju island. Omegi-sul played not only an important role in itself, but also formed a part of Jeju culture of cuisine.
However, Omegi-sul, which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Jeju culture, has been in danger of disappearing due to changing a living culture caused by industrialization. Therefore, I(researcher) have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to reveal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of Omegi-sul that contains the lives of Jeju people.
First, I have studied the background of Jeju traditional alcohol including Omegi-sul and also look into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Second, I have researched the process of brewing and usage of Omegi-sul by interviewing with participant of the study who has an experiences of making Omegi-sul. In addition, I have analyzed the public value of Omegi-sul that was used for 74th April 3rd Spirits commemoration by examining the brewing process. Third, I have explained the differences the usage of Omegi-sul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through analyzing the soil environment and resulting from agricultural productivity.
Jeju people have cultivated various grains such as millet, barely etc in the barren volcanic soil. Among the grains Jeju people grow, millet can be found in most of areas in Jeju, so, Jeju people brewed Omegi-sul using esay-to-find millet and barely yeast. Although the brewing process of Omegi-sul has a complicated process of making from rice cake to alcohol, it was the best method that Jeju people have foun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experiences. From public ceremonies which held in Gaeksa and Hyanggyo to private ceremonies such as ritual for ancestors, holidays, and the four ceremonial occasion, Omegi-sul has been the most important offering in Jeju. In Dang ritual, it also played a role to communicate between gods and humans. Furthermore, Omegi-sul was a representative alcohol in Jeju and contributed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However, unlike other uses, its usage as a beverage or farmer's drink differed on the regions. The differences were caused by different soil, and the gap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come from different soil have brought regional different in the production and usage of Omegi-sul.
In Jeju, Omegi-sul has more meaning than just alcohol. Jeju provincial government has designated Omegi-sul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 in order to preserve. However, more att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to preserve and utilize Omegi-su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Jeju people should have a chance to experience and make it. To achieve the purpose, public institutions should include the class of making Jeju traditional alcohol beverag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system that people who have completed the class should be able to receive help from specialized institutions to start a related business. Second, For cultural preservation, administrative guidance is needed to use Jeju traditional alcohol for public ceremonies which were supported by Jeju provincial government subsidies. Lastly, linking festivals related to food culture, such as the Jeju Onggi Festival, will bring synergistic effects to both. these are my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Omegi-sul.
Author(s)
김아미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56
Alternative Author(s)
Kim, A-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자연문화유산교육학과
Advisor
정광중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내용과 방법 3
제3절 선행연구 검토 5
제2장 제주 전통주 및 오메기술의 역사와 현황 7
제1절 제주 전통주의 역사 7
제2절 제주 전통주의 특징 및 현황 10
제3절 오메기술의 역사와 현황 17
제3장 오메기술의 문화유산적 가치 23
제1절 오메기술의 제조과정 조사 23
제2절 오메기술의 쓰임새 분석 31
1) 평상시 오메기술의 쓰임새 31
2) 경조사 시 오메기술의 쓰임새 37
3) 공적 의례주로서 오메기술의 쓰임새 39
제3절 제주 생활문화와 오메기술의 문화유산적 가치 43
제4장 제주 동서부지역의 오메기술 비교 49
제1절 동서부지역의 농업생산성과 오메기술의 연관성 49
제2절 동서부지역의 오메기술 쓰임새 비교 56
제5장 결론 및 제언 65
참 고 문 헌 68
Abstract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