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지지자원을 제공하고, 자아탄력성을 높여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줌으로써 중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대처 능력을 높이고,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하여 온라인 조사로 진행되었으며, 모집단은 전국의 중학교 2, 3학년에 재학 중인 중학생 총 480명을 임의 표집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10일부터 3월 17일까지 일주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480명 중 불성실한 응답 및 응답시간이 초과된 42부의 자료를 제외하고, 438명의 자료가 회수되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 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2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인들의 기술통계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 값을 산출하였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해 확인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미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모두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둘째,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하위변인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두 변인의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그들 주변에 긍정적인 지지자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무엇보다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학교 현장에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To this end, I set the research problem and hypothes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es ego-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To solve such a research problem, 438 students enrolled in the 2nd and 3rd grades of middle school across the country were randomly sampl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analysis wer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ocial support scale, school adjustment scale, ego-resilience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rvey question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5,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technical statistics of the measured variable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used in the study, a reliability coefficient was calcula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which are the main variable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used. Also,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it was confirmed that ego-resilience, which was a parameter,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ub-factors of ego-resilience as a parameter. The subordinate factors of ego-resilience, which are personal relationship, vitality, emotional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s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rough ego-resilience. Therefore, to create a positive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needed to provide positive support resources around them, so that they can perceive social support highly. Above all, it is also required that ego-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s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uthor(s)
김지연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41
Alternative Author(s)
Kim, Ji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연구모형 7
4. 용어의 정의 8
가. 사회적지지 8
나. 학교생활적응 8
다. 자아탄력성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사회적지지 10
가. 사회적지지의 개념 및 특성 10
나. 사회적지지의 구성요인 12
2. 학교생활적응 14
가.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및 특성 14
나. 학교생활적응의 구성요인 16
3. 자아탄력성 18
가. 자아탄력성의 개념 및 특성 18
나.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인 20
4.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 22
가.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22
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24
다.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26
라.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27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및 절차 29
2. 측정도구 31
가. 사회적지지 척도 31
나. 학교생활적응 척도 32
다. 자아탄력성 척도 34
3. 자료처리 및 분석 3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7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7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9
3.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41
4.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43
가.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43
나.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활력성의 매개효과 45
다.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감정통제의 매개효과 47
라.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호기심의 매개효과 49
마.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낙관성의 매개효과 51
Ⅴ. 논의 및 제언 53
참고문헌 59
Abstract 71
부록 7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