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과 몽골의 주민참여예산제도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s of South Korea and Mongolia :Focused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 Korea and Uvs Province of Mongolia
Abstract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재정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강화, 재정민주주의 구현, 주민참여를 통한 자치와 참여민주의의 활성화라는 목적을 갖고 있는 제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제주특별자치도와 몽골의 옵소 아이막 양 지역 주민들의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하여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양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상황 그리고 주민참여예산제도에 주민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지역의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첫째, 주민참여활성화시행 방안에 대한 실행계획이 잘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주민참여예산기구의 설치와 구성 인적요인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12년도 주민참여예산 연구회를 구성하여 연도별 제도운영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하여 지속적인 운영개선에 임하고 있다.
셋째, 예산편성의 투명성에 확보에 전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예산의 공성성‧투명성‧효율성을 높이는 제도인 만큼 주민들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지방재정운영의 투명성 인식조사에 재정정보 제공이 불충분성에 대하여 제주자치도의 경우 51명(40.5%), 옵소의 경우는 43명(34.1%)로 양 지역의 재정에 대한 정보는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예산심의에 참여하겠다는 인식조사에서 제주자치도인 경우는 67명(53.1%), 옵소는 91명(72.2%)로 옵소 지역주민들이 예산심의에 많은 참여를 원하고 있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의 자율적 편성되도록 자치단체장의 강한 의지가 반영되어야 한다. 예산운영에 대한 지역주민들이 공감대가 형성되면 신뢰행정이 구현될 것이다. 투명성이 보장됨으로써 지역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자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예산을 운영하고 있는 응답을 보면 제주자치도는 29명(23.0%), 옵소는 27명(21.4%)로 비슷한 비율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공직자들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취지, 목적등에 대한 전문성 강화이다. 예산을 집행하고 관리하는 공직자들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면 시민들의 참여는 매우 낮을 수 밖에 없다. 공무원의 인지 부족이나 협조가 미흡한 인식조사에서 매우그렇다는 응답은 제주자치도인 경우는 27명(21.4%), 옵소는 69명(54.8%)로 조사되어 옵소 지역의 공직자들의 예산 전문성 향상의 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민참여제도에 대해서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는 법적 운영 체제가 구비되어 성과를 나타냈고 있는 반면에 몽골 옵소 아이막의 경우, 주민참여에 관련 법이 명시되어 있는 등 외형적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근거를 갖고는 있지만 실질적 운영에 있어서는 잘 운영되고 있지 않다. 특히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홍보 부족 등으로 인해 지역주민들은 그 내용을 충분히 인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중앙정부, 지방정부에서는 정책 시사점을 중심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홍보을 강화해서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옵소 지역에 성공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예산운영이 될 것이다.
Author(s)
에르덴빌렉, 벌러르마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791
Alternative Author(s)
ERDENEBILEG BOLORMA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양덕순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4
3. 연구의 체계 5
제2장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제1절 주민참여예산제도 개괄 7
1.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의의 7
2.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목적 8
3.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9
제2절 한국과 몽골의 주민참여예산제도 분석 10
1. 한국의 주민참여예산제도 10
(1) 총괄 운영 현황 10
(2)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 사례 13
2. 몽골의 주민참여예산제도 14
(1) 총괄 운영 현황 14
(2) 옵소 아이막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 사례 19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26
(1) 한국 선행 연구 26
(2) 몽골 선행 연구 30
제4절 소결 32
제3장 분석의 틀 및 조사 설계 33
제1절 분석의 틀 33
제2절 조사 설계 35
(1) 설문지 구성 35
(2) 연구의 수집 37
제4장 분석결과 38
제1절 일반적 통계 분석 38
제5장 결론 및 연구 한계 45
(1) 연구의 결과 45
(2) 연구의 한계 47
[ 참고문헌 ] 48
[ 부록 1 ] 설문지(한국어) 51
[ 부록 2 ] 설문지(몽골어 56
[ ABSTRACT ]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