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여성신의 역할과 의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ole and Meaning of the Goddess
Abstract
본 연구는 서사를 중심으로 여성신의 역할과 의미를 밝혀내었다. 제주도 신화에서 여성신의 모습은 크게 어머니와 적극적인 여성으로 구분한다. 전자는 와 가, 후자는 에 해당한다. 특히, 와 의 여성신이 아들이자 주신에 의해 부활 됨에 따라 도구적이고 수단적인 역할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와 의 서사는 고구려 건국신화 와 상당한 친연성을 가지며, 특히 주몽의 어머니 유화부인을 함께 숭앙한다는 점에서 여성신의 역할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여성신이 주신과 대등한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음에 따라 여성신을 어머니의 역할로 한정 짓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고 판단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여성신을 바라보는 기존 인식을 극복하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각 본풀이의 서사는 여성신을 중심으로 인물 간의 관계, 장소 이동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성신은 가족과 함께 ‘집’이라는 공간에서 머물다가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하여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타의에 의한 이동은 내부 공간에서 여성신과 타인의 갈등 발생이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외부 공간에서 일련의 고통 과정을 겪음에 따라 여성신들은 결말에서 모두 신성 공간으로 이동 혹은 신으로 좌정하게 된다. 이때, 와 는 보다 인물 간의 첨예한 갈등 및 복합적인 관계 구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까닭은 신성한 존재로 거듭나기 위해서 주신(主神)이 아닌 이들에게는 그만큼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통과의례 외에도 여성신이 본래 신성한 존재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신이 어려움을 겪을 때 거북, 새 등과 같은 동물이 등장하여 위기를 극복한 대목을 통해서 비범한 존재임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서두에 여성신의 이름에서부터 원초적인 생명력을 가짐을 드러내고 있어 그 원초적인 능력을 짐작할 수 있었다.
서사 분석을 토대로 공통으로 드러나는 성격에 기반하여 여성신의 역할을 3가지로 구분하였다. 생산과 복력, 문화를 생성‧전파하는 자, 그리고 신적 능력이 인세(人世) 화합과 관련 깊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성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생명력을 넘어 인간에게 문화적 층위에서 새롭게 생산하는 능력을 발휘하고, 인간에게 복을 주는 역할을 가진다. 더 나아가 인간세계에 새롭게 문화를 전파하는 전달자의 역할을 한다. 가믄장아기의 경우, 의식주와 관련하여 고차원의 문화를 저차원의 마퉁이 삼형제에게 전파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두 본풀이에서는 무속과 관계 깊은 문화를 새롭게 생성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여성신은 모두 인간 세상의 신분적 존귀, 경제적 격차 등을 모두 평등하게 바라보고 포용하는 원리를 신적 능력을 통해서 보여준다. 다만, 공동체를 해치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자에게는 확실하게 벌함으로써 공존의 원리도 함께 드러낸다.
이상의 서사와 역할 분석을 기반으로 본고에서는 ‧‧ 여성신이 가지는 의미를 3가지로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세 본풀이는 주신(主神)과 더불어 여성의 서사를 통해 무속의 근원과 주요한 속성의 내력담을 가진다. 따라서 본풀이 명칭에 공통으로 묶이는 ‘공’은 무속의 근원으로서 하나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둘째, 원시-고대-중세서사시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성의 원형은 각 여성신이 가지는 여성성과 모성성에 기반하여 포용‧화해의 원리를 가진다는 점까지 확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풀이가 무속 제의에서 구송되고 있기 때문에 종교적 성격을 함께 도출하고자 하였다. 신의 목소리는 심방을 통해 단골들에게 전해진다. 세 본풀이 여성신 서사에서 전개되는 고난과 극복 과정은 단골들에게 자신의 인생을 돌아볼 수 있게 만든다. 여성신이 비교적 인간의 모습과 굉장히 흡사하고 신의 전지전능한 능력보다 직접 부딪혀 해결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풀이를 통해 신이 인간에게 궁극적으로 말하는 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훈적 의미를 가진다. 궁극적으로 ‧‧ 여성신은 신성한 존재로 거듭나는 것뿐만 아니라 근원적인 여성성을 기반으로 서사 속에 화합의 원리가 주요하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 This study clarified goddesses' roles and meanings by focusing on the narration of , , and . Goddesses in Jeju Island myths are largely divided into mothers and active women. The former is applicable to and and the latter is applicable to . Especially, the goddesses of and were recognized as the instrumental roles as they were revived by their sons and main gods. However, the narration of and has a significant affinity with Goguryeo's birth myth, . They tried to improve the goddesses' roles in that they reverence Jumong's mother, Madam Liuhua. However, it is judged that it is difficult to limit the goddesses to mothers' roles as they have the equal narrative structure with the main gods.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 existing awareness of goddesses and develop discussion based on this criminal mind.
For the narration of each Bonpoori, it the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s and aspects of movement to places by focusing on the goddesses. The goddesses stay in space called 'houses' with their families and get to move to the outside voluntarily or by others. Conflicts between the goddesses and others in interior spaces become a major factor in movement by others. All of them get to move to sacred spaces or be seated as the goddesses in the end as they suffer a series of pains in exterior spaces. At this moment, and create sharper conflicts among the characters and the more complicated relation structure than . It's because they need to go through many stages to be born again as holy beings as they are not the main gods. In addition to this rite of passage, it could be found that the goddesses were originally the holy beings. It could be found that the goddesses are the extraordinary presences through the part they overcome their crises as animals like turtles, birds, etc. appear when they suffer pains. Above all, it could be guessed that the goddesses have the instinctive ability as their names reveal the instinctive vital forces in the beginning of .
The goddesses' roles were divided into three things based on their common personalitie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narration. It focused on the point that production and the ability to enjoy good luck, the people who create and spread cultures, and the divine ability which is deeply related to harmony of human life. They play a role of displaying the ability to produce new things to men in cultural layers beyond women's fundamental vital forces and bring them good luck. Furthermore, they play a role of a messenger who spread new cultures to the worlds of human beings. In case of Gameunjangagi in , Matung in a low level spreads cultures of a high level regard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the three brothers. The two Bonpooris mentioned above are different from it in that they newly create cultures which are deeply related to shamanism. In conclusion, all of the goddesses show the principle to look at and embrace nobility of positions and economic gaps in the worlds of human beings equally through the divine ability. But they also show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by punishing the people who harm their communities and seek their own profits definitely.
The study could draw the three meanings of the goddesses in , , and based on the narration and the anlaysis of the roles. First, the three Bonpooris have the root of shamanism and accounts of people's life of the important attributes through women's narration with the main gods. Therefore, 'Gong' which has a common name in Bonpooris means an aggregate as a root of shamanism. Second, it could be found to be women's original form revealed in primitive, ancient, and medieval epic poems. The women's original form was expanded into the principle of embracement and reconciliation based on each goddess' feminity and maternity. Finally, it tried to draw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because Bonpooris are recited in shamanist rituals. God's voice is delivered to regular customers through Simbang. The process that the goddesses suffer and overcome their pains in the narration of the three Bonpooris makes the regular customers reminisce their lives. It's because the goddesses are, comparatively, very similar to men and try to solve the problems personally rather than using the gods' omniscient and omnipotent ability. Therefore, it has an instructive meaning in that what gods eventually say to men can be grasped through Bonpooris. Ultimately, the goddesses in , , and investigated and revealed the point that they are born again as the holy beings and the principle of harmony in the narration is important based on original feminity.
Author(s)
이지연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16
Alternative Author(s)
Lee, Ji-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허남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 대상과 방법 10
Ⅱ. 여성 서사 15
1. 인물 간의 관계 비교 15
2. 공간 이동에 따른 운명 전환 24
Ⅲ. 여성신의 역할 35
1. 생산과 복력 관장 35
2. 문화전달자 42
3. 인세 화합 신 49
Ⅳ. 의 여성신의 의미 55
1. '공'의 의미 55
2. 문학적 의미 58
3. 종교적 의미 62
Ⅳ. 결론 66
70
ABSTRACT 7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