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장년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Mental Health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impact of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 survey was undertaken for a two-month period, from March 1 to April 30, 2022, to verify this study. The survey used a random sampling method by conducting a targeted survey of middle-aged adults learning or studying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llected 360 copies. These copies were used to identify participation motivation, successful aging, and mental health level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utilizing chi-square, t-test, and ANOVA.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successful aging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demonstrated using the Sobel 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felong education is vital to help middle-aged learners successfully age. Second,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vity orientation, destination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nts were affect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Respondents preferred one-off, but the learner's motivation type does not belong to any one type of group but is inter-related with each group.
Third, it was confirmed that mental health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mong middle-aged people. Regarding the effect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uccessful aging, mental health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orientation, a sub-factor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Furtherm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uccessful aging,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seems to affect learning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but destination orientation did no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for lifelong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mental health.|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서 2022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임의표집 방법으로 표본추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평생 교육기관에서 학습 중이거나 학습한 경험이 있는 중장년을 대상으로 배부하여 360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을 실시하였으며,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성공적 노화, 정신건강의 인식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Baron and Kenny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Sobel test를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학습자의 성공적 노화를 돕기 위해 평생교육이 중요한 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 참여자들의 참여동기(활동지향, 목적지향, 학습지향)유형은 성별이나 연령, 학력 등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었다. 셋째, 중장년에게 있어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관계에서 정신건강은 평생교육 참여동기 하위요인인 활동지향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지향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 매개로 나타났으나, 목적지향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 준비를 위한 평생교육에 대한 정책적 제언 및 정신건강에 관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Author(s)
기경희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11
Alternative Author(s)
Gi, Kyung-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상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6
1. 중장년의 개념 및 특징 6
2. 평생교육 참여동기 11
3. 정신건강의 개념과 특징 19
4. 성공적 노화 23
5. 중장년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정신건강, 성공적 노화의 관계 34
Ⅲ. 연구방법 40
1. 연구모형 40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1
3. 측정도구 41
4. 자료분석 방법 44
Ⅳ. 연구결과 45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6
2. 주요 변수 기술통계 47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분석 48
4. 상관관계 분석 60
5. 매개효과 검증 63
Ⅴ. 결론및 제언 68
1. 결론 68
2. 논의 71
3. 제언 및 한계 73
참고문헌 76
Abstract 92
부록 설문지 9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