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jeju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2년 4월 11일부터 4월 22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연구에 대한 설명과 동의를 구하고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총 400부를 배부하여 391부가 회수되었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6.0을 이용하여 분석·통계처리 하였으며 Cronbach’s α 값을 구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 분석,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은 평균적으로 보통(3점) 이상을 보였으나, 조직문화는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동료관계, 직무자체, 업무감독, 환경관련, 보수체계, 승진기회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경력이 많고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하위요소 중 보수체계와 승진기회에서는 보통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조직문화는 사회복지분야 유형 및 사회복지시설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용시설은 합리문화, 생활시설은 위계문화가 강조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조직문화의 하위문화 집단문화, 개발문화가 직무만족 전체에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분야 유형에 따라 조직문화가 일부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복지시설 유형에 따라 조직문화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다른 조직만족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내부체계 유지와 통합에 가치를 두고 유연성을 중시하는 집단문화와 구성원 상호 간 협력이 업무동기를 유발하고 구성원의 능력을 발휘하여 외부환경에의 적응과 변화, 신축성의 특징을 가진 개발문화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는 조직의 협력을 통해 자유롭고 개별의 성장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여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the Jeju area and to examine how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or this purpose, a self-fill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Jeju.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April 11 to April 22, 2022, when the researcher personally visited the institution to ask for explanation and consent for the study, and to distribute and collect questionnaires. A total of 4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91 copies were recovered and us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IBM SPSS 26.0, Cronbach's α value was obtained to analyze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etween major variables, it was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were average (3 points), but organizational culture was in the order of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peer relations, job supervision, environment, remuneration system, and promotion opportunities.
The higher the social welfare experience and age, the lower the score than usual in the remuneration system and promotion opportun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welfare field and social welfare facility, and rational culture for use facilities and hierarchical culture for living facilities were emphasize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culture of organiz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had significant results for the entire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welfare fiel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general characteristics.
A group culture that values flexibility and values the maintenance and integration of the organization's internal system, and a development culture with characteristics of adaptability, change and flexibil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o motivate each other and displaying the abilities of members. appears to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summar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Jeju is free through 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by adapt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hrough individual growth.
Author(s)
장윤성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35
Alternative Author(s)
Jang, youn s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고관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조직
1) 사회복지조직의 특성 5
2) 사회복지조직의 환경 7
2. 조직문화
1) 조직문화의 개념 및 기능 8
2) 조직문화의 유형 9
3. 직무만족
1) 직무만족의 개념 13
2) 직무만족의 영향 요인, 16
4. 선행연구 고찰, 17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연구모형 20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1
2) 측정도구 22
3. 분석방법 28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2. 주요 변수 및 기술통계 31
3. 주요 변수의 집단 간 분석 33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문의 집단 간 차이분석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집단 간 차이 분석
4.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46
5.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49
Ⅴ. 결론 및 논의
1. 결론 59
2. 제언 63
3. 연구의 한계점 64
참고문헌 65
Abstract 73
부록(설문지) 7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