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the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Control Effect of Self-efficacy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university life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data necessary for foreign students to improve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redu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It also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life by effectively coping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self-efficacy and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y spirit of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es cultural adaptation stress have an effect on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Research Question 2

Does self-efficacy have an effect on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Research Question 3
Does self-efficacy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randomly sampled a total of 415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Data collection took place for about five weeks from January 03 to January 30, 2022, and 403 out of 415 people were recovered, showing a 97.1% recovery rate, but 390 people, excluding some non-response and unfaithful responses, showed 96.2%.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28.0,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lf-efficacy scale perceived by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evance and direction between each variable. A regulator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lf-efficacy,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lf-efficacy was (r=0.671, p<.01), showing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among the correlation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the highest negative (-) correlation with (r=-0.726, p<.01),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self-efficacy had the lowest negative (-) correlation with (r=-0.453, p<.01).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college life of foreign students,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t=-20.638,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elf-efficacy (t=17.734, p<.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ulatory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moderating effec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acts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between these two variables, self-efficacy acts as a controlling variable. The results suggest that in-depth and multifacete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self-efficacy in order to redu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order to increase adaptation to college life.| 본 연구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많이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기초의 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해 봤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중국, 일본, 몽골 등 나라 학생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빠르게 늘어나는 이유는 교육 여건이 좋은 한국 대학을 일부러 찾는 외국인 학생이 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대학들이 재정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학생을 적극 유치하려는 정책을 펴기 때문이다(최태진, 박유미, 2019). 지금 한국의 문화산업은 ‘新 한류시대’라 불릴 정도로 전 세계에 파급력을 끼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의 한류 영향은 문화콘텐츠 서비스산업 전반으로 확산되어 한국 문화의 인기는 식을 줄을 모르고 있다(장은정, 2017). 2000년대 이후 국내 대학에 재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양적으로 증가하며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김별아, 2021). 그러나 한국 정부가 기대하는 것과는 달리 현재 외국인 유학생들이 생각하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그렇게 긍정적이지 않다. 그 이유는 경제적 문제와 더불어 보이지 않는 차별과 무시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보이게 하고 있다(박세원, 2012).
그러므로 유학생 수의 증가에 따라 한국은 이들의 유치와 편의 사항 개선을 위해 여러 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온 대다수의 유학생들은 여러 가지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황성원, 2018).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문화적응과 더불어 대학생활 적응까지 함께 헤쳐 나가야 할 어려운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박세원, 2012).
본 연구에서는 재한 외국인 유학생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효과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들의 건강한 정신 마인드와 긍정적인 생각에 영향을 미쳐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2

자기효능감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3

외국인 유학생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적으로 소재하는 대학교 총 415명을 임의 표집하였다.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은 2022년 01월 03일부터 01월 30일까지 약 5주간 이루어졌으며, 415명 중 403명의 자료가 회수되어 97.1%의 회수율을 보였지만 일부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 등을 제외한 39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자료 유효율은 96.2%를 보였다.
측정 도구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자기효능감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 문항으로 구성되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외국인 학생이 지각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 분석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변수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해서 다음과 같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및 자기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의 상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높은 정(+) 적 상관(r=0.671, p<.01)이 나타냈다. 자기효능감이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대학생활 적응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상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높은 부(-) 적 상관(r=-0.726, p<.01)이 나타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수준이 높은 경우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상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낮은 부(-)적 상관(r=-0.453, p<.01)이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t=-20.353, p<.001)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자기효능감(t=17.736, p<.001)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 두 변인들의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Author(s)
주학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29
Alternative Author(s)
ZHOU HE
Affiliation
제주대하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8
3. 연구 모형 9
4. 용어의 정의 10
가. 문화적응 10
나. 문화적응 스트레스 10
다. 대학생활 적응 10
라. 자기효능감 11
Ⅱ.이론적 배경 12
1. 외국인 유학생 개념 및 현황 12
가. 외국인 유학생의 개념 12
나. 외국인 유학생 입학 행정절차 12
다. 연도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14
라. 주요 국가별 외국인 유학생 현황 15
2. 문화적응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 17
가. 문화적응의 개념 17
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개념 18
다. 한국어 능력 20
3. 대학생활 적응 21
4. 자기효능감 24
6. 변인들 간의 관계 26
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26
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27
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28
라. 문화적응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자기효능감의 관계 29
Ⅲ. 연구 방법 31
1. 연구 대상 31
2. 측정 도구 35
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35
나. 대학생활 적응 36
다. 자기효능감 37
3. 자료 분석 3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40
1.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40
2.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41
3.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42
4. 자기효능감이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44
5.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데 있어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46
Ⅴ. 논의 및 제언 50
참고문헌 53
Abstract 67
부록(설문지)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