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Adolesc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bstract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간단계로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급격한 경험과 함께 갈등과 혼란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청소년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기 때문에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학교생활에 만족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는 변인을 자기 주도 학습능력, 정서조절로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 주도 학습능력, 정서조절,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 주도 학습능력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제주도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유은주, 2010), 정서조절 척도(이경미, 2020),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최정희, 2021)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관계 동을 분석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주도 학습능력, 정서조절, 학교생활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면,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정서조절이 높은 학생들은 학교생활 만족도도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자기 주도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정서조절 역시 높아져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 개인의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정서조절을 확인하여 자기 주도성을 증진시키고 학업, 대인관계, 학교환경, 여러 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상담 및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이 입증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Adolescence is a middle stage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nd a period when adolescent students experience conflict and confusion because of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change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adapt to school life and be satisfied with it because they spend most of time at school. In this aspect, it assu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motional control are variables affecting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otional contr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ontrol in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the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nationwide high school students and a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so 380 copies in total were used for analysis. As measuring too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Yu Eunju, 2010), emotional control inventory(Lee Kyungmi, 2020), school life satisfaction inventory(Choi junghee, 2021) are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zing, SPSS 25.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so each variable's technolog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d so on were analyzed. Moreover, for mediation effect analysis, Hayes(2013)'s Process Macro was use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otional contr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in connec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emotional control seems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students who ha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high emotional control have also high school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y have, the higher emotional control they have, so it affects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o raise teenagers' school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individua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motional control to enhance self-directed tendency and help to regulate self-emotion properly in several situations such as academic situati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environments. To this e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necessity of consult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has been proven.
Author(s)
김애란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23
Alternative Author(s)
Kim, Ae R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5
3. 연구모형 6
4.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자기 주도 학습능력 8
2. 정서조절 19
3. 학교생활 만족도 26
4. 연구변인 간 관계 31
가.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31
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32
다. 자기 주도 학습능력, 정서조절,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33
Ⅲ. 연구방법 36
1. 연구대상 36
2. 측정도구 38
가. 자기 주도 학습능력 측정도구 38
나. 정서조절 측정도구 39
다. 학교생활 만족도 측정도구 40
3. 자료 처리 및 분석 4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2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42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45
3.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47
Ⅴ. 논의 및 결론 49
1. 결과 요약 및 논의 49
2.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6
Abstract 65
부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